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동국지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
사전(31)
- 동국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63년(세조 9) 정척(鄭陟)‧양성지(梁誠之)가 제작한 지도. [내용] 1455년 집현전직제학에게 지리지와 지도를 같이 작성할 것을 명한 지 8년 뒤에 만들어졌다. 정척과 양성지가 만든 <동국지도>가 정확히 어느 것인지는 알 수 없...
- 동국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지도>‧<팔도지도 八道地圖> 등의 이름으로 널리 보급되어 전해진다. 承政院日記 星湖集 星湖僿說 한국의 지도(方東仁,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6) 韓國古地圖(李燦, 韓國圖書館學硏究會, 1977)
- 동국지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영조 때 정상기가 제작한, 우리나라 최초로 축척이 표시된 지도정의영조 때 정상기가 제작한, 우리나라 최초로 축척이 표시된 지도 | 문광부표기Dongguk jido | MR표기Tongguk chid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東國地圖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0_S_0004 東國地圖 지리(기타) 靈古塔, 野人, 生女眞, 熟女眞, 董山, 毛獜衛, 左衛, 右衛, 靈古塔, 固山大四員, 白度訥將軍, 堪輿家 漢, 唐, 宋, 元, 萬曆, 淸 西北, 肅愼, 遼東, 女眞, 滿萬, 鏡泊, 中國, 金國, 豆滿, 建...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권 1장 2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동국지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463년 정척(鄭陟, 1390-1475)‧양성지(梁誠之, 1415-1482)가 제작한 지도.정의1463년 정척(鄭陟, 1390-1475)‧양성지(梁誠之, 1415-1482)가 제작한 지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Dongguk jido | MR표기Tongguk chid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5)
- 天地門1_東國地圖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東國地圖 余得輿圖一帖, 西北彼我之間疆土, 無不詳載, 若足到而目見. 竊想近世人, 其見識力量, 未有能及此者. 昔有尹鍈者, 尹氏之庶出, 而李忠武之外孫, 爲李完平之側室女壻. 完平寵愛非常, 其嫡弟云: “文章, 兄勝於我云.” 常作《恒符睹奇》一貼, 用趙簡事也, 其子孫失亡不傳.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一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1592년 유복기(柳復起) 동국지도(東國地圖)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지리-지도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지도 | 현소장처안동 수곡 전주유씨 무실 종가
- [天地篇下]地理門_東國地圖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東國地圖 余得輿圖一帖, 西北彼我之間疆土, 無不詳載, 若足到而目見. 竊想 想: 미의회도서관본ㆍ아단문고본(가)에는 ‘相’으로 되어 있다.近世人, 其識見 識見: 규장각본ㆍ미의회도서관본ㆍ성균관대본(가)ㆍ성균관대본(나)ㆍ성호기념관본ㆍ아단문고본(가)ㆍ연세대본(가)ㆍ연세대본(나...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一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하백원(河百源)의 『규남집(圭南集)』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유리, 벽돌 등의 제조 및 대동여지도 보다 51년 앞선 것으로 평가되는 동국지도, 세계지도, 천문도 등을 제작하였다. 서문은 임오년( 1942년)에 덕은 송낙헌이 썼으며, 발문은 모두 네 개가 있는데, 병술년( 1946년) 광산 김문옥이, 갑신년( 1944년) 맹춘...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화계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吟一絶寓懷, 次堂叔氏謫海南途中韻, 留興倫累日與諸益相話獨不見鍊伯歸路投一絶, 贈震師, 立春日次李戚兄韻, 途中見童子折花來取一枝把玩, 贈慧上人二絶, 小旱暴雨不止且喜且憂, 僧東隱餽紙以詩答之, 哀南成仲國憲, 哀朱叔美文徽, 題曲淵溪亭, 詠東國地圖, 海舶, 栗洞孫丈初度日贈爾和, 比安...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1)
- 도서_1961_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농단자의 동국지도학 정찬호 14 책 모집의 변 안춘근 10 애서광 노트 김갑동 15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1
주제어사전(7)
-
동국지도 / 東國地圖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지리류(地理類) 작자미상, 필사본(채색), 불분권 1책(9포). 지도 순서는 경기, 충청도ㅡ 전라도, 경상도, 강원도,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서남반폭), 함경도(동북반폭), 전도이다. 9개의 포로 구성되어 있다. 경기도와 충청도가 한 장으로 구성되어
-
경상총여도 / 慶尙摠輿圖 [지리/인문지리]
하단에 대마도가 표현되어 있다. 대마도 표현 내용은 정상기형의『동국지도(東國地圖)』와 유사하나 이 지도에는 지명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경상총여도」가 18세기 지도 제작과정에서 군현지도-도별도-전국전도로 이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지도임을 보여주는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
동국대지도 / 東國大地圖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지리학자 정상기가 전국 8도의 지리 정보를 표시하여 영조 연간에 제작한 지도.고전도. 지도의 전체적인 형태와 수록된 내용으로 볼 때 정상기의 『동국지도』의 원형을 가장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도이다. 정상기의 『동국지도』는 백리척(百里尺)이라는 독창적인 축척
-
경상총여도 / 慶尙摠輿圖 [지리/인문지리]
하단에 대마도가 표현되어 있다. 대마도 표현 내용은 정상기형의『동국지도(東國地圖)』와 유사하나 이 지도에는 지명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에 필법과 지리 정보의 표현방법이 거의 유사한 경기도, 강원도, 함경북도(함경도 중 부분도) 지도가 소장되어 있다.
-
농포문답 / 農圃問答 [경제·산업/산업]
조선 후기의 실학자 정상기(鄭尙驥)가 저술한 농서. 1권 1책. 필사본. 정상기는 실학자로 실학자 이익(李瀷)과는 인척간이다. 일찍이 동국지도(東國地圖)가 정확하지 않다 하여 여러 해 동안 전국 각 지방을 두루 탐방한 끝에 우리 나라 최초의 축척지도를 제작하였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