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동성동본불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10)
- 동성동본불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더라도 시조가 같으면 혼인을 하지 않고 동성동본이더라도 시조가 다르면 서로 혼인하였으니, 동성동본불혼은 정확히 말하면 동종불혼(同宗不婚)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종(宗) 또는 종족은 공동조상에서 나온 남계혈통을 총괄하는 것으로서, 여계(女系)나 다른 종과 같은...이칭별칭근친금혼
- 월삼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혼인에서 성(姓)을 셋 이상 넘어야 한다는 금혼 규정. [내용] 전통적으로 혼인규정으로 널리 알려진 것이 동성동본불혼(同姓同本不婚)이다. 성과 본이 같으면 한 조상에게서 유래된 같은 종족이기 때문에 그 촌수가 아무리 멀다 하여도 혼인을
- 이태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향상을 위한 여성운동이었다. 그의 운동은 호주제 폐지, 이혼 때 재산분할청구권과 부모친권, 동성동본불혼제 등의 ‘가족법개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노력은 1989년 가족법개정으로 결실을 맺었다. 1977년 이른바 명동3‧1사건으로 실형을...
- 친족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지니고 있다. 조선시대 이후 전통법으로 자리 잡은 남계혈통중심주의와 동성동본불혼제도의 기본골격은 거의 무너졌고, 가부장적‧남녀 차별적 요소도 거의 사라지면서 인간존엄과 남녀평등의 헌법 정신에 입각한 현대 가족법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핵가족 제도로 급속히 변화되고 있...
- 통혼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혼권은 다른 말로 표현하면, 일정한 범위 이내의 사람과 혼인하는 내혼제(內婚制)라 할 수 있다. 내혼제는 외혼제(外婚制)와 대비되는 것으로, 외혼제는 일정한 범위 밖의 사람과 혼인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 나라에서 외혼제의 대표적인 것은 동성동본불혼의 원칙에서 말하는 씨...
신문·잡지(1)
- 여원_1958_04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박병화 109 나는 동성동본불혼제의 희생자 유남희 114 정비석씨에 대한 독자의 불만과 희망 정비석, 정인수, 권정희, 권영화, 박인숙, 백영자...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8
주제어사전(1)
-
동성동본불혼 / 同姓同本不婚 [사회/가족]
과 관계되는 것으로, ‘외혼율’은 혼인대상자를 일정한 범위 밖에서 구하는 것이다. 동성동본불혼(同姓同本不婚)은 바로 외혼율이며, 성과 본을 같이 하는 사람들 사이의 혼인을 금하는 것이기 때문에 씨족외혼제(氏族外婚制)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