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동명왕신화”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15)
- 동명왕신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나팔을 빼앗고 마침내 주술로 비류땅이 물에 잠기게 함으로써 송양왕의 항복을 얻게 되고 그 뒤 그의 왕국은 더욱 세력을 떨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내용의 동명왕신화는, 동명왕의 부신(父神)과 그의 아들 유리(類利)에 관해서는 생략한 것으로, ≪삼국사기≫와 ≪삼국유...이칭별칭주몽신화
- 노옹화구설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갔다는 내용이다. 이 설화의 특징인 다양한 변신술은 고구려의 동명왕신화나 가락국의 김수로왕신화에도 나타난다. 동명왕신화에서는 해모수(解慕漱)가 하백(河伯)의 딸 유화(柳花)를 차지하기 위하여 하백과 변신으로 대결해서 이긴다. 김수로왕신화에서는 김수로왕이 석탈해(...
- 우발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구려 「동명왕신화」에 나오는 못[澤]의 이름. [내용] 우발(優浡) 또는 우발(優渤)로 표기하기도 한다. 고구려 시조 동명왕의 어머니 유화(柳花)가 부모의 허락없이 해모수(解慕漱)와 혼인하였다는 이유로 아버지 하백(河伯)에게 쫓겨나,이칭별칭우발(優?)|우발(優渤)
- 금와왕설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려 시조 동명왕신화와도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 금와왕은 즉위한 뒤 태백산 남쪽 우발수(優渤水)에서 한 여자를 만나 물으니, 그 여자는 본시 하백(河伯)의 딸로 이름은 유화(柳花)인데, 천제의 아들 해모수(解慕漱)와 사통(私通)하여 부모에게 내쫓기어 우발수에 살고...
- 밀본최사설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자의 사례로 융천사(融天師)의 「혜성가(彗星歌)」‧월명사(月明師)의 「도솔가(兜率歌)」 등을 들 수 있고, 후자의 적절한 예로 밀본최사를 꼽을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밀본최사의 세번째 삽화는 도술시합담에서의 전승과정을 이해함에 있어서 중요한 증거이다. 동명왕신화의 하...
주제어사전(5)
-
동명왕신화 / 東明王神話 [역사/고대사]
고구려의 건국신화. <동국이상국집>, <삼국유사>, <삼국사기> 광개토왕릉비문의 서두, <여지승람>의 평양조, <청장관전서> 등에 수록되어 있다. 동명왕에 관한 문헌들의 기록은 서로 차이를 보인다. 동명왕신화는 영웅서사시로 일컬어지고 있다.
-
노옹화구설화 / [문학/구비문학]
다. 이 이야기들은 해모수와 하백의 대결(「동명왕신화」)에서 김수로왕과 석탈해의 대결(「김수로왕신화」), 그리고 「노옹화구설화」의 순서로 진행되면서 신화적 면모가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
-
우발수 / 優渤水 [지리/인문지리]
고구려 「동명왕신화」에 나오는 못[澤]의 이름. 고구려 시조 동명왕의 어머니 유화(柳花)가 부모의 허락없이 해모수(解慕漱)와 혼인하였다는 이유로 아버지 하백(河伯)에게 쫓겨나, 후일 부여왕 금와(金蛙)에게 발견될 때까지 살았다고 하는 곳이다. 『구삼국사(舊三國史)』에
-
금와왕설화 / 金蛙王說話 [문학/구비문학]
.「금와왕설화」는 인간 생명의 용출(湧出)로서의 지생관(地生觀)을 바탕으로 하여 천생관(天生觀)과 대립된다. 이는 또한 자연 발생적 인간 기원을 이야기하여 「견훤설화(甄萱說話)」류의 인위토생적(人爲土生的) 기원론과 대립된다. 한편, 금와왕은 고구려 시조 「동명왕신화」와
-
김수로왕신화 / 金首露王神話 [문학/구비문학]
은 「동명왕신화」와 그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건국시조신화로서 「김수로왕신화」는 왕국에 신성함을 부여하고, 아울러 왕권 자체를 신성화하고 있다. 하늘에서 내려와 하늘의 뜻대로 지상을 다스리는 첫 군왕이 곧 김수로왕이고, 그러한 왕을 받들고 있는 거룩한 왕국이 곧 금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