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동문원” 에 대한 검색결과 3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3)

사전(2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중국계통의 문헌을 보관하던 것으로 보이는 관서. [내용] 연혁은 자세하지 않으나 문종 때 병과(丙科) 권무관(權務官)으로 사(使, 3품겸대직) 1인, 부사(副使, 5품겸대직) 1인, 녹사(錄事) 4인(2인은 겸관)을 두었다. ...
  • 도몬인()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2436 유적 도몬인() 도몬인 현재의 시가현(滋賀縣) 모리야마시(守山市) 모리야마(守山)에 있는 사원. (). 천태종(天台宗)에 속하며, 산호(山號)는 히에이잔(比叡山)이다. 정식 명칭은 히에이잔 도몬인 모...
    유형분류유적
  • 어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적을 전관(專管)하는 왕실도서관으로 비서성ㆍ사관(史館)ㆍ한림원ㆍ보문각(寶文閣)ㆍ()과 함께 금내학관(禁內學官)의 하나였다. 『고려사(高麗史)』
  • 금내학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의 학관(學官). [내용] 궁궐내에 설치된 학문기관인 비서성ㆍ사관(史館)ㆍ한림원(翰林院)ㆍ보문각(寶文閣)ㆍ어서원(御書院)ㆍ()에 소속된 학관으로 ‘금내육관(禁內六官)’이라고도 하였다. 또한, 식목(式目)ㆍ도병마(...
    이칭별칭금내육관|금내구관
  • 모리야마(守山)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그 이듬해 1월 29일 모리야마 도몬인()에서 묵었고, 돌아오는 4월 2일에도 역시 이곳 도몬인에서 묵었다. 모리야마에서 다카다 이쿄(高田伊嶠)가 제제성(膳所城) 태수의 서기로서 통신사절단이 묵고 있는 관소에 지...
    유형분류지명

고서·고문서(3)

  • は、 「ああ、この子が男であつたら、りつぱな学者になるであらうに。」 といつて歎息しました。 大きくなつて、藤原宣孝の妻となりましたが、不幸にも早く夫に死に別れました。そのころから紫式部は、筆をとつて有名な源氏物語を書き始めました。 そののち上に仕へて、紫式部の名は一世に高くなりました。式部は...
    서명初等国語 | 자료명五 源氏物語
  • 中等教育国文読本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人必読の書となししも、真に故なきにあらず。  源氏物語の後に狭衣物語あり。なほこの外に更科日記の著者菅原孝標の女の作といへる濱松中納言物語に及ぶこと能はず。  源氏物語と相並びて国文の双璧と称へらるるものは、清少納言の枕草子なり。清少納言は紫式部と時代を同じうし、紫式部が中宮の上に仕へたる時、...
    서명中等教育国文読本 | 자료명第二八課 平安朝時代の文学
  • 中等教育女子国文読本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納言物語及び藤原兼輔の作なりと称せらるる堤中納言物語あり。作者に就いては皆疑ふべし。文辞脚色ともに源氏物語に及ぶこと能はず。 源氏物語と相並びて国文の双璧と称へらるるものは、清少納言の枕草子なり。清少納言は紫式部と時代を同じうし、紫式部が中宮の上に仕へたる時、皇后定子の方に仕へ、その寵遇を蒙り...
    서명中等教育女子国文読本 | 자료명二九 平安朝時代の文学 芳賀矢一

신문·잡지(9)

주제어사전(2)

  • / [언론·출판/출판]

    고려시대 중국계통의 문헌을 보관하던 것으로 보이는 관서. 문종 때 병과 권무관으로 사(3품겸대직) 1인, 부사(5품겸대직) 1인, 녹사 4인(2인은 겸관)을 두었다. 1298년(충렬왕 24) 충선왕이 보문서를 합병시켜 확장되었으나 1314년(충숙왕 1) 다시 보문각으

  • 금내학관 / 禁內學官 [역사/고려시대사]

    고려시대의 학관. 궁궐내에 설치된 학문기관인 비서성·사관(史館)·한림원(翰林院)·보문각(寶文閣)·어서원(御書院)·()에 소속된 학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