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동소유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3)
- 동소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지 않고는 이룰 수 없다고 전제하고, 부단한 노력만이 좋은 문장을 이룰 수 있다고 논하였다. 동소유고 동소유고 조선 후기의 학자...
- 계룡산기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31년(영조 7) 남하정(南夏正)이 지은 기행문. [구성 및 형식] 작자의 문집인 『동소유고(桐巢遺稿)』 권4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1731년 가을에 남하정은 산소를 이장하고 나서 두 동생...
- 계룡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계룡기행>이 그의 문집 ≪동소유고 桐巢遺稿≫에 수록되어 있다. 지금 상황과 비교하기 위해서 부분적으로 발췌해 보면 다음과 같다. “아침에 동학사를 찾았다. 동학사는 계룡산 북쪽 기슭에 있는 옛 절인데, 양쪽 봉우리에 바위가 층층으로 빼어나고 산이 깊어 골짜기가...
고서·고문서(1)
- 해좌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의 문집인 『一閒齋集』의 서문이다. 一閒齋의 玄孫 趙時貞의 부탁을 받고 썼다. 인조반정 전후에 趙某가 보인 한결같은 처신과 그가 남긴 수준 높은 시를 높이 평가하면서 재능을 다 발휘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수명을 누리지 못했던 것을 안타까워하고 있다. 桐巢遺稿序 (1...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동소유고 / 桐巢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남하정의 시문집. 7권 4책. 석인본. 1775년(영조 51) 아들 규가 편집, 1927년 방손 상순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경종의 서문과 권말에 상순의 발문이 있다. 권1∼3은 시, 권4는 서(書)·서(序)·기·발·명·상량문, 권5는 묘지·묘표·행
-
계룡산기행 / 鷄龍山記行 [문학/한문학]
1731년(영조 7) 남하정(南夏正)이 지은 기행문. 작자의 문집인 『동소유고(桐巢遺稿)』 권4에 수록되어 있다. 「계룡산기행」은 1731년 겨울에 쓴 것으로, 문장이 간결하고 아름다우며 기행문으로서의 요건을 잘 갖추고 있다. 유려한 시적 표현으로 묘사한 주위 경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