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동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4,1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500)
사전(3,868)
- 동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경이다. 형태는 원형‧방형‧장방형‧오화형(五花形)‧육화형‧팔화형‧사릉형(四稜形)‧육릉형‧팔릉형 등으로 세분된다. 그 밖에도 종형(鐘形)과 자루가 달린 병경(柄鏡), 매달게 되어 있는 현경(懸鏡) 등이 있다. 동경은 중앙의 꼭지, 즉 유(鈕)를 중심으로 몇...연계항목동경(동경)
- 동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것을 987년(성종 6)에 동경이라 개칭하고 유수(留守)를 두었다. 995년에는 유수사(留守使 : 3품 이상)‧부유수(副留守 : 4품 이상)‧판관(判官 : 6품 이상)‧사록참군사(司錄參軍事 : 7품 이상)‧장서기(掌書記 : 7품 이상)‧법조(法曹 :...
- 동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작자‧연대 미상의 신라 속악(俗樂). [내용] 동경은 곧 계림부(鷄林府)를 말한다. 신라는 승평(昇平)의 세월이 오래 계속되고, 정치와 교화(敎化)가 순미(醇美)하여 신령한 상서(祥瑞)가 자주 나타나고 봉(鳳)이 날아와 울어, 나라 사람...
- 동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부의 속현(屬縣)으로 역시 동경이라고도 부르는데 큰 데에 통합되어 불린 것이다. 가사는 이어를 사용하였다 하는데 가사와 음악은 전하지 않고, 『고려사』악지에 그 내용만 전하고 있다. 『고려사(高麗史)』
- 동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수록되어 있으며, 마지막으로 저자의 발문(跋文)이 있다. Ⅰ부에 <고독>‧<독백>‧<소곡(小谷)에서>‧<추상 秋想>‧<동경>등 12편, Ⅱ부에 <개성 個性>‧<나의상상(想像)>‧<나상 裸想>‧<촉화 燭火>등 10편, Ⅲ부에 <백지 白紙>‧<까치>‧<밤>‧<로맨스...
단행본(3)
- 제국을 향한 미몽, 근대 조선인의 해외투어와 열망의 파레시아 [근대 조선 다크투어리즘과 계몽의 파레시아 | 동의대학교]저자 : 김인호 ...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 출판일 : 20240531본 저작은 조선인에게는 큰 좌절감과 상처가 있던 시기인 개항기, 일제강점기에 세계를 여행한 조선인 여행자들의 기행담(여행기, 시찰기 등)을 분석하여, 그 기록의 행간에 담으려 했던 그들만의 파레시아(속내)를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것으로 당대 조선인 여행자들이 ...
- 조선총독부박물관과 식민주의: 식민지 역사의 재현과 문화재 관리 [일제 식민주의 역사학의 연원과 기반에 관한 연구-朝鮮·支那·滿蒙·동남아 통합지배를 향한 ‘東洋史’와 식민사학 비판 | 서울대학교]저자 : 오영찬 ... | 출판사 : 사회평론 | 출판일 : 202202제국주의의 침탈 과정에서 식민지에 세워진 박물관은 원활한 식민지배를 위한 문화적 도구로 활용되었는데, 1915년 일제에 의해 세워진 조선총독부박물관 또한 이러한 역할에 충실한 식민지 문화기관이었다. 식민지 문화재정책에 부응하여 발굴품과 미술공예품의 전시를 통해 열등한 ...
