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동생” 에 대한 검색결과 46,43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6,215)

사전(3,67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같은 어버이에게서 태어난 아우와 손아래누이, 또는 같은 항렬에서 자기보다 나이가 적은 사람을 일컫는 친족용어. [내용] ≪역어유해 譯語類解≫에는 친을 ‘동아’라 하였다. 아우와 손아래누이를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는 ‘남’‧‘여...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복(同腹), 동복(同腹) 사회친족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조선 문숙자 [정의] 같은 아버지에게서 태어난 남매. [개설] 은 같은 아버지에게서 태어난 남매...
    관련어동복(同腹), 동복동생(同腹同生)
  • 김흔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의 왕족. [내용] ‘김흠질(金欽質)’이라고도 기록되어 있다. 성덕왕의 으로, 726년(성덕왕 25) 당나라에 입조사(入朝使)로 가서 낭장(郎將)의 관직을 받고 돌아왔다. 『...
    이칭별칭김흠질(金欽質)
  • 부여우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백제시대의 왕족. [내용] 고이왕의 이다. 백제는 260년(고이왕 27)에 6좌평을 비롯하여 16관등 및 공복(公服)을 제정하는 등 정치체제의 일대 개혁을 단행하였는데, 이 때 새로 설치된 내신좌평(內臣佐平)에 임명되었...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남편의 을 일컫는 친족호칭. [내용] ‘시집’‧‘시가’를 뜻하는 접두사 시(媤)에 을 합하여 이룩한 말이다. 이는 간접호칭이며, 직접 부를 때는 ‘도련님’‧‘서방님’이라 한다. ‘도련님’은 혼인 전의 시을, ‘서방님’은...

논문(1)

고서·고문서(40,836)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남자 전라북도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 훈춘현(珲春县) 전선촌 2 1 , 신...
    대표표제어동생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민 남자 경상북도 경주시 흑룡강성(黑龙江省) 연수현(延寿县) 연안공사 1 1 , 누님, 찾으려고, 고양,...
    대표표제어동생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강 여자 길림성(吉林省) 훈춘현(珲春县) 경신공사 이도포대대 3대 2 2 , 데리고, 라진, 떠났습니다, 고향,...
    대표표제어동생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남자 길림성(吉林省) 1 1 , 눈님, 경조, 찾는, 편지, 보낸후, 차질수없겠다고, 있은나, 마참, 83년, 10...
    대표표제어동생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연수현(延寿县) 평안공사 3 3 , 김씨, 동포, 여러분, 친혈, 찾으려는, 심정,...
    대표표제어동생 | 성씨

구술자료(473)

  • 어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79-08-10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거제면 | 제보자김재연
  • 여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야기가 끝나자 이젠 할 이야기가 없다며 완강히 거절했다. 조사자는 그럼 민요나 들려달라고 하여 잠시 민요 채록에 들어가 민요 채록을 마친후 다시 설화 구연을 부탁했다. 꽤 오랫 동안 생각하더니 이야길 시작했다.*
    조사일시1984-03-30 | 조사장소전라남도 승주군 상사면 | 제보자정금선
  • 호랑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좋은 제보자를 찾을 수 없어 포기하고 그냥 흑석리를 나오는 길인데 길 옆 밭에서 경운기로 파놓은 고구마를 모으고 있는 중년 부부가 있었다. 부인이 조사자를 보더니 왜 이렇게 일찍 가느냐고 말을 걸었다. 그래서 지난 밤 조사자에 관하여 소문을 들은 줄 알았고 이 부인...
    조사일시1984-11-04 | 조사장소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 제보자김달심
  • 담 큰 끝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제보자는 많은 이야기를 알고 있었다. 명당 묘터 이야기를 듣고 싶다고 하였더니 이제는 하지 않으려고 했다. 옆에서 제보자의 친구 되는 분이 하나만 더 해달라고 자꾸 권하자 이 이야기를 했다. *
    조사일시1982-08-13 | 조사장소경상남도 김해군 상동면 | 제보자한길석
  • 연모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양 | 제보자모연이

기초학문(106)

  • 활과 노동정책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희재, 게재일 : 2002
    01723 김희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2 노활과 노동정책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51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근로자주식소유참여와 노산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3
    31707 한국연구재단 한국경제학회 2003 근로자주식소유참여와 노산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金融危機餘中國山市老年人生活情況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익기, 게재일 : 2010
    39759 김익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길림성사회과학원 2010 金融危機餘中國山市老年人生活情況硏究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과역연구와 정치: 나치시대의 '노리학'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송충기, 게재일 : 2012
    36077 송충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일사학회/한국독일사학회 2012 과역연구와 정치: 나치시대의 '노리학'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투입-산출데이터를 이용한 가격과 노산성의 관계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5
    38765 한국연구재단 한국경제학회 2005 투입-산출데이터를 이용한 가격과 노산성의 관계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
    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898)

