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동물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5)
사전(33)
- 동물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의인화된 동물들에 관한 설화. 동물담 속에 등장하는 동물들은 인간화되어 인간처럼 사고하고 행동하고 대화하며, 선과 악, 현(賢)과 우(愚)의 갈등을 일으킨다. [내용] 동물담에는 동물만이 등장하는 것이 원칙이나, 가끔은 동물과 인간이
- 은혜모르는호랑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호랑이가 자기를 구해 준 은인을 잡아먹으려다가 다시 곤경에 빠지게 되었다는 내용의 설화. [내용] 동물담의 한 유형으로, 일명 ‘여우의 재판’이라고도 한다. 함정에 빠진 호랑이를 구해주자 호랑이는 그 사람을 잡아먹으려 하였다. 그...이칭별칭여우의 재판
- 금달걀을낳는거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욕심을 부리다 금달걀을 낳는 거위를 죽이고는 망했다는 내용의 설화. [내용] 동물담 가운데 치우담(痴愚譚)에 속한다. 내용은 거위가 매일 금달걀을 한개 씩 낳았는데, 그 주인이 거위 뱃속에 든 금달걀을 한꺼번에 가지고 싶은 욕심에 거위를...
- 교수잡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내로 짧은 편이다. 전체의 내용을 보면, 몇 편의 동물담‧신이담‧일반담을 제외하면 거의가 소화(笑話)에 속하는 것으로, 그 중에도 특히 음담패설이 반을 차지한다. 『조선후기문헌설화(朝鮮後期文獻說話)의 연구(硏究)』(조희웅, 형설출판사, 198...
- 기름강아지로호랑이잡은사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기름으로 강아지를 미끄럽게 하여 호랑이를 잡아 부자가 되었다는 내용의 설화. [내용] 소담(笑譚)의 한 종류인 포획담에 속하는 설화 유형이다. 강아지나 호랑이 같은 동물이 등장하고 있어 동물담으로 분류되기 쉬우나, 이들은 의인화되어 있지...
구술자료(3)
- 늑대에게 알을 빼앗긴 까치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현숙 제보자가 〈까마귀가 검은 이유〉 구연을 마친 뒤, 동물담을 이어서 구연하였다. 옛날에 까치가 금색 나무 위에서 예쁜 집을 짓고 일곱 알을 낳아 행복하게 살고 있었다. 늑대 한 마리가 길을 가다가 까치를 발견하고, 알 하나만 달라고 하였다. 까치가 거절하자 까치국가몽골 | 제보자수흐바타르알탄바가나 [몽골, 여, 1966년생, 결혼이주 1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사자와 호랑이의 다툼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승달, 보름달, 겨울, 계절, 바람, 스님, 동물담, 민담, 서울시, 광진구, 화양동 아주 옛날 옛날에 산 속에 호랑이랑 사자가 같이 살고 있었습니다. 돌 그늘, 바위 그늘 아래 같이 살고 있었는데, 둘이 아주 어릴 때부터 또래친구라서 서로 다르다고도 모르고 같이 아국가인도 | 제보자단야지 [인도, 여, 1993년생, 유학 4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음흉한 여우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났다. 여우는 자루 속에 늑대가 든 줄 알고 도망쳤다. 꾀 많은 여우, 나무, 닭, 오리, 딸, 강아지, 자루, 욕심, 늑대, 수흐바타르알탄바가나, 몽골, 강원도, 횡성군, 원주시, 민담, 동물담 몽골에 많아요. 이야기가. 한 여우가 길거리를 달려가다가 나무 하나를국가몽골 | 제보자수흐바타르알탄바가나 [몽골, 여, 1966년생, 결혼이주 15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4)
- 동물담의 웃음 유발 방식과 특성-바보 호랑이 설화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복순, 게재일 : 201545816 김복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앙어문학회 2015 동물담의 웃음 유발 방식과 특성-바보 호랑이 설화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유형논문 | 게재일2015
- 20세기 초 한국과 미국의 동물담론 비교 연구: 안국선의 『금수회의록』과 마크 트웨인의 『동물법정』에 나타난 "천성"의 차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봉은, 게재일 : 200504070 김봉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05 20세기 초 한국과 미국의 동물담론 비교 연구: 안국선의 『금수회의록』과 마크 트웨인의 『동물법정』에 나타난 "천성"의 차이 https://www.k유형논문 | 게재일2005
