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동지절제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11)
- 동지절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임명하여 지휘하도록 하였는데, 동지절제사는 이 절제사의 직급 가운데 하나이다. 1393년에 설치된 의흥삼군부에도 이러한 체제가 계승되어 중군(中軍)과 좌군‧우군에 각각 정1품의 도절제사 또는 종1품의 절제사 1인, 정2품의 지절제사 또는 종2품의 동...
- 김인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무재(武才)가 있었으며, 1388년 이성계를 따라 위화도에서 회군한 뒤 1390년(공양왕 2) 밀직부사(密直副使)가 되고 1392년에는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에 올랐다. 조선 개국 후 중추원사(中樞院使)ㆍ의흥친군위동지절제사(義興親軍衛同知節制使)로서 태조의...이칭별칭 의지(義之)| 의암(毅菴)| 충민(忠愍)
- 조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392년(태조 1) 이성계를 추대하여 개국공신 2등에 올라, 그 해 8월 보조공신(補祚功臣)의 호를 받고 동지중추원사ㆍ의흥친군위동지절제사(義興親軍衛同知節制使)가 되었으며, 은천군(銀川君)에 봉하여졌다. 같은 해 11월 의흥친군위 상진무(上鎭撫)가 되어 궁궐을 출입하면...이칭별칭 충의(忠毅)|은천군(銀川君)
- 장사길(張思吉)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거쳐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가 되었다. 1392년 이성계를 추대해 개국공신 1등에 봉해지고,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로서 의흥친군위동지절제사(義興親軍衛同知節制使)를 겸해 이성계의 친병(親兵)을 통솔하였다. 1393년 이듬해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로 곽충보(郭忠...유형분류인물
- 박포(朴苞)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우군동지절제사(右軍同知節制使)를 지냈다. 봉작(封爵)은 죽성군(竹城君)이다. [태조~정종 시대 활동] 1392년(태조 1) 8월에 조선 건국에 대장군(大將軍)으로서 참여하였고, 이 공을 인정받아 개국공신(開國功臣) 2등에 책봉되었다.[『태조실록(太祖實錄)』...
고서·고문서(1)
- 第七十八章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兼之요 同知節制使各二人이니 中樞兼知요 僉節制使各二人이니 正三品爲之러니 恭靖王二年에 罷中樞合三軍府爲祿官하고 太宗元年에 改義興三軍府爲承樞府하고 稱承樞府某軍㧾制하야 以掌軍政하며 三年에 三軍各設都㧾制府하야 置都㧾制一人과 㧾制二人과 同知㧾制二人과 僉㧾制二人하니 不係於承樞府요 軍...서명龍飛御天歌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주제어사전(1)
-
동지절제사 / 同知節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의흥친군위와 의흥삼군부에 두어졌던 군직. 조선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이성계가 직접 거느리던 친군을 의흥친군위로 편성하여서 종2품 이상의 종실과 훈신을 그 절제사로 임명하여 지휘하도록 하였는데, 동지절제사는 이 절제사의 직급 가운데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