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동국세시기” 에 대한 검색결과 37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51)

사전(33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 뒤 이 3책은 합본으로 여러 곳에서 간행되었으며, 우리 나라 세시풍속연구의 중요한 기본문헌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내용] 이상 3책 중에서 ≪≫는 제일 나중에 쓰여진 책이면서, 내용이 제일 세밀하고 분량도 많다. 그리고 1530년(중종 25)...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에 홍석모(洪錫謨, 1781-1850)가 연중행사와 풍속들을 정리하고 설명한 세시풍속집.
    정의조선 후기에 홍석모(洪錫謨, 1781-1850)가 연중행사와 풍속들을 정리하고 설명한 세시풍속집.[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Dongguk sesigi | MR표기Tongguk sesig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홍석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심을 가져 『()』등을 저술하기도 하였다. 그는 9세부터 70세에 이르기까지 연월(年月)의 순서에 따라 총 21책으로 정리된 시집을 남겼다. 청나라에 여러 해 사신을 다녔던 사실,「풍악록(楓岳錄)」과 기행시, 「연날리기(紙鳶)」‧「널뛰기(跳板)...
    이칭별칭 경부(敬敷)| 구화재(九華齋), 근와(近窩), 도애(陶厓), 망서당(望西堂), 사옹(?翁), 옥탄거사(玉灘居士), 일양헌(一兩軒), 자각산인(紫閣山人), 찬승자(餐勝子)
  • 단오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감사와 통제사는 임금에게 명절 부채를 진상하고 예절에 따라 조정의 대신들과 친척, 친우들에게 선사한다. 부채를 만드는 고을의 수령들도 역시 임금에게 진상하고 친우들에게 선사했다. 『()』의 기록에 의하면 왕이 하사한 부채 중에는 흰 댓살이 40...
    이칭별칭단오부채
  • 아세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동짓날을 이르는 말. 『()』에 "동짓날은 아세라고 한다(冬至日稱亞歲)"라고 함. 孤子又逢亞歲 逢新之慟 益復罔極, 김난순(金蘭淳), 29-33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7)

  • 李熹公實錄資料 2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3001422014300142_001 李熹公實錄資料 2 자료제73호 궁내청 공문서관 85351 02 5 세시풍속의 관점에서 제주도에서 진상되는 감귤과 유자 등을 종묘에 천...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熹公實錄資料 2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3001472014300147_001 李熹公實錄資料 2 자료제78호 궁내청 공문서관 85351 02 10 正月 설날에 議政大臣이 百官을 거느리고 대궐에 나가 새해 문안의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熹公實錄資料 2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3001512014300151_001 李熹公實錄資料 2 자료제82호 궁내청 공문서관 85351 02 14 12월 除夕에 수행하는 풍습에 관한 내용으로 2품 이상 朝官과 侍...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熹公實錄資料 2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3001452014300145_001 李熹公實錄資料 2 자료제76호 궁내청 공문서관 85351 02 8 正月 초이렛날에 보던 科擧인 人日製에 대한 내용으로 『』洪...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熹公實錄資料 2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3001462014300146_001 李熹公實錄資料 2 자료제77호 궁내청 공문서관 85351 02 9 春到記科와 秋到記科의 유래를 설명하는 내용으로 『』에서 채...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기초학문(2)

  • 세시기(歲時記) 서술의 방식과 의미 -『』의 "중국 근거 찾기"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진경환, 게재일 : 2006
    20263 진경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족어문학회 2006 세시기(歲時記) 서술의 방식과 의미 -『』의 "중국 근거 찾기"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근세시대 한일양국의 세시기를 통해본 생활문화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현영, 게재일 : 2006
    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06200&local_id=10010707 근세시대 韓・日兩國의 「歲時記」를 통해 본 生活文化史에 관한 연구 -『』(조선,1849이전)와 『東都歲事記』(일본,183
    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4)

주제어사전(20)

  • / [생활/민속]

    우리나라 세시풍속을 모아 정리한 책. 조선 순조 때의 학자 홍석모(洪錫謨)가 중국 종름(宗凜)의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를 모방하여 우리 민속을 정리하여 <>를 지었다. 이 책은 원래 한 권의 필사본으로 전해져 왔는데, 홍승경(洪承敬)이 광문회(光文會)에

  • 유두면 / 流頭麵 [생활/식생활]

    는 것으로 바뀌게 되었다. ≪ ≫에는 유두면을 몸에 차거나 문설주에 걸어서 잡귀를 막는 풍속이 기록되어 있다. 유두면을 먹으면 여름 내내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 춘천차전놀이 / 春川車戰─ [생활/민속]

    강원도 춘천과 가평 지방에서 행해지는 민속놀이. ≪ ≫ 상원조(上元條)에 의하면 “춘천 민속에 차전이 있는데, 외바퀴수레를 동리별로 편을 나누어 앞으로 밀고 나와 서로 싸움으로써 그해의 점을 친다. 쫓기는 편이 흉(凶)하다. 가평의 풍속도 또한 그렇

  • 윷점 / 윷占 [종교·철학/민간신앙]

    윷으로 새해의 길흉을 점치는 점법의 하나. <>의 제석조에 "제야와 설날에 윷을 던져서 괘를 보아 새해의 길흉을 점친다. 점치는 법은 64괘로 나누어 각각 요사가 있다. 윷점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사람이 편을 짜서 집단으로 하는 것과 또 하나는 개인이

  • 조리희 / 照里戱 [생활/민속]

    조선시대 제주도 지방에서 행해졌던 줄다리기. 『신증동국여지승람』과 홍석모(洪錫謨)의 『』에 그 기록이 전한다. 줄다리기를 조리희라고 쓴 것은 이두식 표기인 듯하다. 『』의 기록을 옮겨보면 다음과 같다. “제주도 풍속에 매년 팔월 보름날 남녀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