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동물유래담” 에 대한 검색결과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설화’ 같은 다른 이야기와 결합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보통이다. 은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 동물의 서식처가 제한되어 있고, 동물에 대한 생각도 집단마다 다르므로 각 편은 지역적 편재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개...
  • 동물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간이 동물적인 삶을 유지하며, 그들과 갈등을 일으키던 상고시대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물의 모습이나 특성을 원시적으로 설명하려 했던 이 특히 그러하다. 개체 발생에 대한 과학적인 지식이 부족했던 원시인들은 그들이 접촉하였던 생물들의 이상한 생김...
  • 개와고양이의구슬다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게 되었다는 설화. 에 속하며, 동물의 보은담적 성격도 매우 강하다. ‘개와 고양이의 사이가 나빠지게 된 유래’, ‘견묘쟁주(犬猫爭珠)’, ‘견묘보주탈환(犬猫寶珠奪還)’이라고도 불리며, 전국적으로 널리 구전되고 있다. 옛날 어느 바닷가에 늙은 부부가 물...
    이칭별칭견묘쟁주설화
  • 눈과비단띠를맞바꾼가재와지렁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지렁이는 왜 눈이 없으며 땅속에서 사는가 하는 이유를 다룬 설화. [내용] 에 속하는 민간설화 유형의 하나이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옛날에는 지렁이도 눈을 가졌고, 가재는 눈이 없는 대신 훌륭한 비단띠를 가졌다. 서로...
  • 까치의재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까치(혹은 하느님)의 처벌을 받은 파리가 사죄의 뜻으로 앞발을 비비게 되었다며 앞발을 비비는 파리 행동의 내력을 설명한 설화. [내용] 에 속하는 설화로, ‘참새와 파리 이야기’라고도 하여 널리 구전되고 있다. 아득한 옛날에 참...
    이칭별칭참새와 파리 이야기

구술자료(1)

  • 강원 20180112_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남북리 사회복지관 2층 교육실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이루어진 이야기판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였고, 이야기판의 분위기를 다시 살리기 위하여 조사자가 제보자의 결혼과 이주과정에 관해 제보자와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제보자는 이어서 결혼 소재와 관련 있는 이야기를 자발적으로 구연하였고 신이체험담과 을 추가로 더 구연
    제보자킴나이키 [캄보디아, 여, 1991년생, 결혼이주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6)

  • / [문학/구비문학]

    동물들에 관한 여러 가지 기원(起源)을 설명하는 설화. 전국 여러 지역에서 구전되고 있다. 기원의 종류에 따라 발생·명칭·생김새·특성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그런데 특정 동물의 명칭유래담이 곧 그 동물의 발생유래를 설명하는 경우도 흔하나, 모든 발생유래담이 명칭유래담

  • 동물담 / [문학/구비문학]

    의인화된 동물들에 관한 설화.동물담 속에 등장하는 동물들은 인간화되어 인간처럼 사고하고 행동하고 대화하며, 선과 악, 현(賢)과 우(愚)의 갈등을 일으킨다. 현전하는 중에는, 당초에는 유래담이 아니었던 것이 전승 과정에서 흥미의 제고(提高)를 위하여 유래담

  • 물것들의 싸움 / [문학/구비문학]

    이·벼룩·빈대·모기와 같은 물것들의 현재와 같은 형상의 기원을 설명한 설화. 에 속하며, 채록 각 편에 따라 ‘빈대의 환갑잔치’·‘이와 벼룩과 모기의 글짓기 내기’ 등으로도 알려져 있다. 채록 지역은 경기도 화성, 충청남도 당진, 전라북도 정읍·구례, 경상북

  • 개와 고양이의 구술다툼 / [문학/구비문학]

    ‘견묘쟁주’의 결합형과, ‘꿩과 이시미’와 ‘견묘쟁주’의 결합형으로 나눌 수 있다. 전반부의 변이는 이 설화가 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보여 주는 예가 된다. 앞의 것은 두 개의 보은담이 연속된 것으로서, 고난의 해결이 동물의 보은에 의한 것임을 강조하고,

  • 게와 원숭이의 떡다툼 / [문학/구비문학]

    떡 다툼을 하다가 생겨나게 되었다는, 게의 다리와 원숭이 엉덩이의 형상에 관한 유래 설화. 의 하나로 널리 구전되고 있다. 게와 원숭이가 떡을 해 먹기로 하였는데, 떡이 다 되어서 먹으려고 하자 원숭이가 가로채어 나무 위로 올라가 버렸다. 원숭이는 게가 나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