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동경잡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5)
사전(48)
- 동경잡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冕)이 이채(李採) 등 향중 인사와 함께 편집, 보완하여 ≪동경잡기≫라고 개칭, 간행하였다. 이것을 1711년(숙종 37) 남지훈(南至熏)이 첨보(添補)하여 재간(再刊)하고, 1845년 성원묵이 다시 증보, 정정하여 중간하였다. 1910년 조선고서간행회(朝鮮古書...
- 동경잡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845년 성원묵(成原默, 1785-1865)이 증보하여 중간(重刊)한 경주의 지지(地誌).정의1845년 성원묵(成原默, 1785-1865)이 증보하여 중간(重刊)한 경주의 지지(地誌).[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Donggyeong japgi | MR표기Tonggyŏng chapk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동경잡기(東京雜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동경잡기 동경잡기 東京雜記 지리서 한문 한국 조선 헌종 성낙수 박종국 2016 성원묵 경주부 1845 3권 3책 목판본(1711판) 동경잡지(東京雜誌) 규장각, 장서각 ...
- 알영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를 낳았다. 혹은 용이 나타나 죽으니 그 배를 갈라 계집아이를 얻었다.”라는 기록이 전한다. 이와 같은 정천신앙(井泉信仰)에 따른 탄생설화는 동북아시아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현재 알영정의 위치를 확인할 수는 없으나 『동경잡기(東京雜記)』에 따르면, 경주부...
- 만월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경주에 있었다고 전하는 신라 시대의 성곽. [내용] 『삼국사기』 지리지에 신월성(新月城) 북쪽에 만월성이 있는데 주위가 1,838보(步)라는 내용이 있고, 또 『동경잡기(東京雜記)』에는 월성(月城)의 북쪽에 있는데
고서·고문서(22)
- 동경잡기(東京雜記)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동경잡기(東京雜記)』의 일부 내용을 수정 증보한 1845년(헌종11) 판본을 인출한 책이다. 1845년 판본은 2종이 있는데, 본서와 〈奎 5458〉본이다. 양자를 비교하면 본서에 지도 2장이 없는 것 외에는 같지만, 인출상태로 보아 본서가 후쇄본이 된다. 또한 본...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동경잡기(東京雜記)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동경잡기(東京雜記)』는 1670년(현종11)에 편찬 간행된 경상도 경주부(慶州府)의 역사지리지이다. 1669〜1670년에 경주부사(慶州府使) 민주면(閔周冕)이 고을의 진사(進士) 이채(李埰)‚ 김건준(金建準) 등과 함께 『동경지(東京誌)』를 바탕으로 내용을 증보하고...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동경잡기(東京雜記)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1670년(현종11)에 간행된 경상도 경주부(慶州府)의 지리지인 『동경잡기(東京雜記)』를 1711년(숙종37)에 중간(重刊)한 책이다. 목판 크기는 초간본과 다르지만, 항수(行數)와 자수(字數)를 똑같이 맞추어 새로 목판을 새겨 인출한 것으로, 3권 3책이다. 다만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동경잡기(東京雜記)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경주부(慶州府)의 역사지리지인 『동경잡기(東京雜記)』의 일부 내용을 수정 증보하여 1845년(헌종11)에 간행한 판본이다. 1711년(숙종37) 중간할 때 판각된 목판을 바탕으로 하였으나, 내용 일부를 수정 증보한 인물 항목의 해당 부분 목판 10장을 다시 판각한 것...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동경잡기(東京雜記)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경주의 역사지리지인 『동경잡기(東京雜記)』를 1913년에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에서 신식 활자본으로 간행한 책이다. 권수(卷首)의 해제(解題)에, 본서는 홍명희(洪命憙) 소장본을 저본으로 활자화한 것이며, 『동경잡기』의 초간(初刊), 중간(重刊)과 수정 증보하여 간행...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신문·잡지(5)
- 조선급만주_1925_21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 大連雜信 북산곽공 38 頃日の東京雜記 일기자 40 佛國寺より石窟庵まて 中村健太郞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5
- 조선급만주_1924_2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上收 97 頃日の東京雜記 榮之助 100 秋風貧兒の朋に寒し 곽공 103 동서남북 일...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4
- 조선급만주_1913_06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者 71 朝鮮名著 目池 74 溫突雜話 藻口 77 東京雜記 綠町人 78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3
- 조선급만주_1917_12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東京雜記 (上) 旭邦生 77 漢詩 83 세부기사 短歌, 84. 朝鮮及滿洲俳壇, 86. 放浪者の心 岡島睦 87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7
- 조선공론_1937_25_0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15 東京雜記 宮崎義男 116 展覽會素描 牧田生 118 簡易保險を上手に利用しませう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7
주제어사전(6)
-
동경잡기 / 東京雜記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지리류(地理類) 민주면(閔周冕) 증보, 목판본, 3권 3책. 표제는 동경지(東京誌), 판심제는 잡기(雜記)로 되어 있다. 경상도 경주부 지지로, 작자 미상의《동경지》를 증보한 것이다.
-
검무 / 劒舞 [예술·체육/무용]
칼을 휘두르며 추는 춤. 유래에 대해 『동경잡기 東京雜記』와 『증보문헌비고』의 기록이 모두 신라 소년 황창(黃昌)이 백제에 들어가 칼춤을 추다가 백제의 왕을 죽이고 자기도 죽자, 신라인들이 그를 추모하기 위해 그 얼굴을 본떠 가면을 만들어 쓰고 칼춤을 추기 시작한 데
-
경주동궁과월지 / 慶州東宮─月池 [예술·체육/건축]
만,『동경잡기(東京雜記)』에는 안압지가 건립된 시기와 비슷하거나 그보다 뒤에 만들어졌다고 하였다. 동궁 및 월지 유적은 1980년에 정화공사를 거쳐 신라 궁궐의 원지(苑池)로 복원되었고, 3채의 누각도 발굴조사 때 출토된 목조 건물 부재와 신라시대의 다른 유적들을 참조
-
김유신설화 / [문학/구비문학]
신라 통일기의 명장 김유신에 관한 설화. 김유신의 일생을 다룬 내용은 『삼국사기』 열전(列傳)에 실려 있고, 그 밖에 김유신의 행적에 관한 단편적인 일화들은 『삼국유사』 기이(紀異) 제2 김유신조를 비롯하여 『파한집』·『동경잡기(東京雜記)』·『동국여지승람』 등에 실려
-
제정집 / 霽亭集 [문학/한문학]
부록으로 행장이 실려 있다. 『고려사』·『동경잡기 東京雜記』·『해동잡록 海東雜錄』 등에서 이달충에 관한 기록을 발췌하여 수록하였다. 구 문집의 발문과 앞에서 빠진 시 2수를 추가 수록하였다. 그리고 1832년(순조 32)에 쓴 이인행(李仁行)의 서와 1836년에 쓴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