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동지경연사” 에 대한 검색결과 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1)

사전(6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경연청(經筵廳)에 소속된 종2품의 관직. [내용] 고려말 1390년(공양왕 2) 정월에 열린 경연에서 처음으로 의 직함이 나타나는데 이때는 2인이 정원이었다. 그 뒤 조선 세종 때에 국왕 자신이 경연에 대한 관심...
  • 이재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받았다. 그 후 1874년 규장각대교(奎章閣待敎), 1876년 성균관 대사성과 홍문관 부제학, 1877년 이조참의, 1878년 규장각 직제학과 홍문관 부제학, 1880년 ()와 이조참판과 예조참판, 1881년 통리기무아문 선어학당상(統理機務衙門...
    이칭별칭헌간(獻簡)
  • 민백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방방(放榜)하고 그를 승지에 임명하니, 사람들이 너무 지나친 예우라고 하였다. 두달 뒤 충청도관찰사가 되었으며, 그로부터 또 석달이 지난 뒤 대사간이 되었다가, 넉달 뒤 다시 승지가 되었다. 1765년 이조참의, 1767년 동지의금부사, 이듬해 (...
    이칭별칭 기지(起之)
  • 정인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1889년에는 왕세자가 종묘에서 동향 (冬享)하였을 때 대축(大祝)을 한 공으로 가자(加資)되었고, 이 해 성균관대사성에 임명되었으며 1894년에는 이조참의‧() 등을 지냈다. 1897년에는 중추원의관(中樞院...
  • 오수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었다. 1748년 부제학, 1753년 대사성에 이어 예조참판에 승진하였다. 이어 동지의금부사, 이듬해 대사간ㆍ대사헌ㆍ부제학ㆍ를 역임함대사간ㆍ대사헌ㆍ부제학ㆍ를 지냈으며, 이후 개성유수를 거쳐 1758년 대사헌에서 관직을 떠났다. 일찍...
    이칭별칭 사수(士受)| 체천(?泉)

고서·고문서(20)

  • 16870 B016870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正祖實錄 十年(1786) 春正月 정조실록_11001019_002 ○以李在恊、徐浩修爲知經筵事, 吳載純、閔鍾顯爲, 朴祐源爲 H010403]江華府留守。
    출처전거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李熹公實錄資料 3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兼가 되었다는 내용으로 『王公履歷書』에서 채록하였다. 는 조선시대 경연청(經筵廳)에 소속된 종2품의 관직이었다. 정욱재 2015. 02. 02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77년 김두흠(金斗欽)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하였다. 죽은 손자의 상이 끝나는데, 슬픈 심정을 병중에 감당하기 어렵다고 하였다. 일전에 상대방의 맏형이 체직되어 돌아왔고, 상대방은 에 제수된 소식을 들었다고 하였으며, 성기가 돌아왔는지도 물어보았다. 추가하여 기록한 글에서는 지난 12월 말에 庶母와 동서...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李埈公實錄資料 2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7)을 에 제수한다는 내용으로 『日省錄』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5. 01. 06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1. 06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埈公實錄資料 2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917)이 兼 가 되었다는 내용으로 『王公履歷書』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5. 01. 06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1. 06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경연청에 소속된 종2품의 관직. 고려말 1390년(공양왕 2) 정월에 열린 경연에서 처음으로 의 직함이 나타나는데 이때는 2인이 정원이었다. 그 뒤 조선 세종 때에 국왕 자신이 경연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면서 1418년(세종 즉위년)에 지사·시강관과

  • 정광경 / 鄭廣敬 [종교·철학/유학]

    교, 충청도관찰사, 대사헌, , 이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 황구하 / 黃龜河 [종교·철학/유학]

    1672(현종 13)∼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문신. 형 증손, 할아버지는 신구, 아버지는 건, 어머니는 이문행의 딸이다. 1705년(숙종 31)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 좌부빈객, 호조판서, , 한성부판윤, 예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