- 동물설화의 치유적 성격에 대한 비교문학적 고찰- 한국의 〈호랑이설화〉와 북미 원주민의 〈코요테설화〉를 대상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원오, 게재일 : 2014/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23580&local_id=10047222 한국과 북아메리카 원주민 설화의 비교분석-동물담을 중심으로- https://w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창세신/동물’의 창세행위와 동물의 위상에 대한 인식 비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원오, 게재일 : 2014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23580&local_id=10047621 한국과 북아메리카 원주민 설화의 비교분석-동물담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5)
- 동물담(動物談)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동물담(動物談)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조양보(朝陽報) 조양보(朝陽報)_8호 梁卓如의動物談 1906. 10. 25. 소설 198~199 281~282 미상(未詳) 대한제국 량치차오(梁啓超) 청(淸) 여러 동물들의 이...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8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동물담(動物談)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동물담(動物談)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서우(西友) 서우(西友)_3호 動物談 1907. 02. 01. 문원 66 202~205 편집부 대한제국 애시객(哀時客) 중국 문답을 가설하여 동물에 대한 담론을 풀어 놓은 글...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3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세계의 큰 동물에 대한 담론[世界大動物談]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세계의 큰 동물에 대한 담론[世界大動物談] 언론 출판 문헌 근대 태극학보(太極學報) 태극학보(太極學報)_13호 世界大動物談 1907.08.24. 講壇/學園 323~324 440~442 KNY생(KNY生) 대한제국 ...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13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추위 속의 동물 이야기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추위 속의 동물 이야기 언론 출판 문헌 근대 태극학보(太極學報) 태극학보(太極學報)_18호 寒中動物談 1908.01.24. 學園 477~478 639~640 유종수(柳種洙) 대한제국 동물들이 추위를 이겨...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18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조선문조선_1929_13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취미의동물담-특히모성애에대하야 조준기 96 백수한화 곽창현 103 내지시찰을필하고서 신낙균 108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9
주제어사전(12)
-
동물담 / [문학/구비문학]
의인화된 동물들에 관한 설화.동물담 속에 등장하는 동물들은 인간화되어 인간처럼 사고하고 행동하고 대화하며, 선과 악, 현(賢)과 우(愚)의 갈등을 일으킨다. 현전하는 동물유래담 중에는, 당초에는 유래담이 아니었던 것이 전승 과정에서 흥미의 제고(提高)를 위하여 유래담
-
기름 강아지로 호랑이 잡은 사람 / [문학/구비문학]
기름으로 강아지를 미끄럽게 하여 호랑이를 잡아 부자가 되었다는 내용의 설화. 소담(笑譚)의 한 종류인 포획담에 속하는 설화 유형이다. 강아지나 호랑이 같은 동물이 등장하고 있어 동물담으로 분류되기 쉬우나, 이들은 의인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 유형은 동물담이 아니라 포
-
청개구리설화 / 靑─說話 [문학/구비문학]
청개구리가 비가 올 때면 우는 이유를 설명한 설화. 동물담(動物譚) 중 유래담(由來譚)에 속한다. 중국 당나라 이석(李石)의 『속박물지(續博物志)』 권9, 은성식(殷成式)의 『유양잡조속집(酉陽雜俎續集)』 권4, 10세기말 송나라 때에 나온 『태평광기(太平廣記)』 권3
-
박세통설화 / [문학/구비문학]
고려 중기의 문신 박세통에 관한 설화. 동물을 구해주고 보은을 받았다는 동물담이 박세통과 결부된 인물전설이다. 문헌설화는 이제현(李齊賢)의 『역옹패설(櫟翁稗說)』, 『영해군읍지』와 『교남지(嶠南誌)』에 실려 있다. 구전설화는 박세통의 출생지인 경상북도 영해에서 전승된
-
보은설화 / [문학/구비문학]
그러나 대체로 이 설화는 동물들의 보은을 소재로 취하는 것이 대다수이기 때문에 동물담에서 다루는 것이 보통이다. 보은하는 동물은 ① 집에서 기르는 동물, ② 어떤 위기에 처한 경우에 구출된 동물, ③ 집에서 기르는 동물은 아니나 우연한 기회에 친해진 동물의 보은 등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