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동궁” 에 대한 검색결과 38,88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836)

사전(733)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몽유자의 꿈 속에서 환관들을 보내어 몽유자를 모처의 연못가누각으로 초청하여 주연을 베푼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적도 주변에 펼쳐진 28수 중 동쪽의 일곱 별자리를 특정하여 부르는 이름
    정의적도 주변에 펼쳐진 28수 중 동쪽의 일곱 별자리를 특정하여 부르는 이름 | 문광부표기Donggung | MR표기Tonggu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세자가 거처하던 궁전
    정의왕세자가 거처하던 궁전 | 문광부표기donggung | MR표기tonggu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1)

  • (조선시대 궁중회화 2) 조선 궁궐의 그림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정혜(한국학중앙연구원 미술사학과 교수), 윤진영(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2.5.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1. 궁중 장식화의 세계 (1) 궁궐 실내의 그림 장식 전통 (2) 장엄과 위의 (3) 길상과 장생 (4) 태평과 복락 (5) 과 교육

고서·고문서(37,921)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460 詩經講義 卷二 ITKC_MP_0597A_0460_120_001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
    권차명詩經講義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之什 ()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BO_2:3:1:1 “彤”, 周之所尙也. 弓矢, 兵器之始也. 《易》曰: “弧矢之利, 以威天下.” 黃帝之所作也. 禮不忘本, 故用可使重也. 旣賜有功, 則必將增秩、增封, 非但一弓, 故曰“一朝饗之”, 重其賜也. HCBO_2:3:1:2 《儀禮ㆍ少牢饋食禮》云: “上佐食爾上敦...
    서명시경질서(詩經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5277 P-SDK-05277-P-B-01-01 P-SDK-05277-P-B-01-01-1 P-SDK-05277-P-B-01-01-2 어소 JAPAN IMPERIAL TOGU GOSHO 데이메이황후,다이쇼천황, 어소 1매. 사제...
    자료명동궁 어소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5360 P-SDK-05360-P-B-01-01 P-SDK-05360-P-B-01-01-1 P-SDK-05360-P-B-01-01-2 비전하 妃展下 1매. 사제엽서 역사 고준황후 근대 일본 사진그림엽서 미상 미...
    자료명동궁비전하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5291 P-SDK-05291-P-B-01-01 P-SDK-05291-P-B-01-01-1 P-SDK-05291-P-B-01-01-2 신영 어소 데이메이황후, 쇼와천황의 3형제, 어소 1매. 사제엽서 역사 어소 근대...
    자료명신영 동궁 어소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구술자료(1)

  • 대홍수와 진흙으로 빚어진 아이아탐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 그래서 어느 날은 동굴에서 한 사람이 나왔어요. [조사자: 그게 ?] 네, 산에 있는 [조사자: 동굴.] 네, 동굴. [조사자: 동굴에서 사람이 나왔어요?] 네, 사람이 나왔어요. 그 흙으로 만들어졌어요, 햇빛으로. 그래서 사람이 나왔는데 그 남자 분이었
    국가스웨덴 | 제보자울루잔 미라 [스웨덴, 여, 1998년생, 유학 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1)

  • 조선후기 宮房의 地代 상납과 鄕味의 비중―『龍捧上冊』의 사례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영준, 게재일 : 2018
    20703 조영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문서학회 2018 조선후기 宮房의 地代 상납과 鄕味의 비중―『龍捧上冊』의 사례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
    유형논문 | 게재일2018

신문·잡지(102)

