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돈용교위” 에 대한 검색결과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3)

사전(1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1447년(세종 29)에 비로소 정품직이 설치되었으므로 의 위계도 실제적인 의의를 가지게 되었다. 5위(五衛)의 사과(司果)가 이 직급에 속하였다. →무산계 太祖實錄 世宗實錄 經國大典 朝鮮初期兩班硏究(李成...
  • 진용교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무신의 정6품 하계(下階)의 품계명. [내용] 1392년(태조 1) 7월 조선건국 후 처음 관제를 정할 때 무산계 상계는 (), 하계는 진용교위(進勇校尉)로 정하여져 1466년(세조 12)『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 의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종6품 작호(爵號). [내용] 문무관 정6품의 승의랑(承議郎)‧승훈랑(承訓郎)‧ ()‧진용교위(進勇校尉)의 적처(嫡妻)와 종6품의 선교랑(宣敎郎)‧선무랑 (宣務郎)‧여절교위(勵節校尉)...
  • 이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승자되었다. 『세종실록(世宗實錄)』 『단종실록(端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성종실록(...
  • 서일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募兵)하여 조령(鳥嶺)에 이르러 강화가 성립되었다는 것을 알고 북망 통곡하면서 병기(兵器)와 의장(儀仗)을 길에 묻고 귀가하였다. 1639년 충의(忠義)로써 특별히 승의랑(承議郞)에 임명되고, 이어 선공감가감역(繕工監假監役)ㆍ 용양위사정(龍驤衛司...
    이칭별칭 춘경(春卿)| 구봉(龜峯)

고서·고문서(18)

  • 1528년 김연(金緣)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28년(중종23) 병조 에서 왕명을 받아 김연 을 행호분위 부사과 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는 정6품에 해당한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1612년 황정열(黃廷說) 고신(告身) 7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612년(광해군 4) 5월에 이조에서 무신겸선전관황정열을 승의랑 수거제현령으로 임명하는 고신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남원 대곡 장수황씨문중
  • 1541년 손광서(孫光曙)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41년(중종36) 손광서(孫光曙: ?~1556)를 () 행(行) 충좌위(忠佐衛) 우부(右部)부사용(副司勇)에 임명한다는 내용으로 병조(兵曹)에서 내린 문서이다. 정6품 상계인 로 승진한 것이 지난 해 5월의 일이니, 이번...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경주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 1541년 손광서(孫光曙)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41년(중종36) 손광서(孫光曙: ?~1556)를 () 행(行) 충좌위(忠佐衛) 전부(前部)부사용(副司勇)에 임명한다는 내용으로 병조(兵曹)에서 내린 문서이다. 정6품 상계인 로 승진한 것이 지난 해 5월의 일이니, 이번...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경주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 1542년 손광서(孫光曙)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42년(중종37) 손광서(孫光曙: ?~1556)를 () 행(行) 충좌위(忠佐衛) 전부(前部)부사용(副司勇)에 임명한다는 내용으로 병조(兵曹)에서 내린 문서이다. 1538년 경에 최말단인 종9품에서 출발하여 정6품 상계인 ...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경주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주제어사전(5)

  • / [정치·법제/법제·행정]

    의 위계도 실제적인 의의를 가지게 되었다.

  • 사과 / 司果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의 정6품 관직. 고려 말과 조선 초기에는 낭장(정6품)이라 불리었으나 1394년(태조 3) 2월에 부사직(副司直)이라 개칭되고, 1466년(세조 12) 1월에 사과로 개칭되어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경국대전≫ 당시에는 정원이 15인이었으나 후기에

  • 진용교위 / 進勇校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신의 정6품 하계의 품계명. 1392년(태조 1) 7월 조선건국 후 처음 관제를 정할 때 무산계 상계는 (), 하계는 진용교위(進勇校尉)로 정하여져 1466년(세조 12)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 의인 / 宜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종6품 작호. 문무관 정6품의 승의랑·승훈랑··진용교위의 적처와 종6품의 선교랑·선무랑·여절교위·병절교위의 적처에게 내린 작호이다. 의인은 조선 초기 태조 때에는 문무관 5품의 적처에게 봉하여졌는데 세종 때에는 정5품과

  • 정육품 / 正六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1등급의 품계.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정6품 문산계 상계는 승의랑, 하계는 승훈랑으로, 무산계 상계는 ·진용교위로 정하였다. 1443년(세종 25)에는 종친계의 상계와 하계를 집순랑·종순랑으로 신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