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독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65)
사전(147)
- 독도(獨島)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2588 지명 독도(獨島) 독도 獨島 경상북도 울릉군에 속한 부속 섬. 여말선초에 왜구의 출현으로 피해가 심해지자 15세기 초 태종(太宗)은 주민들의 피해를 우려해 육지에 나와 살도록 쇄환정책을 실시하였다. 1417년에는 울릉도와...유형분류지명
- 독도잠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시대 문인 이규보(李奎報, 1168-1241)가 지은 오언고시.정의고려시대 문인 이규보(李奎報, 1168-1241)가 지은 오언고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Dok Do Jam si | MR표기Tok To Cham s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독도박물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에 있는 군립 박물관. [개설] 독도를 둘러싼 관련 자료를 발굴‧수집‧연구하여 그 결과를 전시‧관리‧교육‧홍보함으로써 영토 수호 의지를 고취시키며 국토 사랑의 국민적 산 교육장으로 활용하기 위한
- 독도영유권분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대한민국 영토인 독도에 대한 일본의 영유권 주장으로 비롯된 분쟁. [개설] 독도는 동해에 있는 섬으로, 대한민국에서는 영유권상에 문제가 없다고 하고 있으나, 일본에서는 대한민국과 영유권 분쟁 중임을 주장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독도가 경상...
- 독도잠전희성정최태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 중기에 이인로(李仁老, 1152-1220)가 지은 오언율시.정의고려 중기에 이인로(李仁老, 1152-1220)가 지은 오언율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Dok Do Jam jeon huiseong jeong Choe Tae-wi | MR표기Tok To Cham chŏn hŭisŏng chŏng Ch’oe T’ae-w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440)
- 독도(獨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6767 B066767 독도 獨島 도서 경기도 京畿道邑誌 金浦郡邑誌 金浦郡 鄕校 社壇獨島二坪折斤橋杏山薪洞天登峴▣橋高蘭台面楓山詠詞亭三坪掘浦橋臨村面東距陽川界二十里濟津島朴末島출처전거京畿道邑誌 | 지역분류경기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독도(獨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6768 B066768 독도 獨島 도서 경기도 京畿道邑誌 金浦郡邑誌 金浦郡 山川 ... 100]鳳凰山天登山亦桂陽山來脈冷井山北城山來脈雲遊山卽歌絃山來脈重峰山卽北城山來脈白石山桂陽山來脈夜味山桂陽山來脈大江自陽川界至通津界二十里間有朴抹島獨島甘巖潮水往來甘巖分派至羅津橋抵于牛渚下自獨...출처전거京畿道邑誌 | 지역분류경기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독도(獨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6769 B066769 독도 獨島 도서 경기도 京畿道邑誌 金浦郡邑誌 金浦郡 山川 ... 川界至通津界二十里間有朴抹島獨島甘巖潮水往來甘巖分派至羅津橋抵于牛渚下自獨島分派至折斤橋抵于夜味山下朴抹島分派至掘浦橋抵于當平府前坪獨島在郡內面朴抹島在林村面栗島在黔丹面]출처전거京畿道邑誌 | 지역분류경기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독도(獨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6770 B066770 독도 獨島 도서 경기도 京畿道邑誌 金浦郡邑誌 金浦郡 山川... 1506]獨島甘巖潮水往來甘巖分派至羅津橋抵于牛渚下自獨島分派至折斤橋抵于夜味山下朴抹島分派至掘浦橋抵于當平府前坪獨島在郡內面朴抹島在林村面栗島在黔丹面]출처전거京畿道邑誌 | 지역분류경기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독도(纛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6771 B066771 독도 纛島 도서 서울특별시 光海君日記 十三年(1621) 六月 광해군일기_11306019_005 ○(營建都監啓曰: “龍山、纛島等處,鄭富等私材二百十三條、小椽十四介, 執捉云。 雖不合於宮闕, 而或於軍堡等役, 可以充用, 依例給價取用之意, 敢啓。” 傳曰...출처전거光海君日記 | 지역분류서울특별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4)
- 다리부상으로 살려준 목숨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얼마나 좋을 거냐고. 국 회에서 정부에서 이거를 완전히 기준해야 헌 땅이거든. 지금 독도모냥으로 일본놈이라도 이거 제 주도 지네 땅이야 이게 해놓으면 어쩔 거야. 지금 독도도 알로 이거이거 해버려야지. 이걸 맨들어 버려야지. 지금 어느 대통령이 이거 대통령이 몇 개야.조사지역제주 | 조사일2014년 1월 21일
- 징발된 부친의 배를 타고 바다 피난생활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특히 독도나 울릉도 같은 경우는 진짜 특이한 경우지. 동해에는 그런 경우가 없어. [조사자 : 혹시 배타고 울릉도로 피난간 경우는 없었습니까?] 울릉도는 피난 가지도 못하고 보지도 못하고. 울릉도는 시간으로 보통 작업선이나 어선으로 가 면은 여덟 시간 가까이 가야돼조사지역경남 진주 | 조사일2013년 7월 31일
- 해군으로 한국전쟁에 참전하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제독도 사관학교 안나오지 않았습니까? 에, 저 일본의 삼선학교 출신들도 있구, 저 일본해군이었던 사람들도 있구 뭐, 중국해 군이었던 사람들도 있구. 뭐 별에 별 사람들은 다 있는거 같애요. [조사자 : 중국해군, 아 출신도 있었구나.] 몰라여. 중국해군이 내 직접 저기조사지역인천 | 조사일2014년 4월 21일
