[전체] “동판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
사전(9)
- 동판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후기의 관직. [내용] 판사의 바로 아래 관직으로 추정되는데, 『고려사』 「백관지」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실제 제수된 예가 발견된다. 먼저 충렬왕 때에는 밀직사의 동판사, 즉 동판밀직사사(同判密直司事)가 있어 공유(孔愉)와 김흔(...
- 내시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뒤이어 이들 환관직을 맡아 보는 내시부를 설치하고 관청의 격을 개성부(開城府)에 견주어 관원으로 판사(判事, 정2품) 1인, 검교(檢校, 종2품) 3인, 동판사(同判事, 종2품) 1인, 검교(정3품) 32인, 지사(知事, 정3품) 1인, 검교(종3품) 38...
- 대학사(大學士)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성되어 국사를 수찬할 때에는 시중 이상이 겸한 감관사의 지휘를 받아 관아사를 총관하였고, 논의와 교명 등의 일은 학사 이하를 자휘하면서 총관하였다. 대학사(大學士)는 학식이 탁월하고 명망이 높았던 인물이 제소(除召)되었기에 도평의사사동판사(都評議使司同判事)를 겸하거나...하위어학사(學士) | 동의어대제학(大提學)
- 허형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여러 군단의 단결과 합동작전을 강화하기 위해 의동판사처(依東辦事處)를 결성하자, 사무처 주임이 되었다. 6월 항일연군 제9군 정치위원이 되었고, 겨울에 항일연군 제9군 제3사 사장으로서 해륜현(海倫縣)‧영안현(寧安縣) 등지에서 투쟁을 전개하였다. 1...
- 문하시랑찬성사(門下侍郞贊成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하였다. 조선시대에 새로 제정된 관제에 따르면, 문하시랑찬성사는 문하부의 종1품 관직으로 정원은 2명이었다. 또한 동판사(同判事)의 직책을 갖고 도평의사사에 구성원으로 참여하였다[『태조실록』 1년 7월 28일]. 1400년(정종 2)에 도평의사사가 의정부로 개칭될...상위어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 문하부(門下府), 문하성(門下省) | 동의어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 관련어의정부우참찬(議政府右參贊), 의정부좌참찬(議政府左參贊), 의정부찬성사(議政府贊成事), 첨의시랑찬성사(僉議侍郞贊成事),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평장정사(平章政事)
고서·고문서(10)
- 상세히적어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상세히적어 진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소가둔구(苏家屯区) 민주가 동판사처 4 4 상세히적어, 감사, 회답편지,대표표제어상세히적어 | 성씨진
- 이국타향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이국타향 진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소가둔구(苏家屯区) 민주가 동판사처 4 1 이국타향, 몇십년, 살아온아버지,...대표표제어이국타향 | 성씨진
- 삼촌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삼촌 진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소가둔구(苏家屯区) 민주가 동판사처 4 2 삼촌, 1942년, 길림성회덕현, 태...대표표제어삼촌 | 성씨진
- 만날수없었다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만날수없었다 진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소가둔구(苏家屯区) 민주가 동판사처 4 3 만날수없었다, 삼촌, 양부리씨...대표표제어만날수없었다 | 성씨진
- 杏山堡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收貯糧石.以備給予.其紅白事應得銀兩.俱照盛京舊居宗室例辦理.再墾地蓋房.豫交該將軍辦理.俟來年秋季.分作二起遣往.請飭宗人府·於京城現任奉恩將軍內.揀選四員護送.到該處·即分住四屯.令其嚴行管束.又由現往宗室內.擇老成者.每屯揀選二名.賞戴金頂.協同辦事.奉恩將軍.係現任官員.其應得之俸.照舊給...출처전거『淸實錄』 高宗純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주제어사전(2)
-
동판사 / 同判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의 관직. 판사의 바로 아래 관직으로 추정되는데, 이 경우 동판밀직사사는 판사와 같은 종2품 관직이었을 것이며, 밀직사에서 서열은 판사의 아래, 사·지사·동지사·부사 등 다른 추밀의 위였을 것으로 보인다.
-
맹자 / 孟子 [종교·철학/유학]
사서류(四書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석인본(石印本)이다. 규격은 20.1×12.9cm, 반곽은 16.7×10.8cm이다. 표제는 동판사서집주(銅版四書集註), 판심제는 맹자(孟子)이다. 권수는 5권 1책이다. 권삼현신(權參鉉信)이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