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동지의금부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99)
사전(149)
- 동지의금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의금부에 소속된 종2품의 관직. [내용] 지사(知事)에 대한 보좌역으로 겸직이었다. 1414년(태종 14) 의용순금사(義勇巡禁司)가 의금부로 개편되었을 때는 제조(提調)체제 아래 낭관 중심으로 실무가 운영되어 동지의금부사는 아...
- 박필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謙)의 딸이다. 1735년(영조 11) 증광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한 뒤 1740년 당상(堂上)에 올라 승지에 임명되었고, 그 뒤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에 이르렀다. 英祖實錄 國朝榜目이칭별칭 경옥(景玉)| 성암(醒庵)
- 민긍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洪英植) 등이 갑신정변을 일으켜 수구대신들을 축출하고 개화파정권을 수립하자 이에 참여하여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가 되었다. 갑신정변이 실패로 돌아간 뒤 여전히 관직에 남아 그 이듬해 4월 전라도병마절도사에 임명되었다. 후에 청나라 위안스카이(袁世凱)의 내정...
- 지의금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도 하였다. 정원은 종1품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및 종2품 동지의금부사와 합쳐 4인을 두게 하였으나, 보통은 판의금부사와 함께 1인씩 임명되었다. 어떤 경우에는 품계에 따라 3인을 모두 지의금부사로 임명하기도 하고, 또는 동지의금부사로만 임명하기도 하였다. ...
- 서상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870년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를 거쳐 이조참판이 되고 동지부사(冬至副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73년 대왕대비전의 존호를 높이는 데 참여하여 가자(加資)되고 그해 형조판서에 올랐다. 이어 병조판서‧한성부판윤을 지냈다. 1875년 이후 형조판서‧사헌부...이칭별칭 이응(而凝)| 효정(孝靖)
고서·고문서(350)
- 1729년 증가선대부(贈嘉善大夫) 호조참판겸동지의김부사오위도총부부총관(戶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 임수창(任壽昌) 추증교지(追增敎旨)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93년 이백윤(李伯潤) 증직교지(贈職敎旨)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893년(고종30)4월에 고종이 함평에 살았던 고 학생이백윤을 효행이 탁이한 이유로 가선대부병조참판겸동지의금부사로 증직하는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목포 함평이씨 이명헌
- 1866년 기재우(奇在祐) 추증교지(追贈敎旨)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866년(고종3)11월에 기정진(奇正鎭)의 아버지 기재우(奇在祐)를 가선대부 이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부총관(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에 추증한 문서이다. 기정진이 가선대부 동지돈녕부사(嘉善大夫同知敦寧府事)를 제수함에 따라 그의 아버지 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장성 고산서원
- 1658년 안방준(安邦俊) 처(妻) 정씨(鄭氏) 추증교지(追贈敎旨)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657년(효종9)10월 16일에 안방준의 처 정씨(鄭氏)를 정부인(貞夫人)에 추증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문서이다. 안방준이 종2품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조판서(吏曹參判) 겸(兼)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에 추증되었으므로, 종2품 정부인의 품계로 올린 것이다. 이는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1624년 양천허씨(楊川許氏) 추증교지(追贈敎旨)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이 교지는 1624년에 양천허씨을 '정부인'에 추중하면서 발급한 것이다. 김홍원이 가선대부 병조참판겸동지의금부사에 증직되자 그의 부인인 허씨도 증직된 것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부안 우동 세덕각
주제어사전(14)
-
동지의금부사 / 同知義禁府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금부에 소속된 종2품의 관직. 1466년(세조 12)에 의금부의 직제를 당상관중심체제로 바꾸고자 제조직제를 혁파하면서 판사·지사 다음의 직임으로 설치되어 ≪경국대전≫ 체제로 정비되었다. 판사·지사·동지사의 각 직임별 정원은 규정하지 않고 당상관의 총인원만
-
지의금부사 / 知義禁府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금부에 설치한 정2품 관직. 1414년(태종 14) 의용순금사를 의금부로 격상, 개편하면서 둔 정2품 제조 뒤에 지사(知事)로 고쳐 지의금부사로 부르게 된 것이다. 정원은 종1품 판의금부사 및 종2품 동지의금부사와 합쳐 4인을 두게 하였으나, 판의금부사와
-
강홍중 / 姜弘重 [종교·철학/유학]
1577(선조 10)∼1642(인조 20). 조선 중기의 문신. 강온 증손, 할아버지는 강사필, 아버지는 승지 강정, 어머니는 정응규의 딸이다. 장현광의 문인이다. 1606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등용되었으며, 청송부사, 동지의금부사, 성천부사 등을 역
-
유봉휘 / 柳鳳輝 [종교·철학/유학]
1659(효종 10)∼1727(영조 3). 조선 후기의 문신. 속 증손, 할아버지는 성오, 아버지는 상운, 어머니는 이행원의 딸이다. 1697년(숙종 23)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수찬·부제학·동지의금부사, 우부빈객,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
이동순 / 李同淳 [종교·철학/유학]
1779년(정조 3)∼1860년(철종 11).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이수증, 조부는 이세학, 부친은 이구천이다. 1807년(순조 7) 식년시 병과 12위로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사간원정언·홍문관수찬·군위현감·사헌부장령 등을 역임하였다. 이후 동지의금부사·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