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동변군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
사전(2)
- 동변군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내의원(內醫院)에 속하였던 노비. [내용] 동변군(童便軍)이라고도 하며 『육전조례(六典條例)』에 그 정수는 3인으로 되어 있다. 의약서에 따르면 동변은 12세 미만의 아이들 오줌으로, 허로(虛勞)‧빈뇨(頻尿)‧유정(遺精)‧...이칭별칭동변군(童便軍)
- 내의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令) 7인, 임시사령 5인, 의약청사령 2인, 침의청사령 2인, 급수사령(汲水使令) 1인, 군사(軍士) 2인, 의녀(醫女) 22인, 수여공(水女工) 2인, 동변군사(童便軍士) 3인, 삼청군사(三廳軍士) 18인을 두었다. 내의원은 1885년(고종 22)에 전의사(...
주제어사전(1)
-
동변군사 / 童便軍士 [사회/사회구조]
조선시대 내의원에 속하였던 노비. ≪육전조례≫에 그 정수는 3인으로 되어 있다. 의약서에 따르면 동변은 12세 미만의 아이들 오줌으로, 허로·빈뇨·유정·장양·보음, 인후구설의 창종에 효과가 있다고 하는데 이것을 조달하기 위하여 소속시켰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