- (조선왕실의 일상 2) 조선의 왕비로 살아가기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심재우(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교수), 한형주(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수), 임민혁(한...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2.09.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1. 조선시대의 왕비 (1) 왕비의 위상과 역할 (2) 왕실 여성의 위계와 왕비의 궁중생활 (3) 다양한 왕비의 모습들 2. 왕비의 간택과 책봉 (1) 만민을 친
논문(1)
- 발해의 육로구간 일본도 연구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저자 : 정석배 | 게재정보 : 고구려발해연구
고서·고문서(6,199)
- 동경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동경 김 여자 평안남도 강서군 길림성(吉林省) 연길시(延吉市) 제2쇠약구 4 1 동경, 고국, 서울, 상징, 모...대표표제어동경 | 성씨김
- 동경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동경 강 남자 길림성(吉林省) 연길시(延吉市) 길림신문사 2 2 동경, 기업운영, 아시는이, 중국, 길림성, 연길시, 길...대표표제어동경 | 성씨강
- 동경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동경 최 남자 경상북도 성주군 길림성(吉林省) 장춘시(长春市) 녕안로 39호 3 2 동경, 14세, 지금, 54세...대표표제어동경 | 성씨최
- 동경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동경 박 남자 경상북도 예천군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단강시(牡丹江市) 동촌향 단결촌 2 1 동경, 국제, 신문,대표표제어동경 | 성씨박
- 동경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동경 김 여자 충청북도 음성군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단강시(牡丹江市) 동녕현(东宁县) 교육국 2 2 동경, 오...대표표제어동경 | 성씨김
구술자료(34)
- 일본동경 가신 님은(노랫가락)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가 노래를 시작하자, 청중들도 박수를 치며 함께 노래를 불렀다.조사일시2009.02.28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옥매리 옥동마을 | 제보자노동수(여,72세)
- 이생강 호남 검무 반주음악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37-03-16 남자 일본 동경도 아사구사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서울대학교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기악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생강
- 이생강 대담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이보형 이생강 1937-03-16 남자 일본 동경도 아사구사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서울대학교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산조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생강
- 독주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S-081A.mp3 mp3 이생강 1937-03-16 남자 일본 동경도 아사구사 한국학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대담자‧연주자이생강
- 이생강 음악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이보형 이생강 1937-03-16 남자 일본 동경도 아사구사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서울대학교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산조;시나위;기악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생강
기초학문(122)
- 고대 그리스의 운동경기와 희생제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복희, 게재일 : 201026623 김복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체육사학회 2010 고대 그리스의 운동경기와 희생제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식민조선의 동양-동경과 동정의 나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옥순, 게재일 : 200537640 이옥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5 식민조선의 동양-동경과 동정의 나라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05
- 동경제국대학의 조선유학생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665206 한국연구재단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동경제국대학의 조선유학생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유형논문 | 게재일2016
- 모멸 취미 그리고 동경에서 위협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269696 한국연구재단 서울대 일본연구소 2012 모멸 취미 그리고 동경에서 위협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유형논문 | 게재일2012
- 唐代의 청동거울[銅鏡]에 대하여- 文物과 《太平廣記》〈器玩〉을 통해 본 隋․唐代의 銅鏡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870116 한국연구재단 중국소설학회 2008 唐代의 청동거울[銅鏡]에 대하여- 文物과 《太平廣記》〈器玩〉을 통해 본 隋․唐代의 銅鏡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4,784)
- 東京水害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큰물난후 슈일 로 비엿스나 졈졈물이더야 동경안에 물에긴집이 만일 십호라더라게재일1907년 9월 1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永同警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츙쳥북도 영동군에 의병 슈십명이 돌입야 슌검 일명과 환 이명을 포살얏다고 군 보고가 작일 부에 도착얏다더라게재일1907년 10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運動景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훈련안 각학도운동회에참여 대관은 학부대신 리완용 부대신 리지용 탁지대신 민영긔 농상대신 권즁현 평리원판장 리윤용 젼대신 민병셕졔씨와 기타각부협판 한셩부윤 경무와 각 신문긔자들이며 학부소관 일인교들이 만이모엿고 셔양사과 일본대관은 별노업△△△ 각학도들이 항...게재일1906년 5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東京軍大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 륙군대신 아옥원랑씨 갈니고 참모장즁뎡의씨가 륙군대신을 피임엿다더라게재일1902년 3월 31일 | 기사분류잡보
