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돈신대부”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의빈계(儀賓階) 종3품 하계(下階)의 위호(位號). [내용] 1444년(세종 26) 7월 이성제군소(異姓諸君所)를 부마소(駙馬所)로 개편하면서 의빈계를 정비하여 제정하였다. 의빈계의 최하위계로서, 왕세자의 서녀(庶女)인 ...
  • 의빈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明信大夫  부마는 종친과 함께 고려시대부터 봉군(封君)되었으나, 세종 때 봉군이 남용된다는 이유로 폐지하고, 당‧송제(唐宋制)를 본받아 도위지호(都尉之號)를 사용하였다....
  • 종삼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리고 1444년 의빈계 상‧하계로 명신대부(明信大夫)와 ()가 제정되었다. 그러나 종친계와 의빈계는 1865년(고종 2)부터 문산계의 품계명을 사용하였다. 또한 종3품 문무관 처의 직명은 숙인(淑人), 종친 종3품 처의 직명은 신인(愼人...
  • 의빈(儀賓)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빈 의빈 儀賓 궁내부(宮內府), 여서(女婿), 인친(姻親), 일품아문(一品衙門), 친·인척(親·姻戚) 공주부마(公主駙馬), 광덕대부(光德大夫), (), 명신대부(明信大夫), 봉순대부(奉順大夫), 봉헌대부(奉憲大夫), 부빈(副賓)...
    상위어궁내부(宮內府), 여서(女婿), 인친(姻親), 일품아문(一品衙門), 친·인척(親·姻戚) | 하위어공주부마(公主駙馬), 광덕대부(光德大夫), 돈신대부(敦信大夫), 명신대부(明信大夫), 봉순대부(奉順大夫), 봉헌대부(奉憲大夫), 부빈(副賓), 부위(副尉), 성록대부(成祿大夫), 수록대부(綏祿大夫), 순의대부(順義大夫), 숭덕대부(崇德大夫), 승빈(承賓), 옹주부마(翁主駙馬), 위(尉), 자의대부(資義大夫), 정순대부(正順大夫), 첨빈(僉賓), 첨위(僉尉), 통헌대부(通憲大夫) | 동의어부마(駙馬) | 관련어공주(公主), 군주(郡主), 부마도위(駙馬都尉), 부마부(駙馬府), 옹주(翁主), 의빈계(儀賓階), 의빈부(儀賓府), 현주(縣主), 이성제군부(異姓諸君府), 이성제군소(異姓諸君所)
  • 문산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資信大夫 正四品 奉 正 大 夫 宣徽大夫 奉 列 大 夫 ...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빈계 종3품 하계의 위호. 1444년(세종 26) 7월 이성제군소(異姓諸君所)를 부마소(駙馬所)로 개편하면서 의빈계를 정비하여 제정하였다. 의빈계의 최하위계로서, 왕세자의 서녀인 현주(縣主)에게 장가든 사람에게 처음 수여하는 위계였다. 조선 후기에는 의빈들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