  • 暴動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쳥국광동셩에 폭동이 닐어남으로써 일본남쳥함 그곳으로 급히갓다더라
    게재일1907년 5월 31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출판경찰보 114호 노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일본 언론·출판 문헌 근대 출판경찰보 114호 노활 노활(勞活) 제6호 미기재 미기재 지나(支那) 일본_1938년 8월 20일 금지 안녕 중국어 노활 “대중이여 일어나 중국을 구하라”라는 제목의...
    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14호 노동생활 | 출판물명노동생활(勞動生活) 제6호
  • 達城선거장에서, 在大邱 洛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達城선거장에서, 在大邱 洛 1916년 6월30일 대구 대구 대구상업회의소 의원선거에서 조선인들은 경쟁 없이 당선자...
    대표표제어達城선거장에서, 在大邱 洛東生 | 연월일1916년 6월30일 | 지역대구
  • -(大命保險株式會社 京城支部)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大命保險株式會社 京城支部) 서울 - 大命保險株式會社 京城支部 南大門通 1-18 보험 주식회사 생명보험 - 300.61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
    대표표제어-(大同生命保險株式會社 京城支部) | 지역서울 | 품목보험 | 영업종목생명보험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全鮮兒徒 テンペラ クレヨン 画展附記(1) (조선 아도 템페라 크레용 -화전부기(1))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기사명_원문全鮮兒童生徒 テンペラ クレヨン 画展附記(1) | 기사명_한글조선 아동생도 템페라 크레용 -화전부기(1) | 게재일19301014 | 게재판 | 게재면06 | 게재단1-2

멀티미디어(1)

  • 월남에 쿠데타 성공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자유월남(남베트남)에서 벌어진 혁명으로 고딘디엠 정부가 붕괴한 것을 알리는 영상이다. 혁명 이후 모습은 사진으로 대체했으며 뒷부분에는 고딘디엠 대통령과 그의 부부의 한때 모습을 담았다.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3년 11월 1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기타자료(224)

  • (특집 보건체육교육) 운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특집 보건체육교육) 운리 (특집 보건체육교육) 운리 (特輯 保健敎育敎育) 運理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교육 교육총류 교육학 ...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효웅 | 사료철명교육전남
  • 활의 특징에 의한 종합교육원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활의 특징에 의한 종합교육원리 아활의 특징에 의한 종합교육원리 兒活의 特徵에 依한 綜合敎育原理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원경 | 사료철명조선교육
  • 활영역 발달계열의 검토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활영역 발달계열의 검토 아활영역 발달계열의 검토 兒活領域 發達系列의 檢討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 교육과정 생활지도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권영욱 | 사료철명교육연구
  • 대무예 대창발가가 내조하여 숙위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대무예 대창발가가 내조하여 숙위하다. 교류담당 725년(乙丑/신라 성덕왕 24/발해 무왕 仁安 7/唐 開元 13/일본 神龜 2) 발해 발해→당 ...
    대표표제어대무예 동생 대창발가가 내조하여 숙위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25년(乙丑/신라 성덕왕 24/발해 무왕 仁安 7/唐 開元 13/일본 神龜 2)
  • 대무예 대창발가가 내조하여 숙위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대무예 대창발가가 내조하여 숙위하다. 교역물품 725년(乙丑/신라 성덕왕 24/발해 무왕 仁安 7/唐 玄宗 開元 13/日本 聖武天皇 神龜 2) 발해...
    대표표제어대무예 동생 대창발가가 내조하여 숙위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25년(乙丑/신라 성덕왕 24/발해 무왕 仁安 7/唐 玄宗 開元 13/日本 聖武天皇 神龜 2)

연구과제(4)

주제어사전(214)

  • / [사회/가족]

    같은 어버이에게서 태어난 아우와 손아래누이, 또는 같은 항렬에서 자기보다 나이가 적은 사람을 일컫는 친족용어. ≪역어유해 譯語類解≫에는 친을 ‘동아’라 하였다. 아우와 손아래누이를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는 ‘남’·‘여’이라 일컫는다. 남을 한자말로

  • / 媤 [사회/가족]

    남편의 남을 가리키는 친족용어. ‘시집’·‘시가’를 뜻하는 접두사 시(媤)에 을 합하여 이룩한 말이다. 이는 간접호칭이며, 직접 부를 때는 ‘도련님’·‘서방님’이라 한다. ‘도련님’은 혼인 전의 시을, ‘서방님’은 혼인 뒤의 시을 부를 때에 사용한다.

  • 동성교여집 / 校餘集 [문학/한문학]

    조선 정조의 문집인 『홍재전서(弘齋全書)』 교인(校印)의 일에 종사한 규장각 각신 15인의 시를 모은 책. 2권 1책. 활자본. 권두에 김조순(金祖淳)·남공철(南公轍)·김이교(金履喬) 등의 서문이 있다. 이 책에 수록된 시는 고율(古律)·장단가(長短歌) 등 각체인데,

  • 조광현 / 趙光玹 [종교·철학/유학]

    1553년(명종 8)∼미상. 부친은 조사필이다. 형은 조광숙, 은 조광위인데, 과 함께 율곡 이이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벼슬은 제릉참봉‧금성현령‧충익위에 이어 호조좌랑에 이르렀다. 저서로는『금탄유고』가 있다.

  • 윤유심 / 尹唯深 [종교·철학/유학]

    1551~1612. 윤의중의 큰아들이다. 1576년에 과 나란히 생원시에 합격했다. 관직은 장단부사, 예빈시부정을 지냈다. 아버지인 윤의중이 죽은 후에도 오랫동안 관작이 회복되지 못하자 과 함께 여러 차례에 걸쳐 억울함을 풀어달라는 상소를 올려 결국 복관되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