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동백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20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3)

사전(16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열매는 삭과(蒴果)이며 3개의 검은 갈색 종자가 들어 있다. 는 섬에서 자라는데 동쪽으로는 울릉도, 서쪽으로는 대청도까지 올라간다. 육지에서는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의 것이 가장 북쪽이고, 내륙에서는 지리산 산록에 위치한 화엄사 경내에서 자라는...
    이칭별칭산다목(山茶木)
  • 군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제주도 남제주군 남원읍에 있는 군락. [내용]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27호. 는 우리나라 난온대림 즉 상록활엽수림대의 숲을 구성하는 표징종(標徵種)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주로 연평균기온이 14℃ 이상인 남해안...
    연계항목동백나무군락(동백나무군락)
  • 충렬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남도 통영시 명정동에 있는 . [내용] 경상남도 기념물 제74호. 충렬사(忠烈祠) 입구 길 양쪽에 줄나무로 심어져 있는 나무 중 가장 오래된 4그루를 보호할 목적으로 기념물로 지정하였다. 나무의 높이는 6....
    연계항목충렬사동백나무(忠烈祠동백나무)
  • 오동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해안 암벽에는 해식동과 풍화혈(風化穴)이 곳곳에 있다. 섬주위 전체가 갯바위로 형성되어 있다. 오동도는 남해안 도서지역에서 자생하는 상록 난대성 수종인 동백, 신이대, 후백, 해송 구실잣밤나무 등을 관찰할 수 있다. 특히 는 전국 최대 군락지로 3,000여 그루...
  • 마량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에 있는 숲. [내용] 천연기념물 제169호. 면적 8,265㎡. 서도국민학교에서 4.5㎞ 정도 떨어진 바닷가의 낮은 언덕에서 자라고 있다. 서쪽 바닷가는 바람이 강하여 몇 그루밖에
    연계항목마량리동백나무숲(馬梁里동백나무숲)

구술자료(3)

  • 한국의 모스크바 ‘강진 수동마을’의 비극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
    우리한테 인자 말하기는 금광하러, 금광. 금광하러 간다고 인자 그랬다고 한 다고. [청자 : 논 팔아가꼬 어디 당에다 바쳤단 말은 못할 거 아니예요. [청자 : 그란데 여기 덕상씨 그 집터가 참 좋더라고. 좋지요 이, 있고] 그 집 지금 인 자 어디냐그믄 가
    조사지역전남 강진 | 조사일2014년 03월 27일
  • 민군이 접수했었잖요 여까지. 그때 얘기, 상황이야. 그니까 고금도로 경찰 병력들이 마량포구에서 배타고 건너가는. 그 길목이 수동이예요. 어머니가 숲에서 내려다보믄, 그 외가에서 내려다보믄, 외가 집 앞에 서 내려다보면 그 신작로가 보여요. 그 길로 이릏게 군인과
    조사지역전남 보성 | 조사일2014년 05월 22일
  • 고, 남한 당국에 서 감시를 하고 있고, 북쪽에서는 우리를 그래도 뭔가 이렇게 선을 댈라고 했을 거 아니에요, 이제 뭔가는? 우리는, 이제 아시니깐 말씀을 드리는데, 기관단총은 저쪽 서재골 밑에가 놓고 있고, 얼마나 그 불안한 생활을 하셨겠어요. 이 큰댁의 형
    조사지역전남 순천 | 조사일2014년 7월 11일

신문·잡지(2)

기타자료(1)

  • 가꾸기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가꾸기 가꾸기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지 이병...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병욱 | 사료철명부산교육

주제어사전(27)

  • / 冬柏─ [과학/식물]

    차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 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두꺼우며 윤채가 난다. 타원형 또는 긴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털이 없다. 꽃은 이른 봄철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는데 적색이며 반쯤 벌어진다. 꽃받침잎은 5개가 떨어져서 달리고 꽃잎은 5∼7개로

  • 군락 / 冬柏─群落 [과학/식물]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에 있는 군락.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27호. 는 우리나라 난온대림 즉 상록활엽수림대의 숲을 구성하는 표징종(標徵種)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주로 연평균기온이 14℃ 이상인 남해안 일대와 남쪽 도서지방에서 자라고 있다. 이곳

  • 강진 백련사 숲 / 康津 白蓮寺 冬栢─ [과학/식물]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에 있는 숲. 천연기념물 제151호. 면적 12,893㎡. 는 우리나라 남쪽 난온대지방 식생(植生)의 대표수종인데 이곳에 있는 는 약 1,500그루가 무리지어 자라고 있으며 높이가 7m에 달하고, 밑에서 가지가 갈라져

  • 거제외간리 / 巨濟外看里冬柏─ [과학/식물]

    경상남도 거제시 거제면 외간리에 있는 . 경상남도 기념물 제111호. 높이 17m, 가슴높이 줄기둘레 2.3m, 수관폭은 동서로 7m, 남북으로 6m에 이르고, 나무의 나이는 약 200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가지와 잎이 무성해서 당당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광령 옥룡사 숲 / 光陽 玉龍寺 冬柏─ [과학/식물]

    이루고 있는 의 줄기둘레는 0.21∼1.83m이고 나무의 평균높이는 5∼6m 그리고 10㎡당 2.2그루의 밀도로 자라고 있다. 우리나라의 는 주로 남쪽 해안지대 또는 도서지방에 분포하고 있는데 이처럼 내륙에 들어와서 넓은 면적에 순림을 형성하는 일은 매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