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동치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3)
사전(36)
- 동치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통무를 주재료로 해서 담근 김치. [내용] 우리 나라에 고추가 보급되기 이전에는 김치를 소금에 담갔다. 그러므로 동치미는 가장 먼저 시작된 김치의 기본형이라 할 수 있다. 이규보(李奎報)의 “무를 소금에 절여 구동지(九冬至)에 대비한다...
- 동치미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통무를 주재료로 해서 담근 김치정의통무를 주재료로 해서 담근 김치 | 문광부표기dongchimi | MR표기tongch’im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김치말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시원한 동치미국물에 찬밥을 말은 음식. [내용] 황해도 지방 향토음식의 하나이다. 황해도는 기후관계로 김치가 맑고 시원하며 맛이 좋아 음식에 이용하는 일이 많다. 만드는 법은 익은 동치미국물에 찬밥을 말고, 동치미무와 배추김...
- 강량국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리를 만든다. 큰 대접에 사리를 담고, 동치미김치나 돼지고기편육 등을 얹어 동치미국물이나 찬 육수를 부어 먹는다. 식성에 따라 식초‧설탕‧겨자 등을 가미하기도 하며 여름에는 열무김치와 다진 풋고추를 얹어 먹는다. 추운 겨울에도 말려두었던 옥수수를 갈아 따뜻한 아...
- 유바라기/놋바라기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유철(鍮鐵)로 만든 바라기. 바라기는 크기는 보시기와 비슷한데 아가리가 보시기보다 훨씬 더 벌어졌다. 국물이 없는 쌈김치, 짠지, 깍두기 등을 바라기에 담는다. 반면 국물 있는 배추김치나 동치미, 나박김치 등은 보시기에 담는다. 大圓盤肆立鍮伐兒壹細鐵絲參兩山猪毛參兩...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3)
- 3월1일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동치미, 저기압,대표표제어3월1일 | 성씨이
- ○같은 집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갇혔으니 청컨대 풀려나도록 해 주십시오” 라고 했다. ○우효선(禹孝先)이 이엉 3동(同)을 보냈다. ○대구 봉사(奉事) 백거추(白巨鰍)가 사람을 시켜 백미 5말, 팥 5되, 꿩 1마리, 돼지고기 다리 1짝, 무[菁根] 10말, 동치미 1그릇 등 물품을 보냈기에, 감사를...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같은 집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縣)의 이립(李立) 씨가 동치미‧굴 등의 물품을 보냈기에, 편지로 감사를 드렸다. ○전주 부윤‧장흥 부사‧태인‧장성‧남평 등의 관에 편지를 써서 식량을 구했다. ○노 금금이(今金伊)가 어미가 죽은 날이라면서 제사를 차렸다고 했다. ○김세소(金世紹)가 말을 전하기를,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구술자료(1)
- 인민군 탈영해서 군인이 된 사연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메밀냉면. [조사자 : 메밀냉면?] 응. 그게 제일 생각나. [조사자 : 여름에 드세요 그거?] 여름에도 먹지만은 겨울에도 냉면을 많이 먹거든. 겨울에 이저 동치미국에 말아서 먹는 맛. 차게 먹는 거 세상 맛좋아. 근데 그걸 못 먹어보구 왔어. [조사자 : 그럼 여름에조사지역전남 진도 | 조사일2014년 03월 26일
신문·잡지(3)
- 식량과농업_1958_02_1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영세소농이 사는 길 13 최응상 139 겨울 연료 아궁이 김영준 145 다꾸앙 동아김치 동치미 담그기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8
- 은하수_1994_14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소리군 남자를 어떻게 할가 54 기사 하나 더 있음. 파일분절요망. 동치미 담그는 법, 54쪽. 21세기를 대비한 우리 문학인의 자세 장춘식 55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4
- 농민신문_1947_0823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제 동치미 무와 통김치 배추가 자랄 것이다. 무성하고 결실하는 전원 원두막이 지나가는 정거장마다에는 정거장도 인전 우리마당으로 알고 기를 펴고 자라는 순박한 촌아이들이 차미를 팔리 차창 밑으로 달려온다. 꾀꼬리 빛 차미 겉은 검으나 속이 붉은 차미 파리처럼 빨간 토마...대표표제어농민신문_1947_0823_04 | 날짜1947년 8월 23일 | 책임주필최영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