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동몽선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4)
사전(58)
- 동몽선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현재도 많이 읽히고 있다. 어제본이 규장각도서에 있다. 韓國敎育思想史(孫仁銖, 載東文化社, 1964) 동몽선습 조선 명종 때 유학자 박세무가 서당에 처음 입학한 학동을 위하여 지은 책....
- 동몽선습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중기 유학자인 박세무(朴世茂, 1487-1554)가 초학 아동들을 위하여 지은 책.정의조선 중기 유학자인 박세무(朴世茂, 1487-1554)가 초학 아동들을 위하여 지은 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Dongmong seonseup | MR표기Tongmong sŏnsŭp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童蒙先習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5_D_0001 童蒙先習 서적-문집 敎誨童蒙 金慕齋, 金司藝叔滋 小學, 彝尊錄 D_01_01_52 대동운부군옥 1권 1장 5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권 1장 5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童蒙先習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10_D_0248 童蒙先習 경서·경학 五倫, 緫論 中國, 東方 金慕齋 本 D_20_04_08 대동운부군옥 20권 4장 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4장 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동몽선습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97년(정조 21)에 간행한 『동몽선습』 언해서. [내용] 1책. 목판본 언해자는 미상이다. 서당에서 『천자문(千字文)』 다음의 교재로 사용한 『동몽선습』은 1543년(중종 38)에 간행된 책을 비롯하여 많은 이본이 전하는데, 모두
고서·고문서(25)
- 동몽선습(童蒙先習)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동몽선습(童蒙先習)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동몽선습(童蒙先習)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동몽선습언해(童蒙先習諺解)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송병선 정사반사지전 단자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東宮이 동몽선습의 考講을 마친 후 내린 頒賜의 恩典을 사양하는 뜻으로 현감에게 올린 單子 초고분야문학 | 유형문헌
구술자료(1)
- 이윤형 음악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른 시창(송서, 율창)을 녹음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전적벽부 시전 관저장 영남루시 강릉경포대시 추풍감별곡 삼설기 관산융마 맹자 경시영대장 동몽선습 마상봉한식 천자문 평시조 청산리 기타 1997-08-06 경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윤형
주제어사전(6)
-
동몽선습 / 童蒙先習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의 성리학자 박세무가 1670년(현종 11)에 지은 책. 서당에 처음 입학한 학동의 필수적인 교양서이다. 권두에는 영조가 쓴 어제서가 있고 권말에는 송시열이 쓴 발문이 있다. 이 책의 내용은 오륜을 해설하고 그 중대성을 논하였고, 또한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사를
-
동몽선습언해 / 童蒙先習諺解 [언어/언어/문자]
1797년(정조 21)에 간행한 『동몽선습』 언해서. 1책. 목판본 언해자는 미상이다. 서당에서 『천자문(千字文)』 다음의 교재로 사용한 『동몽선습』은 1543년(중종 38)에 간행된 책을 비롯하여 많은 이본이 전하는데, 모두 한자를 차용하여 구결(口訣)을 단 책이
-
송병선정사반사지전단자 / 宋秉璿呈辭頒賜之典單子 [정치·법제/법제·행정]
1883년 12월에 송병선에게 동궁이 동몽선습의 고강을 마친 후 내린 반사의 은전을 사양하는 뜻으로 현감에게 올린 단자 초고. 본 단자의 내용은 <연재선생문집>의 연보에도 실려 있으나, 본 단자와는 약간 의 차이가 있다. 본 단자가 초고임을 알 수 있는 것은 「연
-
김안국 / 金安國 [종교·철학/유학]
1478(성종 9)∼1543(중종 38). 조선시대 문신·학자. 참봉 연의 아들, 정국의 형이다. 1507년(중종 2)에는 문과중시에 병과로 급제, 지평·장령·예조참의·대사간·공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모재집≫·≪모재가훈≫·≪동몽선습≫ 이 있고, 편서로는
-
명심보감 / 明心寶鑑 [종교·철학/유학]
고려시대 때 초학자들의 학습서. 중국 과전인 경서, 사서, 제자, 시문집 등의 여러 책에서 선현들의 금언, 명구를 편집하여 만든책이다. 주로 한문 초학자가 천자문을 배운 다음 <동몽선습>과 함께 기초과정의 교재로 사용되었다. 원래 명대 범입본이 편찬한 것으로 총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