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동물유래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곰을 범한 토끼
- 구비문학
- 금달걀을 낳는 거위
- 동물담
연구성과물(10)
사전(8)
- 동물유래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설화’ 같은 다른 이야기와 결합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보통이다. 동물유래담은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 동물의 서식처가 제한되어 있고, 동물에 대한 생각도 집단마다 다르므로 각 편은 지역적 편재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개...
- 동물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인간이 동물적인 삶을 유지하며, 그들과 갈등을 일으키던 상고시대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물의 모습이나 특성을 원시적으로 설명하려 했던 동물유래담이 특히 그러하다. 개체 발생에 대한 과학적인 지식이 부족했던 원시인들은 그들이 접촉하였던 생물들의 이상한 생김...
- 개와고양이의구슬다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게 되었다는 설화. 동물유래담에 속하며, 동물의 보은담적 성격도 매우 강하다. ‘개와 고양이의 사이가 나빠지게 된 유래’, ‘견묘쟁주(犬猫爭珠)’, ‘견묘보주탈환(犬猫寶珠奪還)’이라고도 불리며, 전국적으로 널리 구전되고 있다. 옛날 어느 바닷가에 늙은 부부가 물...이칭별칭견묘쟁주설화
- 눈과비단띠를맞바꾼가재와지렁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지렁이는 왜 눈이 없으며 땅속에서 사는가 하는 이유를 다룬 설화. [내용] 동물유래담에 속하는 민간설화 유형의 하나이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옛날에는 지렁이도 눈을 가졌고, 가재는 눈이 없는 대신 훌륭한 비단띠를 가졌다. 서로...
- 까치의재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까치(혹은 하느님)의 처벌을 받은 파리가 사죄의 뜻으로 앞발을 비비게 되었다며 앞발을 비비는 파리 행동의 내력을 설명한 설화. [내용] 동물유래담에 속하는 설화로, ‘참새와 파리 이야기’라고도 하여 널리 구전되고 있다. 아득한 옛날에 참...이칭별칭참새와 파리 이야기
구술자료(1)
- 강원 20180112_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남북리 사회복지관 2층 교육실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이루어진 이야기판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였고, 이야기판의 분위기를 다시 살리기 위하여 조사자가 제보자의 결혼과 이주과정에 관해 제보자와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제보자는 이어서 결혼 소재와 관련 있는 이야기를 자발적으로 구연하였고 신이체험담과 동물유래담을 추가로 더 구연제보자킴나이키 [캄보디아, 여, 1991년생, 결혼이주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신문·잡지(1)
- 통일평론_1983_21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そして笑顔 122 스캔명 수정 필요: 페이지수 122~127로 수정 필요. 朝鮮の笑話について 辛英尚 128 기사분절 필요 動物由来譚, 辛英尚, 135. ...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83
주제어사전(6)
-
동물유래담 / [문학/구비문학]
동물들에 관한 여러 가지 기원(起源)을 설명하는 설화. 전국 여러 지역에서 구전되고 있다. 기원의 종류에 따라 발생·명칭·생김새·특성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그런데 특정 동물의 명칭유래담이 곧 그 동물의 발생유래를 설명하는 경우도 흔하나, 모든 발생유래담이 명칭유래담
-
동물담 / [문학/구비문학]
의인화된 동물들에 관한 설화.동물담 속에 등장하는 동물들은 인간화되어 인간처럼 사고하고 행동하고 대화하며, 선과 악, 현(賢)과 우(愚)의 갈등을 일으킨다. 현전하는 동물유래담 중에는, 당초에는 유래담이 아니었던 것이 전승 과정에서 흥미의 제고(提高)를 위하여 유래담
-
물것들의 싸움 / [문학/구비문학]
이·벼룩·빈대·모기와 같은 물것들의 현재와 같은 형상의 기원을 설명한 설화. 동물유래담에 속하며, 채록 각 편에 따라 ‘빈대의 환갑잔치’·‘이와 벼룩과 모기의 글짓기 내기’ 등으로도 알려져 있다. 채록 지역은 경기도 화성, 충청남도 당진, 전라북도 정읍·구례, 경상북
-
개와 고양이의 구술다툼 / [문학/구비문학]
‘견묘쟁주’의 결합형과, ‘꿩과 이시미’와 ‘견묘쟁주’의 결합형으로 나눌 수 있다. 전반부의 변이는 이 설화가 동물유래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보여 주는 예가 된다. 앞의 것은 두 개의 보은담이 연속된 것으로서, 고난의 해결이 동물의 보은에 의한 것임을 강조하고,
-
게와 원숭이의 떡다툼 / [문학/구비문학]
떡 다툼을 하다가 생겨나게 되었다는, 게의 다리와 원숭이 엉덩이의 형상에 관한 유래 설화. 동물유래담의 하나로 널리 구전되고 있다. 게와 원숭이가 떡을 해 먹기로 하였는데, 떡이 다 되어서 먹으려고 하자 원숭이가 가로채어 나무 위로 올라가 버렸다. 원숭이는 게가 나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