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돈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20)

  • 호도의상록활엽수림및흑비둘기번식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후박나무‧참식나무‧까마귀쪽나무‧‧다정큼나무‧사철나무‧우묵사스레피‧보리밥나무‧송악‧박달목서‧아왜나무 등 15종이다. 이 섬의 상록활엽수의 2차림 형태로 남아 있으나, 풍층지의 식생은 토양의 발달이 좋고,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하다. 그리고 해안풍층지 관목림...
  • 완도맹선리의상록수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모밀잣밤나무‧붉가시나무‧후박나무‧생달나무‧까마귀쪽나무‧동백나무‧종가시나무 등 커다란 상록수를 비롯하여 광나무‧‧우묵사스레피나무‧섬회양목 등 상록관목, 송악‧보리밥나무와 같은 상록만생식물 등 총 20종 250여 그루가 모여 방풍림의 구실을 한다. 도서지대의...
    연계항목완도맹선리의상록수림(莞島孟仙里의常綠樹林)
  • 식산봉의황근자생지및상록활엽수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며 이 중 주요한 종으로는 칠면초‧황근‧왕작살나무‧후추등‧남오미자‧생달나무‧후박나무‧참식나무‧까마귀쪽나무‧‧송악‧자금우‧광나무‧마삭줄 등이다. 아직 제주도에 섶섬이나 문섬의 식생에 비하면 종이 부족하나, 우리나라 황근의 자생지로서 그 규모가 가장 크다는 데...
    연계항목식산봉의황근자생지및상록활엽수림(식산봉의황근자생지및상록활엽수림)
  • 외연도의상록수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숲은 원상에 가깝게 보존되고 있는 것은 서낭당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숲을 구성하고 있는 상록활엽수종에는 후박나무‧동백나무‧식나무‧보리밥나무‧먼나무‧무룬나무‧‧자금우‧붉가시나무‧개산초나무‧마삭나무‧황칠나무 등이 있으며, 담쟁이덩굴‧국화으아리‧방...
    연계항목외연도의상록수림(外煙島의常綠樹林)
  • 고흥봉래면의상록수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무‧녹보리똥나무‧‧동백나무‧마삭줄‧모람‧보리장나무‧사스레피나무‧생달나무‧왕후박나무‧후박나무‧자금우 및 황칠나무 등이 있다. 나자식물(裸子植物: 겉씨식물)의 비자나무‧소나무‧곰솔과 더불어 상층에 끼어든 낙엽활엽수종은 개서어나무‧나도밤나무‧말오줌때‧상수리나무‧...
    연계항목고흥봉래면의상록수림(高興蓬萊面의常綠樹林)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6)

  • / Japanese Pittosporum [과학/식물]

    속에 속하는 상록 활엽 관목. 잎은 작은 주걱 모양으로 가지 끝에 모여 달린다. 잎에서 광택이 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뒤로 말린다. 암수딴그루로 4∼6월에 향기 나는 흰색 꽃이 새 가지 끝에 모여서 핀다. 9∼10월 황갈색의 동그란 열매가 맺힌다. 햇

  • 남해 미조리 상록수림 / 南海 彌助里 常綠樹林 [과학/식물]

    魚付林: 고기떼를 유도할 목적으로 물가에 나무를 심어 이룬 숲)의 구실도 하고 있다. 숲에서 자라는 상록수종에는 후박나무·육박나무·생달나무·무룬나무·감탕나무·식나무·비쭈기나무··사스레피나무·광나무·모밀잣밤나무·보리밥나무·모람·자금우·송악 등이 있다.

  • 무룬나무 / Euonymus japonica var. macrophylla Regel [과학/식물]

    노박덩굴과 사철나무속에 속하는 상록 관목 또는 소교목. 천연기념물 제29호로 지정된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미조리의 상록수림에는 광나무, , 사스레피나무, 이대, 자금우, 조릿대, 팔손이 등 40여 종의 식물과 함께 무룬나무가 자생하고 있다. 사철나무는 잎의 모

  • 보령 외연도 상록수림 / 保寧 外煙島 常綠樹林 [과학/식물]

    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숲을 구성하고 있는 상록활엽수종에는 후박나무·동백나무·식나무·보리밥나무·먼나무·무룬나무··자금우·붉가시나무·개산초나무·마삭나무·황칠나무 등이 있으며, 담쟁이덩굴·국화으아리·방기·사위질빵·계요등·칡·왕머루·청미래덩굴·노박덩굴·댕댕이덩굴

  • 완도맹선리의상록수림 / 莞島孟仙里―常綠樹林 [지리/인문지리]

    다란 상록수를 비롯하여 광나무··우묵사스레피나무·섬회양목 등 상록관목, 송악·보리밥나무와 같은 상록만생식물 등 총 20종 250여 그루가 모여 방풍림의 구실을 한다. 도서지대의 방풍림은 어부림(魚付林)의 구실까지 하고 있어서 주민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