- 大運動景况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훈련원에셔 공립소학교 대운동다말은 임의다바어니와 공립소학교 십여쳐와 립소학교 이십여쳐학도가 일졔히회동얏 그즁디방에셔 인쳔영화학교와 통진문진학교에셔 참얏더라게재일1907년 5월 3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309)
- 미국의 원조와 합동경제위원회 4주차. UNKRA 원조와 네이산 보고서 5주차. 1950년대 한국의 환율 정책 6주차. 1950년대 비프로젝트 원조의 배분 7주차. 1950년대 프로젝트 원조의 배분 8주차. 미국의 잉여농산물 원조 9주차. ODA 차관의 도입 10주차.강좌제목한국경제와 해외 원조 | 강의자류상윤 교수
- 미국의 원조와 합동경제위원회 4주차. UNKRA 원조와 네이산 보고서 5주차. 1950년대 한국의 환율 정책 6주차. 1950년대 비프로젝트 원조의 배분 7주차. 1950년대 프로젝트 원조의 배분 8주차. 미국의 잉여농산물 원조 9주차. ODA 차관의 도입 10주차.강좌제목한국경제와 해외 원조 | 강의자류상윤 교수
- 미국의 원조와 합동경제위원회 4주차. UNKRA 원조와 네이산 보고서 5주차. 1950년대 한국의 환율 정책 6주차. 1950년대 비프로젝트 원조의 배분 7주차. 1950년대 프로젝트 원조의 배분 8주차. 미국의 잉여농산물 원조 9주차. ODA 차관의 도입 10주차.강좌제목한국경제와 해외 원조 | 강의자류상윤 교수
- 미국의 원조와 합동경제위원회 4주차. UNKRA 원조와 네이산 보고서 5주차. 1950년대 한국의 환율 정책 6주차. 1950년대 비프로젝트 원조의 배분 7주차. 1950년대 프로젝트 원조의 배분 8주차. 미국의 잉여농산물 원조 9주차. ODA 차관의 도입 10주차.강좌제목한국경제와 해외 원조 | 강의자류상윤 교수
- 미국의 원조와 합동경제위원회 4주차. UNKRA 원조와 네이산 보고서 5주차. 1950년대 한국의 환율 정책 6주차. 1950년대 비프로젝트 원조의 배분 7주차. 1950년대 프로젝트 원조의 배분 8주차. 미국의 잉여농산물 원조 9주차. ODA 차관의 도입 10주차.강좌제목한국경제와 해외 원조 | 강의자류상윤 교수
기타자료(8,180)
- 김동경;金東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1716 일본 東京 東京高等蠶絲學校 東京高等蠶絲學校一覽 大正11年-大正12年 1922―09―02 106면 김동경;金東經 조선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高等蠶絲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동경;金東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1717 일본 東京 東京高等蠶絲學校 東京高等蠶絲學校一覽 大正12年-大正13年 1923―07―25 104면 김동경;金東經 조선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高等蠶絲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동경;金東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1721 일본 東京 東京高等蠶絲學校 東京高等蠶絲學校一覽 大正13年-大正14年 1924―07―25 103면 김동경;金東經 조선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高等蠶絲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도산동경;陶山東炅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6348 남한 경북 대구중학교 2-19 倭政時卒業生臺帳, 1925년起 n.r. 72면 도산동경;陶山東炅 경상북도 제22회 1945-03-22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안동경자;安東敬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8812 남한 전북 전주여자고등보통학교 2-45 전주여자고등보통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년~1945년 n.r. 162면 16. 1945년 3월 24일 제16회 졸업생 안동경자;安東敬子 소...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1)
-
글로벌 지역연구 속의 한국학의 '전개력 강화'와 '전학적인 신진연구자 육성사업 전개'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Tadashi KIMIYA | 東京大學 (University of Tokyo) | 2014 | 국외 | 해외
-
재일코리안 100년사 -한민족으로서의 생활과 문화-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인덕 | 청암대학교 | 2016 | 국내 | 전남
-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최진덕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3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정우봉 | 고려대학교 | 2014 | 국내 | 서울
-
일제 식민주의 역사학의 연원과 기반에 관한 연구-朝鮮·支那·滿蒙·동남아 통합지배를 향한 ‘東洋史’와 식민사학 비판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태진 | 서울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607)
-
동경 / 銅鏡 [역사/선사시대사]
는 유물이 거의 없다.거울의 기원은 청동제의 감(鑑 : 큰 대야)에서 찾고 있는데, 안에 물을 담아 얼굴을 비추어보았기 때문에 나온 말이다. 그러다가 점차 물이 없어도 얼굴이 비치는 것을 깨닫게 되면서 만들어진 것이 동경이다.형태는 원형·방형·장방형·오화형(五花形)·육
-
금동경갑 / 金銅脛甲 [예술·체육/공예]
삼국시대의 정강이 가리개. 길이 37.2㎝. 일본인 오쿠라(小倉武之助)의 수집품으로 일본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동경국립박물관 소장. 원래 한쌍이나 현재는 하나만 남아 있다. 경상남도 창녕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한다.무릎 아래쪽 정강이에 대는 금동제로 된 방어용
-
동경대전 / 東經大全 [종교·철학]
동학경전 중의 하나. 용담유사와 함께 동학의 2대 경전에 속한다. 포덕문, 논학문, 수덕문, 불연기연의 네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학의 제2대 교주인 최시형이 1880년 강원도 인제군 남면 갑둔리에서 완간하였다. 포덕문은 525자, 논학문은 1,338자, 수덕문 1,0
-
동경유록 / 東京遊錄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박종(朴琮)이 지은 기행문. 동해안 경승지와 경주를 여행한 견문록이다. 박종의 문집인 『당주집(鐺州集)』 권14 「유록(遊錄)」에 실려 있다. 1767년(영조 43) 9월 25일이눌(李訥)과 함께 경주 나들이를 시작하여 3도(道) 27군(郡) 1,110리(
-
동경일기 / 東京日記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지리류(地理類) 송동산(宋東山) 저, 필사본, 1881년(고종 18), 불분권 1책(53장). 송동산이 일본에 머물면서 쓴 일기이다. 1881년 3월 11일부터 윤7월 23일까지의 일기와 병고현(兵庫縣)에 대한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