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동자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
사전(6)
- 동자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반적인 지식보다는 전인 교육에 노력해 완전한 인격을 육성하는 데 전심하고 있음을 알게 한다. 동자례 / 거향잡의 동자례 / 거향잡의
- 선현격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ㆍ동자례(童子禮), 양자법언(楊子法言) 상ㆍ하의 여러 편, 양웅(揚雄)의 극진미신(劇秦美新)ㆍ이서양태상박사서(移書讓太裳博士書),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유파촉격(喩巴蜀檄)ㆍ여조장사서(與曺長史書)ㆍ후한광무기찬(後漢光武紀贊)ㆍ사평원내사표(謝平原內史表) 등이 있으며, 뒤에...
- 거향잡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김성일(金誠一)이 『여씨향약(呂氏鄕約)』과 향교‧마을에서 행하는 예를 모아 만든 책. [편찬/발간 경위] 1910년 후손 김도연(金道淵) 등이 편집하여 『동자례(童子禮)』와 합간하였다. 김도화(金道和)‧이중곤(李中錕)의...
- 社學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句, 經傳, 擬題, 搆文, 浮華, 放誕, 讀書, 窮理, 聖賢, 心法, 靜坐, 整齊, 嚴肅, 讀書法, 經書, 身體, 壽命, 血脈, 采色, 課程, 記誦, 學舍, 四堂, 習禮堂, 童子禮, 士相見禮, 婚禮, 子事父母禮, 婦事舅姑禮, 祀先禮, 鄕射禮, 進學, 升降, 拜揖, 坐立...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7권 12장 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우복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경학에 일정한 공헌을 남겼다. ≪주역≫에 있어서는 ≪역학계몽 易學啓蒙≫ 및 ≪계몽전의 啓蒙傳疑≫에 대해 동양 철학의 기본 문제를 다루면서 적지않은 신설(新說)을 발표하였다. <양정편>은 ≪향교예집 鄕校禮輯≫의 동자례편(童子禮篇)을 간추려 이를 약간 수정한 것이다...
고서·고문서(8)
- 김종수(金宗壽) 동자례(童子禮)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역사-역사서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 금산(錦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靑大東喬 鳳頭沙項 禾老平村 新垈加長 杏亭中山 觀音蘭化 新安斗奉 大召燕巢鶴洞上呂 蓮花內里 立村半月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포(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浦 新基梨木栗村面北六十里凡二十六洞 三山狐山 錦山稠禾靑大東喬 鳳頭沙項 禾老平村 新垈加長 杏亭中山 觀音蘭化 新安斗奉 大召燕巢鶴洞上呂 蓮花內里 立村半月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은일고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가르침을 구하니, “儒學은 高 遠하고 행하지 어려운 것이 아니라 평상의 생활에 있는 것이다. 그대의 집에『童子禮』 와『居鄕雜儀』가 있을 것이다. 그 책은 나의 선조 鶴峯선생께서 중국에 사행을 갔다가 구하여 그대의 선조 虎谷公에게 준 것인데, 그대는 집에 돌아가 그 책을...분야문학 | 유형문헌
- 虞祭 一 【陳牲ㆍ設洗ㆍ設几筵ㆍ陳器ㆍ陳鼎ㆍ升牲】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鄭云‘反吉’也。 下甲八 “尊于室中北墉下,當戶兩甒,醴ㆍ酒,酒在東,無禁,幂用絺布,加勺,南枋。” 鄭曰:“酒在東上醴也。【賈云:“吉禮玄酒在上。今喪祭無玄酒,則醴在上。”】 無禁,謂不用棜禁而錯於地也。絺布葛屬。” ○案 〈禮運〉曰:“玄酒在室,醴醆在戶,澄酒在下。” 【〈坊記〉云:“醴酒在室,...권차명喪禮四箋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2)
-
동자례 / 童子禮 [종교·철학/유학]
김성일이 동자들에게 가르치는 예절을 모아 예절의 교과서로 사용한 책. 불분권 1책. 목판본. 1910년 후손 도연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와 이중곤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발·김종하·김휘철·박승진의 발문이 있다. 검속신심 11편, 사부사사 11편, 서당
-
거향잡의 / 居鄕雜儀 [종교·철학/유학]
김성일이『여씨향약』과 향교·마을에서 행하는 예를 모아 만든 책. 불분권 1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1910년 후손 김도연 등이 편집하여『동자례』와 합간하였다. 김도화·이중곤의 서문과 김발·김종하·김휘철·박승진의 발문이 있다. 배항지등·상견지례·왕환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