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돌도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2)
사전(197)
- 돌도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둥근 자갈이나 몸돌[石核] 혹은 큰 돌조각을 때려 내어 다듬거나 갈아서 만든 도끼. ‘석부(石斧)’라고도 한다. [개설] 크게 파편을 떼어내고 다듬은 뗀돌도끼[打製石斧]와 떼어낸 다음 갈아서 완성시키거나 타원형의 자갈을 갈아서 만든 간돌...이칭별칭석부
- 간돌도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돌을 갈아서 만든 신석기시대의 도끼. [개설] ‘마제석부(磨製石斧)’라고도 한다. 인류역사상 도끼는 뗀돌도끼(타제석부)에서 간돌도끼(마제석부), 청동도끼(靑銅斧)를 거쳐 철도끼(鐵斧)로 발전하고 있다. 선사문화에 있어서 신석기시대...이칭별칭마제석부
- 간돌도끼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돌을 갈아서 만든 신석기시대의 도끼.정의돌을 갈아서 만든 신석기시대의 도끼.[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andol dokki | MR표기kandol tokk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금릉송죽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으며 흙으로 빚어 만든 가락바퀴(紡錘車), 그물추도 있다. 석기로는 간돌검(磨製石劍), 돌창(石槍), 화살촉, 달도끼(環狀石斧), 돌도끼(石斧), 반달돌칼(半月形石刀) 등이 나왔다. 유적의 연대는 청동기시대 중기의 것으로 보고 있다. 송죽리 고인돌은 대부분 냇돌...
- 용강궁산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동북쪽 너비 2.9m, 서남쪽 너비 4m이다. 동남쪽으로 약간 치우쳐 있는 화덕은 남북 약 50㎝, 동서 약 70㎝, 중앙부 길이 약 35㎝이다. 출토유물로는 빗살무늬토기편‧민무늬토기편‧돌촉〔石鏃〕‧돌창편〔石槍片〕‧그물추〔漁網錘〕‧갈돌‧돌괭이〔石鋤〕‧돌도끼〔石斧...이칭별칭궁산유적
고서·고문서(4)
- 타제 돌도끼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2300 P-SDK-02300-P-B-08-03 P-SDK-02300-P-B-08-03-1 P-SDK-02300-P-B-08-03-2 타제 돌도끼 打製石斧 타제 돌도끼의 모습을 인쇄한 엽서 석기시대 유물 엽서 봉투 있음. 8매 세트. ...자료명타제 돌도끼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환상 돌도끼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2301 P-SDK-02301-P-B-08-04 P-SDK-02301-P-B-08-04-1 P-SDK-02301-P-B-08-04-2 환상 돌도끼 環狀石斧 둥근 모양의 돌도끼의 모습을 인쇄한 엽서 석기시대 유물 엽서 봉투 있음. 8매 세...자료명환상 돌도끼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남선출토 타제 마제 돌도끼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2298 P-SDK-02298-P-B-08-01 P-SDK-02298-P-B-08-01-1 P-SDK-02298-P-B-08-01-2 남선출토 타제 마제 돌도끼 南鮮出土打製磨製石斧 남선출토 타제 마제 돌도끼의 모습을 인쇄한 엽서 석기시대 유...자료명남선출토 타제 마제 돌도끼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무기 : 돌도끼에서 기관총까지 무기 대백과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무기 : 돌도끼에서 기관총까지 무기 대백과사전 사회과학 군사학 무기체계론 무기 : 돌도끼에서 기관총까지 무기 대백과사전 DK『무기』편집대표표제어무기 : 돌도끼에서 기관총까지 무기 대백과사전 | 대분류사회과학 | 중분류군사학 | 소분류무기체계론
구술자료(1)
- 천년 전의 돌도끼가 발견된 금당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는 앞의 이야기에 이어서 쉬지 않고 이 이야기를 해나갔다. 앞의 다른 이야기에서 마을의 역사 또는 형성 시기에 관해 언급되자, 그 내용을 보완하고자 이 이야기를 한 셈이다. 마을이 돌도끼의 연대추정에 따라 천 년을 훨씬 넘었을 것이라는 추정이었다.*조사일시1984-02-21 |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 제보자김부식
주제어사전(24)
-
간돌도끼 / [역사/선사시대사]
돌을 갈아서 만든 신석기시대의 도끼. 인류역사상 도끼는 뗀돌도끼(타제석부)에서 간돌도끼(마제석부), 청동도끼(靑銅斧)를 거쳐 철도끼(鐵斧)로 발전하고 있다. 선사문화에 있어서 신석기시대라는 개념은 간석기의 출현을 기준으로 설정되었고, 간돌도끼는 이 시대의 가장 대표
-
돌도끼 / 石斧 [역사/선사시대사]
둥근 자갈이나 몸돌[石核] 혹은 큰 돌조각을 때려 내어 다듬거나 갈아서 만든 도끼. ‘석부(石斧)’라고도 한다. 크게 파편을 떼어내고 다듬은 뗀돌도끼[打製石斧]와 떼어낸 다음 갈아서 완성시키거나 타원형의 자갈을 갈아서 만든 간돌도끼[磨製石斧]로 구분된다.
-
강계공귀리유적 / 江界公貴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자강도 강계시 공귀동(옛 평안북도 강계군 공북면 공귀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집터유적. 강계군에서 남쪽으로 약 15㎞ 떨어진 독로강변에 있다. 1954년 채토작업 중 돌살촉·돌도끼·반달돌칼 등이 발견됨으로써 알려진 뒤 1955년 5월에 발굴되었다. 유물은 돌살촉·돌도
-
승주오봉리지석묘 / 昇州梧峯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삼각형돌칼·대팻날·숫돌·간돌도끼 등이 있다.
-
단양수양개선사유적 / 丹陽─先史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결과, 강안단구(江岸段丘)의 비탈에 이루어진 무늬토기층(Ⅲㅁ층)과 구석기문화층(Ⅳㄱ층·Ⅳㄴ층)이 드러났다. 빗살무늬토기층(Ⅲㅁ층)은 고운모래흙층으로 돌도끼와 빗살무늬토기조각이 발견되었다. 돌도끼의 갈기수법과 빗살무늬토기의 무늬형식으로 보아 신석기시대 중기나 후기에 발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