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동국정운” 에 대한 검색결과 16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0)

사전(12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은 중국의 운서인 ≪홍무정운 洪武正韻≫에 대비되는 것으로, ‘’이란 우리 나라의 바른 음이라는 뜻이다. 이 책은 세종의 언어정책의 일환으로 당시 혼란상태에 있었던 우리 나라의 한자음을 바로잡아 통일된 표준음을 정하려는 목적으로 편찬, 간행되었다...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보 제142호. 조선 세종 때 집현전(集賢殿) 학사들이 왕명으로 편찬하여 1448년에 간행한 한국 최초의 운서(韻書).
    정의국보 제142호. 조선 세종 때 집현전(集賢殿) 학사들이 왕명으로 편찬하여 1448년에 간행한 한국 최초의 운서(韻書).[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Dongguk jeongun | MR표기Tongguk chŏng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역사국어 문헌 한국 조선 세종 성낙수 박종국 2015 신숙주(申叔舟), 최항(崔恒), 성삼문(成三問), 박팽년(朴彭年), 이개(李塏), 강희안(姜希顔), 이현로(李...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세종 때 ≪≫ 인출(印出)에 사용한 목활자. [내용] 1447년(세종 29)에 편찬을 완성하고 1448년 인행(印行), 반포한 ≪≫의 본문 중 한문 대자(大字)의 인출에 사용한 목활자를 말한다. 이 책의 본문...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전기에 신숙주(申叔舟, 1417-1475)가 쓴 《동국정운》의 서문.
    정의조선 전기에 신숙주(申叔舟, 1417-1475)가 쓴 《동국정운》의 서문.[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Dongguk jeongun seo | MR표기Tongguk chŏngun s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29)

  • 卷一 序 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 7 天地絪縕大化流行而人生焉陰 陽相軋氣機交激而聲生焉聲旣 生而七音自具七音具而四聲亦 備七音四聲經緯相交而淸濁輕 重深淺疾徐生於自然矣是故包 犧畵卦蒼頡制字亦皆因其自然 之理以通萬物之情及至沈陸諸 子彙分類...
    서명東國正韻 | 저자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卷一 目錄 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 7 一搄【平】:肯【上】‧亘【去】 ‧극亟【入】 二觥【平】:礦【上】‧橫【去】 괵虢入 三肱【平】‧귁國【入】 四公【平】:공拱【上】‧공貢【去】 ‧곡穀【入】 ...
    서명東國正韻 | 저자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卷一 三 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 7 肱 【平】 國 【入】 (君)  【平】 肱‧귁 【入】 國囯 【上同】 (虛)  【平】 薨 【又揯韻□】 翃 【上同又觥韻】
    서명東國正韻 | 저자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卷一 二 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 7 觥 【平】 礦 【上】 橫 【去】 虢 【入】 (君)  【平】 觥 : 【上】 礦鑛 【上同】□ 【上同】 □【上同】 卝 【上同 又本韻旰韻】 獷懭□䵃 【上同】 ‧괵 【入】 虢馘□ 【上同...
    서명東國正韻 | 저자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卷二 六 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 5 弓 平 重 上 䛪 去 匊 入 (君)  平 弓躬匑匔 上同 宮 ‧국 入 匊菊蓻 上同 上同 上同 鞠 又本韻 弓韻 掬 上同 上同 鵴鞫 上同 上同 諊 上同 告 上同 又穀誥韻 又傀韻
    서명東國正韻 | 저자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기초학문(2)

  • 式 漢字音에서의 ‘ㆍ’의 音價 : 中國 漢字音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지형, 게재일 : 2005
    11081 김지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式 漢字音에서의 ‘ㆍ’의 音價 : 中國 漢字音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FISHERIES SUBSIDIES DISCUSSION AND SOME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차익종, 게재일 : 2014
    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65771&local_id=10055327 의 중성 배열 원리에 대하여 - 훈민정음 해례본의 제자 합용 상합의 관점에서 https://www.krm.or.kr/kr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주제어사전(4)

  • / [언어/언어/문자]

    1448년(세종 30) 세종의 명으로 간행된 우리나라 최초의 운서(韻書). 1448년(세종 30) 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 등이 세종의 명으로 편찬하여 간행한 우리나라 최초의 운서(韻書)이다. 『』은 중국의 운서인 『홍무정운(洪武正韻)』에

  • 언어정책 / 言語政策 [언어/언어/문자]

    정책이다. 또한 국제적으로 자국어를 외국에 전파하고 그 교육을 지원하거나 소수 민족의 언어 교육에 대해서 펼치는 정책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1443년에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1447년에『()』을 편찬하였다. 그런데 현대적 개념의 정부 언어정책은 19세기말

  • 이동림 / 李東林 [언어/언어/문자]

    본관은 원주(原州). 호는 허당(虛堂). 강원도 영월 출신. 국어학자. 1950년동국대학교(東國大學校)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1957년 3월 동 대학원에서 <월인석보소고 月印釋譜小考>로 문학석사 학위, 1970년 9월 동 대학원에서<연구 硏究> 로

  • 관음보살주경언해 / 觀音菩薩呪經諺解 [언어/언어/문자]

    한글로 음역하였으며, 난 위에는 진언의 수인도(手印圖)를 그려놓았다. 책 뒤에 있는 기록에 의해, 학조(學祖)의 가르침에 따라 편찬되어 궁중의 도움으로 간행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진언의 뜻풀이에 나타나는 한자어는 『』의 한자음을 지양하고 있고, 진언의 음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