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동굴” 에 대한 검색결과 93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37)

사전(4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천연적으로 이루어진 바위굴. [내용] 은 그 성인(成因)에 따라 석회‧화산‧해식(海蝕), 그 밖에 빙하‧석고(石膏)‧사암(砂巖) 등으로 구분된다. 석회은 종유굴(鍾乳窟)이라고도 불리며, 세...
  • 온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하리 에 있는 석회. [명칭 유래] 온달장군이 수양하였다는 전설이 남아 있어 온달굴이라 하며, 온달성(溫達城) 밑에 있다고 하여 지산굴(地山窟)‧남굴(南窟)이라고도 한다....
    이칭별칭영춘남굴|지산굴|남굴 | 연계항목온달동굴(溫達洞窟)
  • 노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노동리에 있는 석회. [내용] 길이 300m. 천연기념물 제262호. 이 은 원줄봉(圓茁峯, 200m)에 위치하여 있다 하여 일명 원줄굴(圓茁窟)이라고도 한다. 지층은 고생대 조선계 대석회암통(...
    연계항목노동동굴(蘆洞洞窟)
  • 마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사산리에 있는 석회. [개설] 전라북도 기념물 제41호. 적상면 사산리 마산마을 남쪽, 놋쇠솥계곡에 위치하며, 길이 70m의 주굴과 아홉개의 지굴로 이루어져 있다. [자연환경] 굴의
  • 운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함경남도 홍원군 용원면 동호리(지금의 운포노동자구)에 있는 석회. [내용] 길이 400m. 1967년에 발견되었으며, 온 산이 석회암으로 된 황개산(黃蓋産) 중턱에 있다. 생성시기는 하부고생대의 석회암층에 생긴 석회로...

논문(1)

고서·고문서(282)

  • 04702 잡가 雅樂部歌集 16003 1934년 이후 이왕직아악부 필사본 타령 [135] 돌려라 돌려라 돌려라 ○ 기란 놈은 부이 조흐니 별군직을 돌려라 돌려라 돌려라 돌려라 입타령 ○ 두루미란 놈은...
    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아악부
  • ()에 숨어 발악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에 숨어 발악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북괴, 무장공비, 사살 ...
    대표표제어洞窟(동굴)에 숨어 발악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북괴, 무장공비, 사살
  • 타령 도행장 桃杏場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4402 잡가 악부[고대본] 16001 1930년경 이용기 필사본 타령 도행장 桃杏場 [336] 돌려라 돌려라 돌려라 란 놈은 복이 조흐니 별군직으로 돌려라 돌려라 돌려라 돌려라 〈e〉(입타령)〈/e...
    구분잡가 | 편저자이용기
  • 속둘射殺(사살)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속둘射殺(사살)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북괴, 사살 1960년대 ...
    대표표제어동굴속둘射殺(사살)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북괴, 사살
  • 발견바싹다가 투항안해모두사살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발견바싹다가 투항안해모두사살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0월 2516일 창간 공...
    대표표제어동굴발견바싹다가 투항안해모두사살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공비, 침투, 북괴, 무장공비, 사살, 기관단총, 권총, 수류탄

구술자료(72)

  • 천수동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야기가 잠시 끊어지면, 이 지역과 관련한 다른 이야기는 없느냐는 조사자의 질문이 뒤따랐다. 앞의 이야기와 같은 상황에서 이어서 구연하였 다.
    조사일시2009. 2. 4(수) | 조사장소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보광리 안보광길 노인회관 | 제보자박영찬
  • 사람이 사라지는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키르기스스탄 20180128_054_006_키르기_01_토레에바 아이자다(정수진)_L_사람이 사라지는 전설 사람이 사라지는 2018. 01. 28(일) 오후 경상북도 영덕군 병덕면 토레에바 아이자다(정수진) [키르기스스탄, 여, 1980년생, 결혼이주 16
    국가키르기스스탄 | 제보자토레에바 아이자다(정수진) [키르기스스탄, 여, 1980년생, 결혼이주 1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진안 전씨 전과 전원 이씨 시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로당을 찾아가서 인사를 드린 후 조사 이야기를 했더니 처음 화투를 하다가 돌아 앉아서 조사에 응해 주었다. 처음 이동규 할아버지의 시조가 나왔는데 평시조로 ‘한산섬 달밝은 밤에’가 나오고 다음은 사설시조 ‘권학가(勸學歌)’가 이어졌다. 다음에 이 이야기가 나왔다....
    조사일시1980-01-29 | 조사장소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 제보자임종남
  • 점말과 이어진 의림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점말동굴과 관련해서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를 요청하자 제보자 김남수가 구연해 주었다.
    조사일시2009. 07. 22(수) | 조사장소제보자(김남수) 자택 / 충청북도 제천시 송학면 포전리 점말동굴길105 | 제보자김남수
  • 의림지와 연결된 점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점말동굴과 관련해서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를 요청하자 제보자 윤재형이 구연해 주었다.
    조사일시2009. 07. 22(수) | 조사장소제보자(윤재형) 자택 / 충청북도 제천시 송학면 포전리 점말 | 제보자윤재형

