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동락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고대방(典故大方)』 경북 구미시 임수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원. 1655년(효종 6)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장현광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서원의 강당은 경상북도 문화...
  • 춘유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구성 및 형식] 기일(其一)‧기이(其二)가 있다. 기일은 2음보 1구로 87구이며, 기이는 182구로 국‧한문혼용표기로 되어 있다. 경상북도 칠곡군 인동(仁同) 출신 장현광(張顯光)을 모신 (...
  • 인동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훼철사실이 기록되어 있고, 조적조에는 좌병영ㆍ우수영ㆍ원회(元會)ㆍ순영(巡營)별로 세부내역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당시 지방재정 상태를 알 수 있다. 특기할 사항은 관직조에 부사, 좌수 1인, 별감 3인, 군관 4인, 지인(知印) 11인, 사령(...
  • 장현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川谷書院), 서산의 여헌영당(旅軒影堂), 인동의 (), 청송의 송학서원(松鶴書院), 영천의 임고서원(臨皐書院), 의성의 빙계서원(氷溪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선조실록(宣祖實錄)』
    이칭별칭 덕회(德晦)| 여헌(旅軒)| 문강(文康)
  • 인동초등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협동, 그리고 난관을 이겨내는 굳센 의지와 기상을 표방하고 있다. 교가에서는 학교 공간을 의 선비터로 규정하고 있다. 은 조선 중기의 학자 장현광과 장경우를 배향하는 서원으로, 이는 장현광이 제자들을 가르치고 학문을 연구하기 위해 1610년에 세운...

고서·고문서(9)

  • 기미년 () 통문(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
  • 1858년 () 당중(堂中) 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58년(철종 9) 1월 15일, 에서 옥산서원으로 보낸 통문으로 그 내용은 청천당 장응일의 사우를 건립하는 의식에 참석해 달라는 것이다. 이 통문에 따르면 부제학을 지낸 장응일은 덕행과 명성으로 알려졌을 뿐만 아니라 집안의 학문을 잘 계승하여 진실로 영원한...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1858년 () 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이 통문은 1858년 00월 15일 이 경주교원에 보낸 것으로 그 내용은 경주교원에서 곤봉 정사물을 제향할 것을 촉구하는 것이다. 이 통문에서 제향을 촉구하는 인물인 곤봉 정사물은 회재의 고향인 良洞이나 그의 추모지인 옥산서원에 이웃하는 안강 출신이다. 본 통...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이원조(李源祚) 동락학계안서(東洛學契案序)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동락학계안서(東洛學契案序)는 19세기 인동(仁同)의 ()을 중심으로 인근 선산,칠곡,성주 지역의 학풍 진작을 위해 결성된 동락학계(東洛學契)의 명부 서문으로, 성주의 학자였던 이원조(李源祚)가 작성하였다. 학계의 중심이 되는 은 조선중기 영남지역...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1797년 이동진(李鎭東)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있어 신중하게 처신 하였다고 했다. 그런데 회연서원과 이 문묘 배향의 논의를 제기하였고, 중간에는 4선생을 한꺼번에 거론하자는 의논이 제기되었다고 하였다. 이때 노성들과 함께 모임에 가서 생각한 바를 전하려고 했으나 그 뜻을 이루지 못했다고 하였다. 그런데 결국...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에 있는 서원. 1655년(효종 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장현광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76년(숙종 2)에 ‘동락’이라고 사액되어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다가 흥선대원군의

  • 춘유가 / 春遊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기일(其一)·기이(其二)가 있다.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기일은 모두 44행이며, 기이는 91행으로 국·한문혼용 표기로 되어 있다. 경상북도 칠곡군 인동(仁同) 출신 장현광(張顯光)을 모신 ()을 중심으로 일가 부녀들

  • 구미대교 / 龜尾大橋 [경제·산업/교통]

    칠곡 등지와 교통소통이 원활하게 되고, 공업단지가 발전하여 고용이 증대되었다. 또, 금오산도립공원의 관광개발에 크게 기여하여, 다리 부근의 ·부지암·천연대(天淵臺)·여차정·능파대·장암(壯巖) 등이 관광지로 개발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