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동지팥죽” 에 대한 검색결과 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10)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짓날에 찹쌀 새알심을 넣고 쑤어 먹는 팥죽.
    정의동짓날에 찹쌀 새알심을 넣고 쑤어 먹는 팥죽.[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Dongji patjuk | MR표기Tongji p’atchu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동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해서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또는 ‘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말을 하고 있다. 동짓날에는 또는 동지두죽(冬至豆粥)‧동지시식(冬至時食)이라는 오랜 관습이 있는데, 팥을 고아 죽을 만들고 여기에 찹쌀로 단자(團子)...
  • 팥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익반죽하여 둥글게 새알모양으로 빚은 새알심을 함께 끓인다. 새알심이 떠오르고 팥죽색이 짙어지고 걸쭉하게 되면 소금으로 간을 한다. 식성에 따라 설탕을 넣어 먹기도 한다. 의 새알심은 가족원 각각의 나이수대로 넣어 먹기도 한다. 동짓날 팥죽을 쑤어 먹기에...
  • 명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나 문짝 등에 뿌리기도 하였다. 에는 또한 팥죽 속에 반드시 새알심이라 하여 찹쌀가루로 새알 같은 단자를 만들어 넣어 먹었다. 한편 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속설도 있다. 지금은 명절로서의 의미를 거의 상실한 시월의 말 날과 십이...
    이칭별칭속절
  • 세시풍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은 반드시 붉은 팥을 넣어 쑨다. 붉은 색은 벽사(辟邪)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여기는데 그래서 은 나쁜 액을 물린다는 의미가 있다. 요즘은 절에서 팥죽을 쑤므로 불자들은 거기서 불공을 올리고 을 시식한다. 동지로부터 세 번째 미일(未日)을...
    이칭별칭세시(歲時)|세사(歲事)|월령(月令)|시령(時令)|세시의례

고서·고문서(1)

  • 한장, 춘절, 문제풀이, 필, , 문제, 저희, 농촌, 시내, 짠지장사, 하루, 6시간, 잠잘시간, 친정, 어머님, 아버님, 늘상, 고향, 신신부탁, 현실, 두분, 남쪽, 동산, 가을, 나무잎
    대표표제어김씨 | 성씨

구술자료(4)

  • 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년 1월 7일에 1차 조사를 진행했었다. 이날은 오전에 영광읍에서 진행된 관람제 제사와 관공서 마당밟이를 조사가 목적이었다. 이 행사를 주관하는 사람이 제보자 한희천이었기 때문에 행사를 마친 후에 자연스레 설화조사를 진행했다.
    조사일시2009. 1. 28(수) | 조사장소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도동리 245번지 중앙당한약방 | 제보자한희천
  • 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가 장례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중에 과거에는 한밤중에 상여꾼에게 팥죽을 쑤어서 주었다는 이야기를 하면서 자연 다음의 이야 기를 들려주었다.
    조사일시2009.05.09 | 조사장소구례군 간전면 양천리 양동마을 박명규댁 | 제보자박명규(남, 75세)
  • 은 까마귀 제사밥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79-11-08 | 조사장소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화죽1동 | 제보자이봉희
  • 한국과 일본의 제사와 민속 문화의 차이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아니 복숭아 먹으면 알레르기 생겨요. 여기 가려워지니까 그래서 저는 복숭아 잘 안 먹어요. 통조림은 먹는데 깎아서 먹는 건 안 먹으니까 야 저는 귀신과 똑같은 습성을 가지고 있어요. 그랬어요. (웃음) 먹는 것도 그것 때문에 드신다고 하시더라구요. 근데 일본
    국가일본 | 제보자곤도 사끼에 [일본, 여, 1966년생, 결혼이주 2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1)

  • / 冬至─粥 [생활/식생활]

    동짓날 붉은팥을 삶아 거른 팥물에 쌀을 넣고 쑨 죽. 동짓날 절식의 하나이다. 동짓날 그가 생전에 싫어하던 붉은팥으로 죽을 쑤어 역귀를 쫓았던 중국의 풍습이 있었다. 그 전래시기는 알 수 없으나, 『목은집』·『익재집』 등에 동짓날 팥죽을 먹는 내용의 시가 있는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