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동지성균관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3)
사전(43)
- 동지성균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성균관에 소속된 종2품 관직. [내용] 일명 ‘동성균(同成均)’이라고도 한다. 동지사라는 관직명은 송나라의 관제에 기원을 두고 있는데, 지사의 다음, 즉 제2의 보좌직을 뜻한다. 동지성균관사는 고려의 성균관직에서는 볼
- 柳崇祖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1623 柳崇祖 인물 登第, 同知成均館事, 精通, 經學, 誨人, 陵儀, 立主, 訃聞, 王諡, 古證, 合禮, 傅會, 不經, 請, 罷職 全州, 上國 宗孝, 眞一齋, 燕山, 柳子光, 李繼孟 D_10_01_83 대동운부군옥 10권...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1장 8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이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서로 사은부사(謝恩副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와서 한성부판윤을 거쳐 이듬해 겸동지성균관사(兼同知成均館事)를 지내고, 1512년 경기도관찰사로 나갔다. 1515년 동지성균관사ㆍ특진관(特進官)을 역임하고, 1517년 지중추부사가 되었다. 몸가짐이 바르고...이칭별칭 숭보(崇甫)| 문호(文胡)
- 이용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조ㆍ예조의 참판을 역임하였고, 1882년 대사헌이 되었다. 공조판서ㆍ의정부좌참찬을 지냈고, 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ㆍ경연관(經筵官)을 겸하였으며, 1893년 경상도관찰사가 되었다. 관제개혁 후 1902년 궁내부특진관을 역임하였다.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이칭별칭 수경(受卿), 수경(授卿)
- 이승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872년에는 호조판서에 선혜당상(宣惠堂上)을 겸직하였고, 이어 규장각제학ㆍ의정부우찬성을 역임하였다. 그동안 비변사유사ㆍ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ㆍ경연관(經筵官)의 관직도 맡았다. 1869년 동지겸사은사(冬至兼謝恩使) 정사로 청나라에 다녀오기도 하였다. ...이칭별칭 치강(稚剛), 치강(致剛)| 문헌(文憲)
고서·고문서(10)
- 1871년 이규진(李奎鎭) 추증교지(追贈敎旨)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71년 1월 국왕이 이규진을 숭정대부 의정부 좌찬성 겸 판의금부사 지경연춘추관사 홍문관제학 동지성균관사 오위도총부 도총관으로 추증하는 문서이다. 조선시대에는 종친 및 문무관 종2품 이상의 실직에 임명되면, 3대를 추증하게 되어 있었다. 품계가 종2품에 못 미치더라...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5191 B015191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18年 2月 2日_010 ○有政。 吏批, 以李景曾爲社稷署提調, 李景義爲惠民署提調, 閔希顔爲工曹佐郞, 金鼎鉉爲刑曹佐郞, 李景義爲兼同知成均館事, 洪靌爲漢城府判尹, 朴爲司譯院提調, 李寅俊爲典設署別檢, 趙昌遠...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488년 김종직(金宗直)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88년(성종 19) 국왕이 김종직을 가선대부 한성부좌윤 겸 동지성균관사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이러한 문서를 고신(告身)이라고 한다. 가선대부란 조선시대 문신의 관품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종2품 하(下)의 품계에 해당한다. 첫 행의 교지(敎旨)라...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고령 선산김씨 김종직 후손가
- 1488년 김종직(金宗直)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88년(성종 19) 국왕이 김종직을 가선대부 공조참판 겸 동지성균관사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이러한 문서를 고신(告身)이라고 한다. 가선대부란 조선시대 문신의 관품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종2품 하(下)의 품계에 해당한다. 첫 행의 교지(敎旨)라고...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고령 선산김씨 김종직 후손가
- 1489년 김종직(金宗直)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89년(성종 20) 국왕이 김종직을 가선대부 공조참판 겸 동지성균관사 홍문관제학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이러한 문서를 고신(告身)이라고 한다. 가선대부란 조선시대 문신의 관품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종2품 하(下)의 품계에 해당한다. 첫 행의 교지...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고령 선산김씨 김종직 후손가
주제어사전(2)
-
동지성균관사 / 同知成均館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성균관에 소속된 종2품 관직. 동지성균관사는 고려의 성균관직에서는 볼 수 없고, 1398년(태조 7)에 처음 나타난다. 인원은 2인으로 다른 관직자가 겸임하도록 되어 있었다. 1466년(세조 12) 같은 겸직이던 성균관의 겸대사성(兼大司成)·겸사성(兼司成)
-
이의익 / 李宜翼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94∼?). 이종억 아들이다. 1857년(철종 8) 강화부유수·이조참판을 지냈으며, 동지성균관사·경연관을 지냈다. 고종이 즉위 후, 대원군의 신임을 받아 1864년(고종 1) 예조판서를 비롯하여 1865년 이조판서로 중용되었고, 이듬해에는 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