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동지공거” 에 대한 검색결과 15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7)

사전(14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예부시(禮部試)의 시관(試官). [내용] 지공거의 보좌역으로 정원은 1인이다. 972년(광종 23)에 둔 적이 있으나 곧 폐지되었고, 1083년(순종 1)에 다시 두어 이후 조선 초기에 이르기까지 존속하였다. ...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조선 초기 지공거(知貢擧)를 보좌하여 과거의 문과 시험을 주관하던 시관(試官).
    정의고려‧조선 초기 지공거(知貢擧)를 보좌하여 과거의 문과 시험을 주관하던 시관(試官).[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dongji gonggeo | MR표기tongji kongg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곽여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되었다. 1279년(충렬왕 5)에 ()가 되어 진사 33인과 명경 2인을 뽑았다. 그 해 전란 때문에 생긴 유망민(流亡民)을 불러모으기 위하여 계점사(計點使)가 되어 전라도에 나갔다가 내고(內庫)의 처간(處干: 佃戶)을 부역시키지 말라...
  • 좌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과거를 주관하는 지공거(知貢擧)ㆍ()에 대한 지칭. [내용] 은문(恩門)이라고도 한다. 급제자는 문생(門生)이라고 하였는데 양자의 예(禮)는 심히 중하게 여겨졌다. 공거(貢擧)는 학사라고도 칭하였는데, 학사...
    이칭별칭은문(恩門)
  • 염신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연으로 국자좨주 한림시강학사(國子祭酒翰林侍講學士)가 되었으며 뒤이어 판대부사(判大府事)가 되었다. 1177년에 ()가 되어 진사(進士) 35인과 명경(明經) 4인을 뽑았다. 그해 그의 종이 정중부(鄭仲夫)의 종과 다투다가 정중부에게 잡혀 죽고 그는 파면...
    이칭별칭 공가(公可)| 효문(孝文)

고서·고문서(8)

  • 經史門7_麗朝禮數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 靡所不談, 比之奇車、孔雀、牧丹之問, 又各一時也.” 其貢擧之制, “試日天未明, 知貢擧坐北牀南向, , 坐西牀東向. 監察奉命, 坐于南少西, 上東北向. 將校執旗, 分立階下. 擧子旣集, 貢院吏呼名, 分處之兩廡, 立東西, 書試題, 掛其上. 日至禺中, 承宣奉金印至. ...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3860 중국 정서 송회요집고 026 목종(穆宗) 1 998 2 29 宋會要輯稿 選擧 1之6 眞宗咸平元年二月十九日 以翰林學士楊礪權知貢擧 知制誥李若拙 直昭文館梁顥 直史館朱台符權 准詔放合格進士孫僅已下五十一人 文獻通考 眞宗咸平...
    국가중국 | 서명송회요집고 | 왕대목종(穆宗)  1
  • 知貢擧任懿朴景仁下得同進士及第例加良醞丞同正太遼天慶二年出爲晉陽司錄兼掌書記政滿至八年拜齊安府錄事遷大原府典籤國子博士入權察院出守寶城郡前是有群虎入境害人物民並苦之公至郡設陷穽盡獲之至于今稱焉⁄中年遷晉陽通判會海賊八百餘人保于巨濟郡界暴戾恣睢殺越人于貨一方騷然按察使李仲宣撫使鄭應文等往諭之而...
    출처전거高麗墓誌銘集成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經史篇八]論史門五_麗朝禮數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본에는 ‘問’ 뒤에 ‘答’이 있다., 又各一時也.” 其貢擧之制, “試日天未明, 知貢擧, 坐北牀南向; , 坐西牀東向. 監察奉命, 坐于南小 小: 규장각본ㆍ미의회도서관본ㆍ성균관대본(가)ㆍ성균관대본(나)ㆍ성호기념관본ㆍ아단문고본(가)ㆍ연세대본(가)ㆍ연세대본(나)에는 ‘少...
    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4224 중국 문집 공괴집 005 기타 攻媿集73 跋金花帖子綾本小錄[王扶盛京] 集賢王公金花帖子其孫鄜州謂端拱二年太宗朝第三牓者誤也當以益公所攷爲正尙書宋公名白時以翰林學士禮部侍郞知貢擧其則知制誥李公沆帖子花押蓋二公也咸平元年知擧四人楊給事礪李舍人若拙梁...
    국가중국 | 서명공괴집 | 왕대기타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예부시의 시관. 지공거의 보좌역으로 정원은 1인이다. 972년(광종 23)에 둔 적이 있으나 곧 폐지되었고, 1083년(순종 1)에 다시 두어 이후 조선 초기에 이르기까지 존속하였다. 1315년(충숙왕 2) 지공거가 고시관으로 개칭됨에 따라 동고시관으로 바뀌

  • 이천 / 李蒨 [종교·철학/유학]

    ?∼1349(충정왕 1). 고려 후기의 문신. 1299년(충렬왕 25)에 국자감시에 급제하였다. 1344년(충혜왕 복위 5)에 지공거 박충좌와 함께 로서 진사를 뽑고 하을지 등 33인에게 급제를 주었다. 같은 해에 첨의평리 상의로 원나라에 가서 교사를 축하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