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동산별감” 에 대한 검색결과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보통 ‘’이라 불렀다. 六典條例
  • 액정서(掖庭署)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감(歌舞別監), (), 상언별감(上言別監), 정자(城上), 중금(中禁), 탕수색(湯水色)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이근호 1392년(태조 1) 1894년(고종 31) [정의] 조선시대...
    상위어이조(吏曹) | 하위어서방색(書房色), 세수간(洗手間), 수사간(水賜間), 부사소(副司掃), 부사안(副司案), 부사약(副司鑰), 부사포(副司鋪), 사소(司掃), 사안(司案), 사알(司謁), 사약(司鑰), 사포(司鋪) | 관련어가무별감(歌舞別監), 동산별감(東山別監), 상언별감(上言別監), 정자(城上), 중금(中禁), 탕수색(湯水色)

고서·고문서(1)

  • [經史篇八]論史門五_奇自獻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奇自獻 宣廟有易樹之意而未決, 一日命, 以一盆老松, 往問于 于: 규장각본ㆍ성호기념관본에는 ‘於’로 되어 있다.奇自獻 獻: 미의회도서관본ㆍ아단문고본(가)ㆍ연세대본(가)에는 ‘獻’ 뒤에 ‘曰’이 있다. : “樹嘉盆醜, 不相稱, 欲易以他盆, 何如?” 奇對曰: “盆雖...
    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액정서에 소속된 대전별감. 대전별감은 왕의 시중과 호위를 담당하던 하례로서 42인이 지정되어 있었는데, 정조 때 그 중 2인으로 하여금 창덕궁 내의 건양현을 담당, 관리하게 하였다. 이들을 보통 ‘’이라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