기초학문(8)

  • 중원지역의 구석기시대 유적:동물화석 연구_프리프린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태섭, 게재일 : 2004
    10519 조태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2004 중원지역의 구석기시대 유적:동물화석 연구_프리프린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단양 구낭굴 퇴적층 형성과정과 시기고찰_프리프린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주용, 게재일 : 2004
    11058 김주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학연문화사 2004 단양 구낭굴 퇴적층 형성과정과 시기고찰_프리프린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우리나라 구석기시대의 유적 연구 : 성과와 의의_프리프린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태섭, 게재일 : 2004
    05356 조태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학연문화사 2004 우리나라 구석기시대의 유적 연구 : 성과와 의의_프리프린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신생태관광상품인 관광자들의 관광상품 선호이유 및 시장세분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성섭, 게재일 : 2008
    25899 김성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APTA 2008 신생태관광상품인 관광자들의 관광상품 선호이유 및 시장세분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스페인 문학에 나타난 의 모티브 -기독교적 요소와 이교도적 요소의 공존과 변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3
    63867 한국연구재단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13 스페인 문학에 나타난 의 모티브 -기독교적 요소와 이교도적 요소의 공존과 변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42)

기타자료(20)

  • 시니예 스깔르이 유적-올가.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역사 유적 고대 시니예 스깔르이 유적-올가. 러시아 시니예 스깔르이 유적(Синие Скалы гроты) 유적 말갈문화 / 신석기시대 / 청동기시대 연해주 올가 지구 뻬름스꼬예 마을 남서쪽 2.9㎞ 시니예 스깔르이 유적-올...
    대표표제어시니예 스깔르이 동굴유적-올가. | 유적소재국가러시아 | 유적명시니예 스깔르이 유적(Синие Скалы гроты)
  • (강원의명소) 천곡 천연 자연학습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강원의명소) 천곡 천연 자연학습관 (강원의명소) 천곡 천연 자연학습관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주환 | 사료철명강원교육
  • (교육백과) 석회의 개발과 그 전망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백과) 석회의 개발과 그 전망 (교육백과) 석회의 개발과 그 전망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전현권 | 사료철명강원교육
  • (과학지상Corner) 일본 추길대의 추방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과학지상Corner) 일본 추길대의 추방 (과학지상Corner) 일본 추길대의 추방 (科學誌上Corner) 日本 秋吉臺의 秋芳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전현권 | 사료철명강원교육
  • (과학지상코너) 대화의 석회-광주 제당굴을 중심으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과학지상코너) 대화의 석회-광주 제당굴을 중심으로 (과학지상코너) 대화의 석회-광주 제당굴을 중심으로 (과학지상코너) 大和의 石灰-廣川 祭堂窟을 中心으로 교육 문헌 교...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전현권 | 사료철명강원교육

주제어사전(98)

  • / [지리/자연지리]

    자연적으로 형성된 바위굴. 은 그 성인(成因)에 따라 석회·화산·해식(海蝕), 그 밖에 빙하·석고(石膏)·사암(砂巖) 등으로 구분된다. 은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의 주거지 또는 피난지·수도장(修道場)·저장고, 그리고 군사 작전지나

  • 검멀레 / ─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조일리에 위치한 해식. 검멀레의 입구는 모두 4개가 형성되어 있다. 제1입구는 우도봉에서 북북동쪽 약 600m 지점 해안 단애의 동쪽 면 하단으로 검멀레 서쪽 끝 지점에 있다. 입구의 폭은 9m, 높이는 3.2m이며, 개구 방향

  • 노동 / 蘆洞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노동리에 있는 석회. 이 은 지하수의 침투로 이루어진 공동(空洞)이 확장되면서 천장이 낙반(落盤)주 01)하여 커다란 광장을 이루어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손꼽는 대형 수직 가운데 하나이다. 수직벽 바닥에는 화석화되어가는 뼈무덤·뼈무리,

  • 마산 / 馬山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사산리에 있는 석회. 전라북도 기념물 제41호. 적상면 사산리 마산마을 남쪽, 놋쇠솥계곡에 위치하며, 길이 70m의 주굴과 아홉개의 지굴로 이루어져 있다. 주변 일대는 석회석·장석·규석 등의 광산이 있다. 이 은 아직 학술적인 조사

  • 상초 / 上草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영변군 고성면 상초동(지금의 구장군 상초리)에 있는 . 원굴의 직선 길이는 70m이고 너비는 3∼4m이며 높이는 가장 높은 곳이 13m이다. 1960년에 발견된 석회이며 3개의 가지굴이 있다. 규모는 작으나 돌고드름, 석순 등 종유석이 있어 아름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