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돌망치” 에 대한 검색결과 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

사전(2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타격시에 강자갈의 껍질이 떨어져 나가 군데군데 상처가 나 있다. 중기구석기시대부터 보편적으로 사용된 석기이다. 는 석기를 만드는 연장으로 쓰이는 것과 음식물을 깨거나 부술 때 사용한 것이 있다. 청동기시대 유적에서는 간석기를 만들기 위해 미리 마름질할 때...
    이칭별칭석퇴(石槌)|망칫돌
  • 떼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격지를 떼어내는 끝이 크고 무겁고 잡이가 긴 석기. [내용] 구석기시대 유물 가운데 하나이다. ‘flaker’를 번역하여 사용한 용어로 ‧나무공이‧뿔‧뼈 등 석편을 떼어내는 데 사용된 모든 도구를 지칭한다. 중기구석기시대에는...
    이칭별칭flaker
  • 서울응봉동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으나 붉은 칠을 한 토기는 보이지 않는다. 작은 토기는 손으로 빚었으나 큰 토기는 점토띠를 감아 올려 만들었다. 그 밖에 통(筒)모양의 흙추와 [敲石] 2점, 단면이 편육각형(扁六角形)인 무경만입촉(無莖彎入鏃) 4점, 점판암제의 반달돌칼 4점, 홈자귀 3점...
  • 단야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용하여 높은 열을 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단야로는 부산 복천동 내성유적에서 발견된 와 철기편으로 볼 때, 서기전 1세기부터 존재했다고 추정되며, 이후 삼국시대에는 각지에서 원형 혹은 타원형의 형태로 노시설이 확인된다. [내용] 단야로의...
  • 양구상무룡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47, 찌르개 50, 사냥돌 1, 긁개 349, 밀개 57, 자르개 6, 째개 2, 주먹까뀌 1, 주먹대패 13, 뚜르개 19, 톱날 7, 홈날 10, 84, 떼개 13, 모루돌 7, 몸돌 37, 격지 230, 덜된 연모 617, 부스러기 285점이다.

멀티미디어(1)

  • 창원 성주개발사업지구 내 창원 삼정자동 48번지유적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03-09_0.5201685_사진 13. 석욱채움토내 출토유물(전돌-5).JPG ss1-0272_8 유물 사진 18. 석축 채움토내 출토유물(-2) 2015-03-14_0.2453272_사진 18. 석축 채움토내 출토유물(-2).JPG
    제목창원 성주개발사업지구 내 창원 삼정자동 48번지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1)

  • 칠곡 송림사 삼성각개축공사부지내 유적(대구 중구 남성로 45번지 유적- 부록)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보인다. 이는 석적면 중리에서 르발루아첨기ㆍㆍ찍개 등의 중기 구석기시대에 해당하는 유물이 발결되었다. 조사대상지역이 위치한 송림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 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이다. 송림사는 墨胡子가 처음 불법을 전하면서 송림사라 했으며, 소지왕 때 본격적인...
    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재)영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북도

주제어사전(2)

  • / stone hammer [역사/선사시대사]

    망치의 기능을 갖고 있는 모든 석기. 는 석기를 만드는 연장으로 쓰이는 것과 음식물을 깨거나 부술 때 사용한 것이 있다. 청동기시대 유적에서는 간석기를 만들기 위해 미리 마름질할 때 를 사용한 것들이 있다. 의 유형으로는 손에 쥐기에 알맞은 크기로 된

  • 떼개 / [역사/선사시대사]

    격지를 떼어내는 끝이 크고 무겁고 잡이가 긴 석기. 구석기시대 유물 가운데 하나이다. ‘flaker’를 번역하여 사용한 용어로 ·나무공이·뿔·뼈 등 석편을 떼어내는 데 사용된 모든 도구를 지칭한다. 중기구석기시대에는 주로 직접타격법에 의하였으므로 가 사용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