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동치미” 에 대한 검색결과 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3)

사전(3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통무를 주재료로 해서 담근 김치. [내용] 우리 나라에 고추가 보급되기 이전에는 김치를 소금에 담갔다. 그러므로 는 가장 먼저 시작된 김치의 기본형이라 할 수 있다. 이규보(李奎報)의 “무를 소금에 절여 구동지(九冬至)에 대비한다...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통무를 주재료로 해서 담근 김치
    정의통무를 주재료로 해서 담근 김치 | 문광부표기dongchimi | MR표기tongch’im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김치말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시원한 국물에 찬밥을 말은 음식. [내용] 황해도 지방 향토음식의 하나이다. 황해도는 기후관계로 김치가 맑고 시원하며 맛이 좋아 음식에 이용하는 일이 많다. 만드는 법은 익은 국물에 찬밥을 말고, 무와 배추김...
  • 강량국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리를 만든다. 큰 대접에 사리를 담고, 김치나 돼지고기편육 등을 얹어 국물이나 찬 육수를 부어 먹는다. 식성에 따라 식초‧설탕‧겨자 등을 가미하기도 하며 여름에는 열무김치와 다진 풋고추를 얹어 먹는다. 추운 겨울에도 말려두었던 옥수수를 갈아 따뜻한 아...
  • 유바라기/놋바라기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유철(鍮鐵)로 만든 바라기. 바라기는 크기는 보시기와 비슷한데 아가리가 보시기보다 훨씬 더 벌어졌다. 국물이 없는 쌈김치, 짠지, 깍두기 등을 바라기에 담는다. 반면 국물 있는 배추김치나 , 나박김치 등은 보시기에 담는다. 大圓盤肆立鍮伐兒壹細鐵絲參兩山猪毛參兩...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3)

구술자료(1)

신문·잡지(3)

주제어사전(2)

  • / [생활/식생활]

    통무를 주재료로 해서 담근 김치. 우리 나라에 고추가 보급되기 이전에는 김치를 소금에 담갔다. 그러므로 는 가장 먼저 시작된 김치의 기본형이라 할 수 있다. 이규보(李奎報)의 “무를 소금에 절여 구동지(九冬至)에 대비한다.”는 시문도 나 짠지류를 가리키는

  • 냉면 / 冷麵 [생활/식생활]

    은 배추김치국물이나 국물, 국물과 육수를 섞어 만든 국물이 쓰인다. 식초·겨자·설탕 등은 먹을 때 넣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