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동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88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77)
사전(853)
- 동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마을 또는 동리의 복리증진과 상호부조를 위하여 공유재산을 마련하고 관리하는 자치 조직. [내용] 대동계(大洞契)‧이중계(里中契)‧동중계(洞中契)‧동리계(洞里契)‧촌계(村契)라고도 한다. 계란 특정 목적을 위하여 여러 사람이 모여
- 동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변천] 995년(성종 14) 전국에 10도(道)를 설치할 때 화주(和州)‧명주(溟州) 등의 군현을 삭방도(朔方道)로 정한 뒤 1036년(정종 2) 동계라고 칭하였으며, 1047년(문종 1)에는 동북면으로 개칭하였다. 뒤에 함주(咸州) 이북이...이칭별칭동북면|동면|동로|동북로|동북계
- 동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 후기‧조선 전기에 북계(北界)와 함께 양계(兩界)를 구성하던 지방 행정 구역의 하나.정의고려 후기‧조선 전기에 북계(北界)와 함께 양계(兩界)를 구성하던 지방 행정 구역의 하나.[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Donggye | MR표기Tonggy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동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동네의 일을 위하여 동네 사람이 모으는 계.정의동네의 일을 위하여 동네 사람이 모으는 계.[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donggye | MR표기tonggy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동계(洞契)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동계 동계 洞契 향약(鄕約) 동약(洞約), 이계(里契), 이약(里約) 촌계(村契), 송계(松契), 향도(香徒), 상계(上契), 하계(下契) 사회향촌/계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김덕진 ...상위어향약(鄕約) | 동의어동약(洞約), 이계(里契), 이약(里約) | 관련어촌계(村契), 송계(松契), 향도(香徒), 상계(上契), 하계(下契)
고서·고문서(883)
- 冬季遠足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6278 창가 普通學校 補充唱歌集 22064 1926 朝鮮總督府 朝鮮書籍印刷株式會社 朝鮮總督府 井上主計 冬季遠足 〈#60〉 [ 一, ] 萬事의 根本인 나의 一身을, 强健케 하이면 鍛鍊할지라. 便하게만 자라난 弱質의 몸은,...구분창가 | 편저자朝鮮總督府
- 동계집(東溪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동계집(東谿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동계집(東谿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동계집(東溪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구술자료(9)
- 상여 대동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마을에 고래로부터 전해지는 계가 있는가 묻자 제보자는 첫 말문을 열기가 어색한 듯, 쑥쓰러워 하면서 이야기를 시작했다. *조사일시1982-07-15 | 조사장소경기도 옹진군 영종면 | 제보자장재순
- 손자를 살린 동계 선생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노래판을 잠시 멈추고 제보자 조사를 하는 사이, 제보자로부터 시조창을 듣고 난 후 효부 효자 이야기 등 함양의 인물에 관해 이야기해 달라고 하자 이 이야기를 했다. 이야기는 천천히 했으나, 사건의 전후 맥락을 제대로 이어서 구술하지는 못했다.조사일시2009.02.08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목현리 목현마을 | 제보자정준상(남,90세)
- 침강반월 명당이 있는 동계면 주월마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 후에 다음을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11년 2월 23일(수) | 조사장소순창군 동계면 동심리 526-1번지 오동마을 제보자 자택 | 제보자이종엽
- 6.25때 마을의 절반 이상이 불탄 동계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 후에 다음을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11년 2월 23일(수) | 조사장소순창군 동계면 동심리 526-1번지 오동마을 제보자 자택 | 제보자이종엽
- 순창 동계면에 남원 양씨 터를 잡은 이씨 부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 후에 남원 양씨 입향 시조에 대해서도 물었더니 다음을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11년 1월 13일(목) | 조사장소순창군 인계면 도룡리 산 206-3번지 도사마을 경로당 | 제보자양정욱
기초학문(43)
- 한국 동계스포츠의 발전과정과 전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윤대중, 게재일 : 201555316 윤대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체육사학회 2015 한국 동계스포츠의 발전과정과 전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15
- 빈곤노동계층의 노동시장구조와 정책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237870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학회 2002 빈곤노동계층의 노동시장구조와 정책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유형논문 | 게재일2002
- 노동계급형성의 구조적 조건의 변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진상, 게재일 : 200500791 정진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상대 사회과학연구원 2005 노동계급형성의 구조적 조건의 변화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유형논문 | 게재일2005
- 구술로 본 동계체육대회: 발전과정과 향후 과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윤대중, 게재일 : 201353143 윤대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체육사학회 2013 구술로 본 동계체육대회: 발전과정과 향후 과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13
