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동계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6)
사전(90)
- 동계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박만정(朴萬鼎)의 문집. [내용] 4권 2책. 필사본. 1966년 후손 우희(雨喜)에 의하여 필사되었다. 서문과 발문이 없다. 이 책의 원본은 후손인 인희(寅喜)가 소장하고 있고, 영인본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 동계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명찰상인(明察上人)의 「풍계두회(楓溪蠹會)」를 칭찬한 「풍계두회서」가 있고, 또한 병자호란의 전말을 기록한 「제병자록(題丙子錄)」이 있다. 동계집 / 이영보 ...
- 동계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유진성(柳晉成)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석인본. 1941년에 증손 병찬(昞燦)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유연구(柳淵龜)ㆍ유도승(柳道昇)의 서문과 권말에 문인 배선찬(裵璇燦) 등의 발문 3편이 있다....
- 동계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히려 유도가 밝아졌다고 하였다. 이밖에도 「혁과제책(革科制策)」ㆍ「책경(策經)」ㆍ「책위(策緯)」 등의 책문은 16, 17세기의 과거제도 및 정치ㆍ사회적 문제를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동계집 조선 중기의...
- 박만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명한 일도 있었다. 이때의 복명서는「해서암행일기(海西暗行日記)」라 하여 그의 유집(遺集)인『동계집』에 수록되어 있다. 이 일기는 1973년 보물 제574호로 지정되었다. [저술활동] 저서로는『동계집』이 있다. 『국조방목...이칭별칭 사중(士重)| 동계(東溪), 설정(雪汀)
고서·고문서(6)
- 동계집(東溪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동계집(東谿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동계집(東谿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동계집(東溪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人事門5_誣毁退溪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十餘年, 仁弘之凡所以害李某者, 無所不至, 未嘗一言及此. 臣又何曾沮止儒士之公議? 以此推之, 他說皆未可信.” 此事載崔相《遲川集》及《鄭桐溪集》, 余未記全文, 只錄其槪如此. 蓋此言崔相之前已有之, 不過中間構毁者所爲. 嶺以南, 則寂寥無聞, 故鄭仁弘之忌克, 而不曾搭在牙頰也. 退溪之...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一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주제어사전(6)
-
동계집 / 東溪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박만정의 문집. 4권 2책. 필사본. 권1에 서 9편, 잡저 2편, 서 7편, 기 1편, 발 6편, 권2에 제문 12편, 행장 2편, 묘지명 1편, 묘지 3편, 묘갈명 1편, 권3은 부록으로 가장, 언행록 1편, 국조실록초 1편, 권4에 잡저,
-
동계집 / 東溪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박태순의 시문집. 10권 5책. 목판본. 1736년(영조 12) 손자 사집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성명의 서문이 있다. 권1∼5에 시 734수, 잡체 23수, 권6·7은 잠·송·명 각 1편, 찬 2편, 교서 3편, 전 6편, 장 5편, 상
-
동계집 / 東溪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말기의 학자 유진성의 시문집. 4권 2책. 석인본. 1941년에 증손 병찬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1에 시 123수, 권2에 서 12편, 전 2편, 잡저 4편, 서 4편, 권3에 기 10편, 상량문 4편, 애사 1편, 축문 2편, 제문 22편, 묘갈명
-
조형도 / 趙亨道 [역사/조선시대사]
다. 보성군수, 경주영장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동계집≫ 3책이 있다.
-
죽마놀이 / 竹馬─ [생활/민속]
전승되고 있다. 중국의 ≪잠확유서 潛確類書≫에 당나라 때 덕연(德延)이 어린이들을 위하여 고안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일본의 ≪잡언봉화 雜言奉和≫와 우리 나라의 박태순(朴泰淳)의 ≪동계집 東溪集≫, 김영작(金永爵)의 ≪소정문고 邵亭文稿≫에도 같은 기록이 나타나 있다. 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