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동경대전” 에 대한 검색결과 8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5)

사전(5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불연기연 최제우가 지은 동학의 경전. 포덕문, 논학문, 수덕문, 불연기연의 네 편으로 되어 있다. 제2대 교주 최시형 1880년에 완간하였다. 규장각도서. 불연기연 부분. ...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제우가 지은 동학의 경전
    정의최제우가 지은 동학의 경전 | 문광부표기Donggyeong daejeon | MR표기Tonggyŏng taej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학(東學) 포덕문(布德文) 최제우(崔濟愚), 용담유사(龍潭遺詞) 정치정치운영/정변 문헌 조성환 최제우/최시형 강원도 인제 갑둔리 1880년 8권 (...
    상위어동학(東學) | 하위어포덕문(布德文) | 관련어최제우(崔濟愚), 용담유사(龍潭遺詞)
  • 신실시행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 『()』과 「수운가사(水雲歌辭)」를 읽어 성공하라고 하였다. 불교와 서교에 비하여 수운‧청림으로 이어지는 동학이 시운에 맞는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음이 특징이다. 『가사문학대계(歌辭文學大系)-동학가사(東學歌辭) Ⅰ‧...
  • 팔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절로 되어 있기 때문에 ‘팔절’이라는 명칭이 붙었으며 모든 사람이 외우기 쉽게 되어 있다. 한자로 기술되어 있으며, 『()』에 포함되어 있다. 『()』 『용담유사(龍...

고서·고문서(8)

  • 책값(冊價金)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人ハ被告ハ原告ニ對シ金五千七十七圓二十五錢ニ隆熙二年陰五月一日ヨリ本件完濟ニ至ルマテ年十分ノ二ノ利子ヲ加ヘ辨償ス可シトノ判決ヲ求メ其ノ事實關係ニ付隆熙元年九月中崔錫彰閔健植及被告三名ハ普文社ト稱スル印刷業ヲ目的トスル法人ヲ設立シタルカ同年十月頃被告ハ原告ニ對シ天道敎科書九種卽五千部東經演義五...
    재판기관경성지방재판소(京城地方裁判所) 민사제2부 | 판결일자1909년 03월 16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책값(冊價) 대금(代金)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의 原因된 事實로 原告 兩人及被告 各히 出資야 明治四十年〈隆熙元年〉 九月中에 印刷業기 目的으로 普文社라 稱 組合을 組織바 被告 同年 十月中 普文社에 對야 天道敎科書〈 五千部, 東經演義 五千部, 天約宗正 五千部, 天道敎典 五千部, 三辭要旨 四千部...
    재판기관경성지방재판소(京城地方裁判所) 민사제2부 | 판결일자1909년 12월 24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책값(冊價) 대금(代金)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被告孫秉熙及訴外人閔健植ノ三名ハ各自出資ノ上印刷業ヲ營ムコトヲ目的トシ普文社ト稱スル組合ヲ組織シタルカ同年十月頃被告ハ普文社ニ對シ天道敎科書九種卽五千部東經演義五千部天約宗正五千部天道敎典五千部三壽要旨四千部聖訓演義四千部大宗正義四千部觀感錄四千部天德頌二萬部ノ印刷ヲ依賴シタルヲ以テ普文社ハ...
    재판기관경성지방재판소(京城地方裁判所) 민사제1부 | 판결일자1909년 10월 20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탄도유心급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
    결같아야 만사를 자기 뜻대로 이루리라 하였고, 다른 사람의 잘못을 탓하지 말고 내 마음의 작은 지혜라도 베풀라고 하였다. 그리고 모든 것은 때가 있으므로 그 때를 기다려야 하며, 마음을 조급히 하는 것은 올바른 결과를 가져올 수 없다고 하였다. 『()』에...
    가사유형종교가류 | 소장처이상규 | 시대해방이전
  • 말로 착각하여 과도 교정하여 표기한 형태이다.잇고록〃쳥〃 져죽림은 열여정 열여정: 열녀정(烈女情).이 집퍼잇고림〃총〃 져수풀은 풍도림호 고종풍 풍도림호 고종풍: 풍도림호고종풍(風導林虎 故從風). 『』 「영소」에 나오는 말이다. “어변성룡담유어 풍도림호고종풍 풍래...
    가사유형종교가류 | 소장처이상규 | 시대해방이전

구술자료(1)

  • 김정선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렀던 낭송조에 관해 설명하는 내용과 직접 부른 노래가 녹음되어있다. 2) 이보형 소장 음악자료 총 목록의 대표표제어는 \'손용 농악조사\'라고 되어 있으나, 실제 녹음된 내용은 \'김정선 대담\'이다. 3) 음질 중 동학 김정선 김주희 최제우 낭송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정선

신문·잡지(19)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

    동학경전 중의 하나. 용담유사와 함께 동학의 2대 경전에 속한다. 포덕문, 논학문, 수덕문, 불연기연의 네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학의 제2대 교주인 최시형이 1880년 강원도 인제군 남면 갑둔리에서 완간하였다. 포덕문은 525자, 논학문은 1,338자, 수덕문 1,0

  • 동학가사 / 東學歌辭 [종교·철학]

    동학사상을 전파하기 위해서 만든 가사. 최초의 동학가사는 <용담유사>에 실려 있는 것들이다. <용담유사>는 1880년 최시형에 의해 <>과 함께 간행되었다. <용담유사>에 실려 있는 동학가사는 그 당시까지 암송되어 오던 것들이다. <용담유사> 이후의 동학가사는

  • 용담유사 / 龍潭遺詞 [종교·철학]

    동학의 경전 중의 하나. 한문으로 된 <>과 함께 동학의 기본 경전이다. 동학의 교조 최제우가 지은 한글로 된 가사집이다. 1881년 여규덕의 집에서 최시형에 의해 처음으로 간행되었다. 이후 1893년과 1922년에 각각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다. <용담가><안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