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동국문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4)
사전(174)
- 동국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유교 사상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들이다. 장서각도서에 있다. 동국문헌 1804년(순조 4)에 간행된 조선 태조 때부터 순조 때까지의 여러 명현들의 이름과 약력을 수록한 책. 편자 미상. 장서각도서. ...
- 동국문헌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그 이하 부분은 ‘동국문헌미상견조두록(東國文獻未詳見俎豆錄)’이라 하여 각종 제향(祭享)의 사실들을 정리한 것이다. 먼저 문묘에 대한 내용으로서, 그 간단한 연혁과 공자를 비롯해 안자(顔子)‧설총 등의 제향 인물들과, 조준(趙浚) 등의 배향 인물들을 기재하였다....
- 동국문헌보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항목이 있다. 제2책에는 본조사화기실(本朝士禍記實)ㆍ동국필원편(東國筆苑篇)ㆍ동국화가편(東國畫家篇)ㆍ동국도학연원(東國道學淵源)ㆍ동국문묘향사록(東國文廟享祀錄)ㆍ동국문헌유림편동부속편(東國文獻儒林篇同附屬篇) 등이 있다. 제3책에는 유림보유(儒林補遺)ㆍ현원문장(賢...
- 동국문헌원우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啓聖祠)와 문묘(文廟)에 제향된 인물명단이 실려 있고, 그 다음에 개성의 숭양서원(崧陽書院)을 비롯한 45개의 서원‧사우의 명칭, 건립 및 사액연대(賜額年代), 제향인물 등을 차례로 기록해 놓았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동국문헌원우편...
- 동국문헌비고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770년(영조 46) 왕명에 따라 홍봉한 등이 우리나라 고금의 문물 제도를 수록한 책정의1770년(영조 46) 왕명에 따라 홍봉한 등이 우리나라 고금의 문물 제도를 수록한 책 | 문광부표기Dongguk munheon bigo | MR표기Tongguk munhŏn pig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19)
- 동국문헌(東國文獻)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역사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동국문헌(東國文獻)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역사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동국문헌(東國文獻)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법제-법령 | 형식분류고서-법전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역사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신문·잡지(1)
- 백두산 고적(白頭山古蹟)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고적, 동국문헌비고, 「장백산부(長白山賦)」, 팔역지(八域誌), 산해경 서우번역문.pdf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17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주제어사전(14)
-
동국문헌 / 東國文獻 [언론·출판]
저자 김성은(1765-1830). 목판본. 2권 2책. <동국문헌>은 2권 2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1책 맨 앞에 총목이 있는데 '필원', '화가'의 경우 총목에는 적혀있으나, 1책의 권말에는 누락되어 있다. 2책의 권말에는 '순조 4년(1804)에 김성은이 교정을
-
동국문헌비고 / 東國文獻備考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의 정치·경제·문화 등 각종 제도와 문물을 분류, 정리한 책. 1770년(영조 46) 홍봉한 등이 왕명을 받아 처음 100권으로 편찬했다. 각종 제도를 여지·예·병·형·학교 등 13고로 분류해 연대순으로 정리했다. <동국문헌비고>의 편찬목적은 각종 제도의 연혁과
-
유의양 / 柳義養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8∼?). 대사간·공조참판·부총관 등을 지냈다. 집의 때 백관들의 안일함을 논핵하였다.《춘관지》·《영희전지》를 편찬,《동국문헌비고》수정,《국조오례의》를 보집하였다. 저서로《춘방지》·《춘관통고》가 있다.
-
김응순 / 金應淳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8∼1774). 할아버지는 영행, 아버지는 이건, 어머니는 조태과의 딸이다. 1753년(영조 29)에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지평이 되었다. 이후 경상도관찰사, 대사헌, 호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1770년에는 사직으로《동국문헌비고》의 편찬에
-
영조 / 英祖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제21대 왕(1694∼1776). 재위 1724∼1776년. 1725년 압슬형을 폐지하고, 아울러 사형을 받지 않고 죽은 자에 대한 추형을 금지시켰다. 1750년 균역법을 시행하여 양역의 불균형을 바로잡았다. 1770년 최초의 백과사전《동국문헌비고》를 진찬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