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돌살촉”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5)
사전(63)
- 돌살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겹쳐 지역적 변화도 많고 기능도 변화되어 실용품 외에 의기화(儀器化)한 부장품용도 있다. 돌살촉이 출토되는 유적은 집자리‧무덤이 대부분이다. 특히, 고인돌과 돌널무덤〔石棺墓〕에서는 마제석검과 함께 나오는 예가 많다. 돌살촉 형식은 대개 화살대와 결합하는 부분의...이칭별칭석촉(石鏃)
- 석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구석기시대 후기부터 초기철기시대까지 사용된 돌로 만들어진 사냥과 전쟁용 도구. [개설] 보통 화살촉‧칼 등과 함께 나타나는 수가 많다. 유럽에서는 구석기시대에 출현하여 화살에 앞서는 무기로서 위력을 발휘하였다. 찌르개 및 돌살촉과의 차이...
- 강릉포남동주거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탄화(炭化)된 기둥구멍이 있다. 다른 선사시대 집터에 비해 큰 편이며, 더욱이 출토된 유물이 풍부하고 다양하여 주목할 만하다. 유물은 주로 중심에서 동쪽과 서쪽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었다. 종류는 갈판‧반달돌칼‧돌도끼‧돌칼‧갈돌‧돌낫 등의 농경구와 가락바퀴‧돌살촉...
- 금산구억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단하게 소개하였을 뿐이다. 유물로는 돌검[石劍]과 돌살촉[石鏃]만이 출토되었는데, 돌검은 손잡이[柄部] 머리부분이 밖으로 벌어지지 않아 손잡이 전체가 납작한 막대기 모양을 한 통자루식[無段柄式]이다. 돌살촉은 단면이 마름모꼴의 긴 몸통에 1단의 짧은 슴베...
- 부산괴정동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간돌살촉[磨製石鏃] 등이 출토되었다. 토기는 붉은간토기[紅陶]로서 형태는 괴정 1동 출토품과 비슷하나 단지 아가리가 약간 바라진 점이 다르다. 그리고 가늘고 긴 모양의 돌살촉과 손잡이 아래위가 크게 밖으로 튀어나온 돌검은 실용성이 없어 보이므로, 무덤의 부장품용...
고서·고문서(1)
- 가오고략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산을 깍는데 사용했던 도끼 등 故事를 인용하며 도끼의 덕에 대해 논했다. 石槍銘 (60) 돌로 만든 槍에 대한 銘이다. 쇠로 만든 창이나 돌로 만든 창은 모두 중국의 북동방면에 거주했던 肅愼의 槍이라고 했다. 石砮銘 (60) 돌살촉에 대한 명이다. 돌살촉 역...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1)
- 南滿洲鐵□より發掘されたる蒙古式石鏃 (남만주 철□에서 발굴된 몽고식 돌살촉)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기사+참고도판기사명_원문南滿洲鐵□より發掘されたる蒙古式石鏃 | 기사명_한글남만주 철□에서 발굴된 몽고식 돌살촉 | 게재일19160101 | 게재판제3호 | 게재면01 | 게재단1-1
주제어사전(13)
-
돌살촉 / [역사/선사시대사]
있다. 돌살촉이 출토되는 유적은 집자리·무덤이 대부분이다. 특히, 고인돌과 돌널무덤〔石棺墓〕에서는 마제석검과 함께 나오는 예가 많다. 돌살촉 형식은 대개 화살대와 결합하는 부분의 뿌리의 유무에 따라 유경식(有莖式)과 무경식으로 나누기도 하고, 형태에 따라 버들잎형〔柳葉
-
강계공귀리유적 / 江界公貴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자강도 강계시 공귀동(옛 평안북도 강계군 공북면 공귀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집터유적. 강계군에서 남쪽으로 약 15㎞ 떨어진 독로강변에 있다. 1954년 채토작업 중 돌살촉·돌도끼·반달돌칼 등이 발견됨으로써 알려진 뒤 1955년 5월에 발굴되었다. 유물은 돌살촉·돌도
-
강릉포남동주거지 / 江陵浦南洞住居址 [역사/선사시대사]
강원도 강릉시 포남동에 있는 선사시대의 집터 유적. 유물은 주로 중심에서 동쪽과 서쪽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었다. 종류는 갈판·반달돌칼·돌도끼·돌칼·갈돌·돌낫 등의 농경구와 가락바퀴·돌살촉·간돌칼·청동살촉·철편·숫돌·토기파편 등의 생활용구가 있다. 이 중에서 특기할 것
-
금산구억리유적 / 錦山九億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구억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유적. 유물로는 돌검[石劍]과 돌살촉[石鏃]만이 출토되었는데, 돌검은 손잡이[柄部] 머리부분이 밖으로 벌어지지 않아 손잡이 전체가 납작한 막대기 모양을 한 통자루식[無段柄式]이다. 돌살촉은 단면이 마름모꼴의 긴 몸통
-
논산신기리지석묘 / 論山新基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신기리 고암마을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군. 출토유물로는 간돌검〔磨製石劍〕 1점, 돌살촉〔石鏃〕 15점이 수습되었으나 출토상황은 알 수 없다. 모두 점판암(粘板巖)으로 만들어졌다. 돌검은 1단병식(一段柄式)으로 부여지방에서 많이 발견되는 형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