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동진사” 에 대한 검색결과 16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4)

사전(11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 급제한 사람을 갑과‧을과‧병과 및 로 구분하였다. 따라서 국자감시의 합격자를 지칭하는 진사(進士)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고려에서 과거제도가 처음 실시되었던 광종 때에는 급제자의 과등(科等)을 나누지 않던 것이 경종 때 을과가 생기면서 갑‧을과로 나누...
  • TD_E4_D_0300 정책-제도 科擧, 乙科, 丙科, 同頭 高麗 D_09_04_128 대동운부군옥 9권 4장 12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9권 4장 12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문여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감천(甘泉). 1429년(세종 11) 식년문과에 ()로 급제하였다. 1450년(문종 1) 지평(持平)으로 있으면서 영양위(寧陽尉 : 敬惠公主의 남편)의 집을 새로 지으려 할 때...
  • 김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내용] 1386년(우왕 12) 과거에 () 5등으로 급제하였다. 성균박사로 있을 때, 성균관 생원 박초(朴礎) 등이 공양왕의 호불(護佛)을 비판하고, 호불을 조장한 박전(朴琠)을...
  • TD_E4_S_0115 甲科 정책-제도 乙科, 丙科, , 生員, 進士, 黨論 高麗 高麗 S_20_01_57 성호사설 20권 1장 57절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20권 1장 5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40)

  • 25586 B025586 고사 膏鯊 수산물 『玆山魚譜』 卷一 鱗類 鯊魚 蟹鯊 蟹鯊(俗名揭鯊) 好食蟛蟹故名 狀類膏鯊 而無骨錐 脅旁有白點 成行至尾 其用 肝無膏
    출처전거『玆山魚譜』 卷一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9142 B019142 게사 揭鯊 수산물 『玆山魚譜』 卷一 鱗類 鯊魚 蟹鯊 蟹鯊(俗名揭鯊) 好食蟛蟹故名 狀類膏鯊 而無骨錐 脅旁有白點 成行至尾 其用 肝無膏
    출처전거『玆山魚譜』 卷一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人事門3_生三進六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曆己卯司馬, 當時以生三進六爲極選云. 此與近世不同, 而其任意低昂, 則已有之矣. “高麗 忠烈王十四年, 宰相蔡仁規子禑中第, 居頭. 舊制, 乙科三人、丙科七人、二十三人, 世以頭, 宦不達, 人皆惡之, 指爲同頭. 王嫌之, 乃加丙科八人.” 然則古亦有此俗耳.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經史門3_麗無甲科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麗無甲科 高麗之制, 無甲科, 乙科三人、丙科七人、二十三, 合三十三人而已, 雖有增減者, 立法則如此也. 今制, 合甲、乙、丙三十三人, 而別有生員、進士二百人, 宜其爲民者漸少, 而黨論岐貳矣.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77895 B077895 동진 東津 군사교통 太平廣記 卷第三百五十四 鬼三十九 _ 張仁寶 中。其家寒食日,聞扣門甚急,出視無人,唯見門上有芭蕉葉,上有題曰:“寒食家家盡禁煙,野棠風墜小花鈿。爲今空有孤魂夢,半在嘉陵半錦川。”擧族驚異。端午日,又聞扣門聲,其父于門罅伺之,乃見其子,身長...
    출처전거太平廣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7)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및 조선 초기 문과 급제자의 등급 중 제술업에 급제한 사람의 등급. 고려시대의 문과는 크게 국자감시와 예부시로 나뉘었고, 예부시에는 제술업과 명경업이 있었는데, 이 가운데 제술업에 급제한 사람을 갑과·을과·병과 및 로 구분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전시에서 급

  • 김종서 / 金宗瑞 [종교·철학/유학]

    1383(우왕 9)∼1453(단종 1).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지평 태영, 아버지는 도총제 추, 어머니는 대사헌 배규의 딸이다. 1405년(태종 5) 식년 문과에 로 급제해 1415년 상서원직장을 지냈다. 우정언, 이조정랑, 함길도도관찰사, 우의정을

  • 옥고 / 玉沽 [종교·철학/유학]

    1382(우왕 8)∼1436(세종 18). 조선 전기의 문신. 증조는 전백, 할아버지는 안덕, 아버지는 사미이다. 길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생원시를 거쳐 1399년(정종 1) 식년문과에 로 급제하였다. 정언, 예조정랑, 봉상시소윤, 장령 등을 역임하였다.

  • 윤상 / 尹祥 [종교·철학/유학]

    1373(공민왕 22)∼1455(단종 3). 조선 전기의 학자·문신. 충의 증손, 할아버지는 신단, 아버지는 선. 1396년(태조 5) 24세의 나이로 식년 문과에 로 급제해 선산·안동·상주 및 한성 서부 등지의 교수관을 거쳐, 예조정랑 때 서장관으로 연경에

  • 최덕지 / 崔德之 [종교·철학/유학]

    1384(우왕 10)∼1455(세조 1). 조선 전기의 문신. 용봉의 증손, 할아버지는 을인, 아버지는 담, 어머니는 박인부의 딸이다. 1405년(태종 5) 식년문과에 로 급제한 뒤 추천을 받아 사관이 되었고, 교서관정자, 예문관직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72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