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동첨절제사” 에 대한 검색결과 27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7)

사전(10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각 진(鎭)의 장(將)인 종4품의 관직. [내용] 육군에만 병마(兵馬使)라는 직함으로 두어 각 도 모든 진의 장이 되었고, 수군에는 이를 두지 않았다. 조선 건국초인 1395년(태조 4)의 제도에는 4품...
  • 병마(兵馬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병마 병마 兵馬使 (使), 병마단련부사(兵馬團練副使)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시대 조선시대 윤훈표 종사품 [정의]
    관련어동첨절제사(同僉節制使), 병마단련부사(兵馬團練副使)
  • 제진(諸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진 제진 諸鎭 진관체제(鎭管體制) 주진(主鎭), 거진(巨鎭), (使), 만호(萬戶), 유방병(留防兵) 정치군사·국방/방어시설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김종수 [정의] 조선시...
    상위어진관체제(鎭管體制) | 관련어주진(主鎭), 거진(巨鎭), 동첨절제사(同僉節制使), 만호(萬戶), 유방병(留防兵)
  • 주진(主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한 지휘권을 행사하도록 하고, 그 아래에 목사(牧使)·부사(府使) 등이 예겸(例兼)하는 첨절제사(僉節制使)가 거진(巨鎭)을 단위로 군사 지휘권을 장악하고 있었으며, 말단 제진(諸鎭)은 군수(郡守) 이하가 (使) 이하의 직함을 가지고 지방군의 지휘권을...
    상위어진관체제(鎭管體制) | 하위어거진(巨鎭), 제진(諸鎭) | 관련어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 병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주로 병마절도사가 주둔하고 있던 관서. [내용] 병마절도사 외에 넒은 의미로 그의 지휘‧감독을 받는 절제사(節制使)‧첨절제사(僉節制使)‧(使)‧만호(萬戶)‧도위(都尉)가 있던 곳을 포함하기도 한다. 병마절...
    이칭별칭주진(主鎭)

고서·고문서(160)

  • 朴承任을 長湍鎭管 兵馬使 兼 監牧에 임명하는 敎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792 1552_01 朴承任을 長湍鎭管 兵馬使 兼 監牧에 임명하는 敎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승임 종가, 일상생활,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SP004.JPG 朴承任을 長湍鎭管 兵馬使 兼 監牧...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소수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1797년 통훈대부(通訓大夫) 안악군겸임(安岳郡兼任) 행신천군수(行信川郡守) 황주진관(黃州鎭管) 병마(兵馬使) 이(李) 안악군회부상정대소미정사춘등방하성책(安岳郡會付詳定大小米丁巳春等放下成冊)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경제-회계/금융-용하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 1538년 김연(金緣)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38년(중종33) 에 중종 이 김연 을 상주진관 병마 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1605년 박광춘(朴光春) 고신(告身) 2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605년(선조38)에 선조가 밀성박씨 박광춘을 진주진관병마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영암 밀성박씨 박은식
  • 1756년 박양신(朴良藎)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756년(영조32)12월에 영조가 박양신을 위원진병마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영암 죽정서원

주제어사전(6)

  • / 使 [정치·법제/법제·행정]

    . 병마부사가 먼저 1423년(세종 5) 병마로 직함이 바뀌었으며, 지방군사조직이 진관체제로 개편된 뒤인 1466년(세조 12) 병마단련부사도 병마로 개칭되기에 이르렀다.

  • 병마 / 兵馬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4품의 외관직 무관으로 각도 제진의 장. 그러나 이들 역시 도호부사(都護府使)나 군수 등의 수령이 겸대하였으며, 조선 건국초의 병마단련부사(兵馬團練副使)라는 직함이 세조(世祖) 12년에 병마(兵馬使)로 개칭된 것이다.

  • 병마안 / 兵馬使 [정치·법제]

    병영의 가 설치된 일부 지역의 관안. 절첩으로 되어 있다. 표지에 '병마안'으로 표기되어 있다. 는 종4품의 관직이다. 본문은 상하단으로 나누어 필사하였는데 상단에 초지, 문성, 안의 등의 지명이 씌어져 있다.

  • 단련판관 / 團練判官 [정치·법제/국방]

    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제진이 설치될 때 병마절제도위로 개칭되었다. 그리고 제진 가운데 를 수령인 군수가 겸한 예와 같이, 병마절제도위 또한 동반의 수령인 현령·현감이 겸하도록 하였다.

  • 유화 / 柳和 [종교·철학/유학]

    통훈대부 경주진관 겸 춘추관편수관을 역임하였다. 문집으로 3권 3책의《수졸재유고》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