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동지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4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97)
사전(927)
- 동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의 관직. [내용] 중추원‧추밀원‧밀직사의 종2품 관직, 자정원(資政院)의 정2품 관직, 춘추관의 종2품 이상의 관직을 말한다. 『고려사(高麗史)』
- 동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지사(知事)의 보좌역을 맡았던 종2품 관직. [내용] 돈녕부에 1인, 의금부에 1∼2인, 경연에 3인, 성균관에 2인, 춘추관에 2인, 중추부에 8인을 두었다. 직함은 돈녕부의 동지사일 경우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라고 표기하...
- 동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동지에 명나라와 청나라에 보내던 사절 또는 파견된 사신. [내용] 대개 동지를 전후하여 보내기 때문에 동지사라 하였으며, 정조사(正朝使)‧성절사(聖節使)와 더불어 삼절사(三節使)라 하였다. 무슨 일이 있을 때마다 보내는
- 동지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지사(知事)의 보좌역을 맡았던 종2품 관직.정의조선시대 지사(知事)의 보좌역을 맡았던 종2품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dongjisa | MR표기tongji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동지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시대에 해마다 동짓달에 중국으로 보내던 사신정의조선 시대에 해마다 동짓달에 중국으로 보내던 사신 | 문광부표기dongjisa | MR표기tongji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405)
- 萬物門1_冬至獻襪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冬至獻襪 今俗, 新嫁婦人, 每獻襪於舅姑. 《餘冬序錄》引崔浩《女儀》云: “近古, 婦人常以冬至, 上履襪於舅姑, 踐長至之義也.” 又曹子建《冬至獻襪頌表》云: “伏見舊儀, 國家冬至, 獻履貢襪, 所以迎福踐長.” 冬至, 日極南, 影極長一丈三寸, 故謂之“長至”, 則獻以踐履之物, 所...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陳子禽謂子貢曰:“子爲恭也,仲尼豈賢於子乎?” 子貢曰:“君子一言以爲知,一言以爲不知,言不可不愼也。夫子之不可及也,猶天之不可階而升也。夫子之得邦家者,所謂立之斯立,道之斯行,綏之斯來,動之斯和。其生也榮,其死也哀,如之何其可及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行,綏之斯來,動之斯和。其生也榮,其死也哀,如之何其可及也?”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P_0597A_0440_020_025...권차명論語古今注 卷十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가도(椵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41 B000641 가도 椵島 도서 평안북도 承政院日記 仁祖 9年 6月 15日_009 ○黃都督接伴使書目, 本月初三日, 到椵島, 四日將爲見官, 回還冬至使狀啓上送事, 冬至使狀啓登州留滯辭緣事。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평안북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湯站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唐人 義州 외교 庚寅/傳于政院曰"押解官,今赴遼東.若冬至使出來則已矣,不然,則凡朝廷冊封太子,及皇后崩逝,冬至使出來遲速,備細探問而來可也.但陳慰使拜表,禮曹以來月十一日擇定,今去押解官,拜表前必未得還.拜表之日,退定可也.冬至使雖未至遼東,而哀書已到,則文書頭辭,以進賀使狀...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중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4667 B064667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仁祖 9年 6月 6日_003 ○平安監司書目, 島中差備譯官告目據, 冬至使狀啓, 上送事。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今昔物語集の語彙形成 : 複合動詞の構成を通して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후지이 토시히로, 게재일 : 199010462 후지이 토시히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同志社大学国文学会 1990 今昔物語集の語彙形成 : 複合動詞の構成を通して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유형논문 | 게재일1990
신문·잡지(6)