  • 英聦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젼 황상폐하  압시날에 슈학원에셔 황뎐하게 일일 휴학시기를 품고즉 황뎐하게압셔 말삼시기를 대황뎨폐하 츌궁실에 잠간 지송터이오 환궁실에  잠간지영 터인즉 하로를 젼슈히 휴학것이 무엇이뇨 셧다며 뎐하의 글씨쓰시 필법과 학문이 날...
    게재일1907년 10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陪駕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황상폐하게압셔 인쳔항지 동가압시 말은 이우에 긔얏거니와 당일에 뎐하셔도 인쳔지 나려가압셔 일본 뎐하를 영졉 신다더라
    게재일1907년 10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誠孝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대황뎨폐하 셩슈 만오슌 경를 들어 진찬실로 황태 뎐하셔 샹소셧더니 비지가 나리샤 윤허치 아니 셧더니 작일부터 황태셔 문무 관을 령솔시고 졍쳥셧다더라
    게재일1901년 6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遊觀停止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에 거 경셩박람회에 황뎐하게셔 유람시랴다가 예후미녕심을 인야 뎡지압셧더라
    게재일1907년 9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遊觀兩闕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 황뎐하게셔 금일에 경북궁과 챵덕궁을 유람실터인고로 경북궁 셔십각 근쳐에셔 영츄문지 로변에 포쟝을 둘너막앗 그 포장은작일오후에 시작야 밤을도아 셜비것이라더라
    게재일1907년 10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59)

  •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_ 부안군 용 삼간평 간척지_5주차_1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1주차. 세계의 간척과 한국의 간척 2주차. 간척 관련 자료 유형과 이용법 3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1: 강화도 선두포언 4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2: 시흥시 호조벌 5주차.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 부안군 용 삼간평 간척지 6주차
    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_ 부안군 용 삼간평 간척지_5주차_2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1주차. 세계의 간척과 한국의 간척 2주차. 간척 관련 자료 유형과 이용법 3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1: 강화도 선두포언 4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2: 시흥시 호조벌 5주차.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 부안군 용 삼간평 간척지 6주차
    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_ 부안군 용 삼간평 간척지_5주차_3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1주차. 세계의 간척과 한국의 간척 2주차. 간척 관련 자료 유형과 이용법 3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1: 강화도 선두포언 4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2: 시흥시 호조벌 5주차.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 부안군 용 삼간평 간척지 6주차
    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_ 부안군 용 삼간평 간척지_5주차_4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1주차. 세계의 간척과 한국의 간척 2주차. 간척 관련 자료 유형과 이용법 3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1: 강화도 선두포언 4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2: 시흥시 호조벌 5주차.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 부안군 용 삼간평 간척지 6주차
    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_ 부안군 용 삼간평 간척지_5주차_5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1주차. 세계의 간척과 한국의 간척 2주차. 간척 관련 자료 유형과 이용법 3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1: 강화도 선두포언 4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2: 시흥시 호조벌 5주차.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 부안군 용 삼간평 간척지 6주차
    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기타자료(18)

