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동첨사” 에 대한 검색결과 1,63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35)

사전(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후기 광정원(光政院)과 자정원(資政院)의 3품 관직. [내용] 1298년(충렬왕 24) 충선왕이 즉위하여 관제를 개편할 때 광정원과 자정원을 새로 설치하고 광정원의 종3품, 자정원의 정3품 관직으로 를 두었다. 두...
  • 내시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 첨사(僉事, 종3품) 1인, 검교(정4품) 28인, 동지사(同知事, 정4품) 2인, (, 종4품) 2인, 좌승직(左承直, 정5품) 2인, 우승직(右承直, 종5품) 2인, 좌부승직(左副承直, 정6품) 1인, 우부승직(右副承直, 종6품) 1인, 사알(司謁,...
  • 김연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종이 세자에게 정사를 대리시키고자 둔 첨사원(詹事院)의 ()가 되어 출납을 주관하여 세종의 신임을 받았다. 그러나 이조의 관원과 틈이 생겨 부평현령으로 좌천되었는데, 이 때 그가 극심한 흉년을 만난 백성을 잘 진휼한 공으로 판사재감사(判司宰監事)에...
    이칭별칭 간보(幹甫)| 대경(戴敬)
  • 문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庶務)를 결재하게 하려 했으나 신하들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러나 세종은 1442년 군신(群臣)의 반대를 무릅쓰고 세자가 섭정(攝政)을 하는 데 필요한 기관인 첨사원(詹事院)을 설치, 첨사(詹事)‧() 등의 관원을 두었다. 또한, 세...
    이칭별칭 휘지(輝之)| 공순(恭順)
  • 종사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설치되어 ()가 종4품 관직이 되었으나, 우왕 때 곧 폐지되었다. 그리고 1389년(공양왕 1) 위위시소윤이 혁파되었고, 이듬해 군자시소윤과 사수시부령이 종4품 관직으로, 동궁관의 좌우필선(左右弼善)이 4품 관직으로 신설되었다. 1391년 삼군도총제부(三軍都...

고서·고문서(1,628)

  • 41601 B041601 대선 大船 경제산업 東萊府啓錄 권7 1872년 1월 19일 ... 淳定送是如馳報爲白有等以而帆異樣船哨探次包伊浦萬戶吳廷煥定送爲白有齊一時到付使馳報內機張境漂向未辨船二隻亦中馳往問情之意別差高在健處傳令申飭是如馳報爲白有旀.未時到付使馳報內卽到哨探將豆毛...
    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2186 B042186 대선 大船 경제산업 東萊府啓錄 권7 1871년 9월 26일 ... 境漂向未辨船一隻亦中馳往問情之意別差李泌基處傅令申飭是如馳報爲白有旀.申時到付使馳報內機張境未辨船一隻初看馳通據辭緣與該縣監所報一樣是白乎旀戌時到付使馳報內卽到機張縣監馳通內舟師代將馳報內...
    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5860 B075860 동래 東萊 정치행정 東萊府啓錄 권7 1872년 1월 19일 ... 依前更招次領都部長抻送東萊府是如馳報爲白有旀.辰時到付使馳報內卽到哨探將豆毛浦萬戶馳報內設門內洋下碇火輪船一隻寅時擧碇直向南溟外洋杳恾之際仍無形跡是如馳報據馳報爲白有旀.十八日酉時到付使馳...
    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603 B017603 개운포 開雲浦 군사교통 東萊府啓錄 권7 1871년 7월 10일 僉使尹興大傳通內深海是如而漂右渡來船任其漂流者有違邊例是如馳通據馳報爲白有旀.二十四日丑時到付使馳報內卽到加德僉使傳通據多大僉使馳通內終站差員等馳報內磨巨里移泊漂倭替載船一隻二十一日巳時離發午時到...
    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630 B017630 개운포 開雲浦 군사교통 東萊府啓錄 권6 1871년 2월 20일 ... 馬島未及水旨風勢不利洋中經夜今日辰時還泊館所是如爲乎等以同飛船搜檢*後同倭等姑爲下船留館事手本據緣由馳通云云是白齊.同日未時到付使馳通內今日還泊倭飛船*二*隻原騎倭人等仍騎當日巳時更良發...
    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광정원과 자정원의 3품 관직. 1298년(충렬왕 24) 충선왕이 즉위하여 관제를 개편할 때 광정원과 자정원을 새로 설치하고 광정원의 종3품, 자정원의 정3품 관직으로 를 두었다. 두 관부에서 모두 사(使)·동지사(同知事)·첨사 다음의 관직이었다. 그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