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동뢰연” 에 대한 검색결과 9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7)

사전(60)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조선의 왕실 혼례인 가례의 여섯 절차 중 마지막 의식. 신랑과 신부가 절을 주고받은 뒤 술잔을 서로 나누는 잔치이다. 의 뇌(牢)는 짐승 뇌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란 돼지의 오른쪽 반을 신랑에게, 왼쪽 반은 신부에게 차려 줘 나눠 먹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원래 혼례 때 신랑과 신부가 함께 희생을 먹는 의식을 가리키는 말이지만, 보통 혼례식을 뜻한다. 所用高足床 不能得之 宅中 或有之否 前冬參軍宅婚禮時 亦於何取用 .蒙爲之周旋則 明日欲專人取來 伏乞指敎, 민우수(閔遇洙), 21(禮)-502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상(床)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床 동뢰상(同牢床), 초례상(醮禮床) 생활 풍속식생활/음식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김상보 [정의] 혼례 때 신랑과 신부가 몸과 마음을 합체시키기 위하...
    관련어동뢰상(同牢床), 초례상(醮禮床)
  • 금우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가례 시 () 때 사용된 그릇. 金大甁代鑄甁蓋鎖具一部依前減付標啓下金小甁代鑄高毛介蓋鎖具一部依前減付標啓下金盂代鍮盂臺蓋具一部依前減付標啓下, (가례1718/027ㄱ04~05)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쌍이웅청옥잔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국혼의 () 때 사용하는 쌍이청옥잔(雙耳靑玉盞). 쌍이청옥잔은 양쪽 손잡이의 모양에 따라 붙인 이름이다. 雙耳蝎虎靑玉盞銅鍍金臺具一部依前減付標啓下雙耳熊靑玉盞銅鍍金臺具一部, (가례1718/027ㄱ09~11)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단행본(1)

  • (조선왕실의 행사 2) 왕실의 혼례식 풍경 [왕실의 행사 | 단국대학교]
    저자 : 신병주(건국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 박례경(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송지...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3.01.14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6) 책비의식과 참여자들의 복식 (7) 친영의식과 참여자들의 복식 (8) 의식과 참여자들의 복식 (9) 조현례와 참여자들의 복식

고서·고문서(26)

  • 어필존감의류급기사정례(御筆存减衣類及器四定例)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교육/문화-예술-서화 | 형식분류고문서-기타-서화류
  • [1866]왕비가례등록(王妃嘉禮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옹원에서 고종 3년인 1866년 1월에서 1867년 3월 사이에 있었던 고종과 明成王后 민씨의 가례 과정을 기록한 등록이다. 사옹원은 조선시대 왕의 식사나 궁중의 음식공급을 관장했던 관청이다. 사옹원에서 편찬한 등록이니만큼 , 朝見禮에 쓰이는 상차림에 필요한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덕온공주가례등록(德溫公主嘉禮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楷書)로 정서되었으며 초고본인 K2-2632의 교정사항을 반영한 정본(正本)으로 보인다. 내용은 간택(揀擇)에서 ()에 이르기까지의 가례행사와 행사 이후 지급되었던 상전(賞典)사항과 행사기간 중에 발급 수취되었던 관련된 문서들이 기록되어...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덕온공주가례등록(德溫公主嘉禮謄錄)(1)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를 둘러 오류를 수정한 흔적이 보여 K2-2631에 앞서 제작되었던 초고본으로 추정된다. 내용은 간택(揀擇)에서 ()에 이르기까지의 가례행사와 행사 이후 지급되었던 상전(賞典)사항과 행사기간 중에 발급 수취되었던 관련된 문서들이 기록되어 있다.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 1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1002392014100239_001 李太王實錄資料 1 자료 제70호 日省錄 궁내청 공문서관 85323 0016 100 문서 궁내성 1866년 3월 20일(음력) 의 시각을 다시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1. 1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8)

  • / [정치·법제]

    조선의 왕실 혼례인 가례의 여섯 절차 중 마지막 의식. 신랑과 신부가 절을 주고받은 뒤 술잔을 서로 나누는 잔치이다. 의 뇌(牢)는 짐승 뇌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란 돼지의 오른쪽 반을 신랑에게, 왼쪽 반은 신부에게 차려 줘 나눠 먹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 조현례 / 朝見禮 [정치·법제]

    왕비 또는 왕세자빈이 혼례를 마친후 처음으로 부왕, 모비 등 왕실의 어른을 뵙는 의식. 국혼은 납채, 납징, 고기, 책비, 친영, 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마지막 절차인 를 마친 후 조현례를 거행하였다. 헌종 계비인 효정왕후 홍씨의 가례를 보면 을 마친

  • 유사상말 / 油沙上末 [생활/식생활]

    궁중 혼례 때 상에 올리는 과자의 고물로 쓰인 가루. 밀가루에 꿀, 참기름을 넣고 반죽한 것을 낮은 온도에서 연한 갈색이 될 때까지 볶는다. 유사상말이란 명칭은 밀가루를 기름에 볶은 모래 형태의 가루를 뜻한다.

  • 육례 / 六禮 [정치·법제]

    왕실 혼례의 주요 절차인 납채, 납징, 고기, 책비, 친영, 의 여섯 가지 의식. 왕실 혼례는 육례로 구성되어 있다. 납채는 국왕이 혼인을 청하는 것, 납징은 성혼의 징표로 예물을 보내는 것, 고기는 혼인의 날짜를 정하는 것이다. 책비는 왕비로 책봉하는 의식,

  • 전단병 / 全丹餠 [생활/식생활]

    궁중 혼례 때 상에 올렸던 것으로 난꽃 모양으로 만든 과자. 밀가루에 꿀을 넣고 반죽하여 난꽃 모양으로 빚은 다음 참기름에 지져낸다. 1906년 가례에서는 참기름에 튀겨 내었다. 절개를 상징하는 의미로 해석하기도 하고 난꽃 모양이라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