  • 당 【번역】 ()에 있을 때 고구려를 정벌하고자 하였다. 이로 인하여 당에 들어가 병사를 청하였다. 당 황제가 그 풍채를 상주고 신성한 사람이라고 하였다. 꼭 시위를 머무르게 하겠다고 하고는 힘껏 청하고 곧 돌아왔다. (󰡔三國遺事󰡕 1 紀異 1 太宗春秋公...
    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김춘추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48년(戊申/신라 진덕왕 2 太和 2/고구려 보장왕 7/백제 義慈王8/唐 貞觀 22/倭 大化 4)
  • 발해 대사 양성규가 장객사를 통해 천황 및 황태자에게 사헌물을 전달하고자 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內裏) 동경(東京)의 봉헌 물품이 많았다. 이 날 칙을 내려 민부소보겸학사(民部少甫兼學士) 종5위하 귤조신광상(橘朝臣廣相)을 보내 사신들에게 곡연(曲宴)을 베풀도록 하였다. 병부(兵部) 소보(少甫) 종5위하 겸 행하야권개(行下野權介) 고계진인령범(高階眞人令梵)...
    대표표제어발해 대사 양성규가 장객사를 통해 천황 및 황태자에게 사헌물을 전달하고자 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72년(壬辰/신라 경문왕 12/발해 현석 3/唐 咸通 13/日本 貞觀 14)
  • 발해대사 양성규가 장객사를 통해 천황 및 황태자에게 사헌물을 전달하고자 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將軍賜紫金魚袋)였다.가 장객사(掌客使)를 따라와 개인적으로 토산물을 제사에 바치고 장차 천황과 황태자에게 봉헌하고자 청하였다. 장객사가 장계를 올려 아뢰었는데 조서를 내려 허락하였다. 내리(內裏) 동경(東京)의 봉헌 물품이 많았다. 이 날 칙을 내려 민부소보 겸 학...
    대표표제어발해대사 양성규가 장객사를 통해 천황 및 황태자에게 사헌물을 전달하고자 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72년(壬辰/신라 경문왕 12/발해 玄錫 2/唐 懿宗 咸通 13/日本 清和天皇 貞觀 14)
  • 백제가 당의 국자감에 자제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2 大學) 【번역】 당나라가 학사 2관을 증축하였다. 【선거지(選擧志)】 무릇 관이 둘이니 문하성(門下省) 홍문관은 학생이 30명이고 () 숭문관(崇文館)에 학생이 20명이다. 태종이 즉위하여 더욱 유학을 숭상하여 이에 문하에 따로 홍문관을 두고 서(書)와 율학...
    대표표제어백제가 당의 국자감에 자제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31년(辛卯/신라 진평왕 53 建福 48/고구려 영류왕 14/백제 무왕 32/唐 貞觀 5/倭 舒明 3)
  • 백제가 당의 국자감에 자제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大學) 【번역】 당나라가 학사 2관을 증축하였다. 【선거지(選擧志)】 무릇 관이 둘이니 문하성(門下省) 홍문관은 학생이 30명이고 () 숭문관(崇文館)에 학생이 20명이다. 태종이 즉위하여 더욱 유학을 숭상하여 이에 문하에 따로 홍문관을 두고 서(書)와 율학(律...
    대표표제어백제가 당의 국자감에 자제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31년(辛卯/신라 진평왕 53 建福 48/고구려 영류왕 14/백제 무왕 32/唐 太宗 貞觀 5/倭 舒明天皇 3)

주제어사전(51)

  • / [정치·법제]

    왕실의 흉례가 있을 때 명기로 사용되었던 활. 은 대나무를 사용하여 몸체를 만들었으며 주척을 이용하여 길이는 4촌으로 하고 안팎에 힘줄을 덧대었다. 등에는 왜주칠을 하고 배에는 흑진칠을 하였다. 그러나 소상일 경우에는 순흑칠만을 사용하였다. 더불어 현(絃)을 갖

  • 무관부 / 武官府 [역사/근대사]

    1908년 황태자를 광익보필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서. 1904년 9월 배종무관부가 설치되었는데, 1907년 8월 군대가 해산되면서 황태자궁 배종무관부로 개편되었으며, 다시 1908년 4월 무관부로 개편되었다. 주요임무는 황태자관련 의식절차, 군사에 관한 보고

  • 비원삼 / 妃圓衫 [생활/의생활]

    순종이 황태자로 있을 때 거행된 가례(嘉禮: 혼례)시 비(황태자비) 윤비가 착용하였던 오조룡보(五爪龍補)가 부착된 홍색 원삼(圓衫) 1점. 다홍색 운봉문(雲鳳紋) 비단에 동일한 문양이 직금된 매우 화려한 원삼이다. 오조룡원보(五爪龍圓補) 2쌍 4점이 부착되어 있

  • 경주과월지 / 慶州─月池 [예술·체육/건축]

    만,『동경잡기(東京雜記)』에는 안압지가 건립된 시기와 비슷하거나 그보다 뒤에 만들어졌다고 하였다. 및 월지 유적은 1980년에 정화공사를 거쳐 신라 궁궐의 원지(苑池)로 복원되었고, 3채의 누각도 발굴조사 때 출토된 목조 건물 부재와 신라시대의 다른 유적들을 참조

  • 궁문랑 / 宮門郎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의 종6품 관직. 1022년(현종 13) 태자를 세우고 사보(師保) 및 관속을 두기 시작한 이래, 왕권이 안정되는 문종대에 와서 제도의 대폭적인 정비와 함께 1068년(문종 22)에 궁문랑이 설치되었다. 그 뒤 1116년(예종 11) 다시 태자관속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