- 경제위기 이후 노동계약 연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235417 한국연구재단 한국경제학회 2002 경제위기 이후 노동계약 연성화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유형논문 | 게재일2002
신문·잡지(1,802)
- 大繁昌の骨董界 (대번창의 골동계)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서화유통관련기사명_원문大繁昌の骨董界 | 기사명_한글대번창의 골동계 | 게재일19170425 | 게재판석 | 게재면03 | 게재단1-2
- 민세안재홍전집 : 排日反對와減俸反對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489 1929 10 22 1 1 安在鴻(무기명) 안재홍 排日反對와減俸反對 日本人의示威運動 신문 조선일보 1면1단조간 사설 사회 직접자료 1권 米國排日, 濱內閣, 勞動階級 A19291022조선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경화_1967_03_동계호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목차 경화회규약 3 경화회노래 4 정미년을 보내면서 김성수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7
- 湖南鉄道合同契約의調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셔오슌민병셕씨등이 호남텰도부셜 공역을 완뎐히 셩립방침으로 일본인 횡뎐호은 묵원츙일씨 등으로 더부러 합동계약을 쳬결얏 농상공부에셔 그건에 야 방금됴샤즁이라더라게재일1907년 8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학업을 쉬는 여름에 귀국하는 동계(同契) 여러분과 이별하며 쓰는 서문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학업을 쉬는 여름에 귀국하는 동계(同契) 여러분과 이별하며 쓰는 서문 언론 출판 문헌 근대 태극학보(太極學報) 태극학보(太極學報)_12호 送同契諸君子歸國序 1907.07.24. 文藝 308~309 420~422 김병억(金炳億) ...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12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기타자료(187)
- 하동계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6283 남한 경성 경성전기학교 1-15 졸업앨범 1942 0 하동계수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면 술정리 133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전기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동계 휴가의 위생 지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동계 휴가의 위생 지도 동계 휴가의 위생 지도 冬季 休暇의 衛生 指導 교육 문헌 교육과정 보건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승달성 | 사료철명교육연구
- 동계 방학 생활 지도 지침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동계 방학 생활 지도 지침 동계 방학 생활 지도 지침 교육 문헌 교육과정 생활지도 교육행정 교육이념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편집자 | 사료철명문교월보
- 동계 방학 생활 지도 지침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동계 방학 생활 지도 지침 동계 방학 생활 지도 지침 교육 문헌 현대 교육행정 중앙교육행정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문교부 | 사료철명문교월보
- 특집 (동계 휴가 지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특집 (동계 휴가 지도) 특집 (동계 휴가 지도) 교육 문헌 교육과정 생활지도 잡지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편집자 | 사료철명문교월보
연구과제(6)
-
18세기 작가평전: 개인의 발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박경남 | 고려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
현존 북한 사회와 체제의 복합성: 그 기원, 발전동학, 미래 비전의 측면에서
한국학 세계화 랩사업 | 안드레이 란코프 | 국민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
조지아와 한국: 근대 국권침탈, 독립투쟁 그리고 해방의 역사적 경험공유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Nino Doborjginidze | ILIA STATE UNIVERSITY | 2019 | 국외 | 해외
-
마한 분구묘의 이해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승옥 | 전북대학교 | 2019 | 국내 | 전북
-
공동체와 공유의 인류사 : 21세기의 비상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오항녕 | 전주대학교 | 2024 | 국내 | 전북
주제어사전(98)
-
동계 / 洞契 [사회/촌락]
등의 공동행사를 위한 경비조달방법으로 각 가구로부터 평등하게, 또 등급을 정하여 현물이나 금전을 갹출하여 공유재산을 형성하였다. 거기서 얻은 이식(利息)으로 촌락공동의 사업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공유재산의 소유형식과 그 관리조직으로 동계가 나타났다.
-
대동계 / 大同系 [지리/자연지리]
지 백악기의 경상계(慶尙系)에 의하여 경사부정합으로 덮인다. 처음 평양 북서부에 있는 대동군(大同郡)에 분포된 지층에 일본인 학자에 의하여 대동층(大同層)이라는 층명이 주어졌다. 그 뒤 이 대동층은 하부·중부·상부로 세분되어 대동계(大同系)라고 불리게 되었으나 하부와
-
동계집 / 東溪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박만정의 문집. 4권 2책. 필사본. 권1에 서 9편, 잡저 2편, 서 7편, 기 1편, 발 6편, 권2에 제문 12편, 행장 2편, 묘지명 1편, 묘지 3편, 묘갈명 1편, 권3은 부록으로 가장, 언행록 1편, 국조실록초 1편, 권4에 잡저,
-
동계집 / 東溪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박태순의 시문집. 10권 5책. 목판본. 1736년(영조 12) 손자 사집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성명의 서문이 있다. 권1∼5에 시 734수, 잡체 23수, 권6·7은 잠·송·명 각 1편, 찬 2편, 교서 3편, 전 6편, 장 5편, 상
-
동계집 / 東溪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말기의 학자 유진성의 시문집. 4권 2책. 석인본. 1941년에 증손 병찬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1에 시 123수, 권2에 서 12편, 전 2편, 잡저 4편, 서 4편, 권3에 기 10편, 상량문 4편, 애사 1편, 축문 2편, 제문 22편, 묘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