- -(合資會社 同志社)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合資會社 同志社) 서울 - 合資會社 同志社 南米倉町 283 금융 합자회사 금융 - 155.6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合資會社 同志社) | 지역서울 | 품목금융 | 영업종목금융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조선출판경찰월보 012호 시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12호 시보 시보(時報) 1929년 8월 22일 미기재 시보사(時報社) 상해(上海) 조선_1929년 8월 30일 차압 치안 중국어 동지사건 일본을 조심하라, 노서아...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12호 시보 | 출판물명시보(時報) 1929년 8월 22일
- 투자_1974_06_0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명동지사 개점식 사장식사 3 자본시장수용태세 확립방안에 따른 증권인수체제의 확립과 증권금융지원 운용요강 및 시행세칙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4
- 조선공론_1916_04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衡秤に掛けて重きを採るべし 水越理庸 67 67쪽 기사 또 있음. 印象其麽生-十八銀行京城總支店長 足立瀧次郞君, 初對面子, 67쪽. 在鮮學閥觀 (2)-同志社閥 (上) 泰山樵客 68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6
- 조선공론_1916_04_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36 37쪽 오른쪽 상단 뭉개져있음. 最近來鮮の諸名流時談 一記者 38 40쪽 왼쪽부분 뭉개져있음 在鮮學閥觀 (2)-同志社閥 (下) 泰山樵客 41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6
기타자료(58)
- 정보패;鄭寶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2767 일본 京都 同志社女學校 (1929년 6월 10일 조사) 學友會同窓會名簿 1929―07―10 10면 정보패;鄭寶貝 조선 평양부 죽전리 156번지;同志社女專 大澤寮학교소재지역京都 | 학교명同志社女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자현;金慈賢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2768 일본 京都 同志社女學校 (1929년 6월 10일 조사) 學友會同窓會名簿 1929―07―10 12면 김자현;金慈賢 조선 전라남도 목포부 양동 55;同志社女專 第一活水寮학교소재지역京都 | 학교명同志社女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윤숙;金潤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2769 일본 京都 同志社女學校 (1929년 6월 10일 조사) 學友會同窓會名簿 1929―07―10 15면 김윤숙;金潤淑 조선 황해도 봉산군 사리원 서리 86;同志社女專 大澤寮학교소재지역京都 | 학교명同志社女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유수혜;柳誰惠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2770 일본 京都 同志社女學校 (1929년 6월 10일 조사) 學友會同窓會名簿 1929―07―10 16면 유수혜;柳誰惠 조선 경성부 청진동 194;同志社女專 常磐寮 東館학교소재지역京都 | 학교명同志社女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필량;金畢亮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2771 일본 京都 同志社女學校 (1929년 6월 10일 조사) 學友會同窓會名簿 1929―07―10 18면 김필량;金畢亮 조선 황해도 안악읍내 소천리 142;同志社女專 常磐寮학교소재지역京都 | 학교명同志社女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50)
-
동지사 / 同知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지사의 보좌역을 맡았던 종2품 관직. 돈녕부에 1인, 의금부에 1∼2인, 경연에 3인, 성균관에 2인, 춘추관에 2인, 중추부에 8인을 두었다. 직함은 돈녕부의 동지사일 경우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라고 표기하였다. 돈녕부 이외의 제아문의 동지사는 모두
-
변무사 / 辨誣使 [정치·법제/외교]
었다. 사행의 규모는 정례사신인 동지사(冬至使)와 같거나 때로는 더 크기도 하였다.
-
수찬관 / 修撰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춘추관의 정3품 당상관. 타관이 겸하였다. ≪경국대전≫에 정3품아문으로 한 것은 정1품에 영사(領事) 1인과 감사(監事) 2인, 정2품에 지사(知事) 2인, 종2품에 동지사(同知事) 2인이 있었지만 모두 재신으로 타관이 겸하고 있었으므로 실질적인 장관은 정
-
구압물 / 舊押物 [정치·법제/외교]
조선시대 중국 북경으로 가는 사신의 수행원으로서, 방물의 호송 및 관리 책임자. 사역원의 역관 중에서 임명되었다. 동지사·성절사 등의 정기 사행에는 2인의 구압물이 방물영거관(方物領去官)으로 편성되어 수행하였다.
-
권돈인 / 權敦仁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서화가(1783∼1859). 동지사의 서장관과 진하 겸 사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이조판서와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랐다. 철종의 증조인 진종의 조천례에 관한 주청으로 인해 순흥으로 유배되었다. 서화에 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