- 부친을 잃고 힘겨웠던 피난 생활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인자 어뜩해 허냐믄 배남정재 를 넘아가믄 요런 엉떡이, 이케 엉떡 있는 디가 있어. 독도 있고 엉떡도 있고 산에가 이. 요런 재 를 내려 간디. 그러믄 그 엉떡에다가 내래 이렇고 고개를 대고. 금 일 떡에는 또 이k고 앙거서 인자 고놈을 요箚?자치므는 여져. 그믄조사지역전남 담양 | 조사일2012년 7월 24일
기초학문(30)
- 전후 일본의 독도정책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현대송, 게재일 : 201466512 현대송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정치학회 2014 전후 일본의 독도정책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독도에 관한 일본고문서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정, 게재일 : 201138241 권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일본학회/동아시아일본학회 2011 독도에 관한 일본고문서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일본의 우경화와 독도문제_pre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상면06166 이상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일본의 우경화와 독도문제_pre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985e8001199a5765f유형논문
- 한일간 독도영유권 문제의 평화적 해결방안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배근, 게재일 : 200005816 박배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해양대학교 2000 한일간 독도영유권 문제의 평화적 해결방안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유형논문 | 게재일2000
- 국제판례에 비추어 본 독도의 영유권과 해양수역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석용, 게재일 : 201450893 이석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안암법학회 2014 국제판례에 비추어 본 독도의 영유권과 해양수역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186)
- 독도의 내력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24) 독도논쟁 독도의 내력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65년 신석호 『독도』(대한공론사)(pp.15-37) 저술 23 이 글은 일본과 한국의 역사적인 기록을 가지고 독도가 한국 영토라는 것을 증명하고자 함. 이 글은 1. 소속 문...대표표제어독도의 내력 | 자료유형저술 | 집필자신석호 | 출처『독도』(대한공론사)(pp.15-37) | 키워드독도 문제, 독도 강탈, 일본인 독도 관념, 안용복 독도
- 독도영유고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24) 독도논쟁 독도영유고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77년 신동욱 『독도관계자료집』(외무부)(pp.443-453) 기관지 11 이 글은 특히 독도의 명칭을 자세히 설명하고 연합국의 영토처리와 일본의 고대 문헌에 초점을 맞추어서 독...대표표제어독도영유고 | 자료유형기관지 | 집필자신동욱 | 출처『독도관계자료집』(외무부)(pp.443-453) | 키워드독도 명칭, 독도 유래, 일본 독도 명칭, 일본 문헌 독도
- 독도의 귀속문제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24) 독도논쟁 독도의 귀속문제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64년 4월 사상계 편집실 사상계 133호(pp.115-117) 평론 3 이 글은 독도 영유권에 대한 일본의 주장을 반박하는 글임. 일본이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근거는 국...대표표제어독도의 귀속문제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사상계 편집실 | 출처사상계 133호(pp.115-117) | 키워드독도 영유권, 독도 문제, 일본 영토취득, 카이로 선언, 포츠담 선언
- 일본, 독도 영유권 주장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23) 대일강화조약, 독도영유권문제, 한일회담 일본, 독도 영유권 주장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51년 9월 5일 민주신보 자료대한민국사 기사/사설 1 이 글은 일본이 처음으로 독도가 일본영토에 귀속되어야 할 섬이라고 공식적인 태...대표표제어일본, 독도 영유권 주장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민주신보 | 출처자료대한민국사 | 키워드독도, 파랑도, 일본 독도 공식입장, 맥아더라인, 대일강화회의
- 일본, 독도 영유권 주장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23) 대일강화조약, 독도영유권문제, 한일회담 일본, 독도 영유권 주장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53년 6월 9일 민주신보 자료대한민국사 기사/사설 1 민주신보는 당시 독도 시찰을 마치고 돌아가던 일본정부 수산시험위원회 관리들이대표표제어일본, 독도 영유권 주장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민주신보 | 출처자료대한민국사 | 키워드독도, 일본 수산시험 위원회 관리 시찰, 한국 독도 어업권, 독도 영유권
멀티미디어(1)
- 15세기 중반 오독도기[茹]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570_약재_15세기_중반_오독도기[茹] 경제_62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57)
- (기행문) 울릉도, 독도 탐방기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기행문) 울릉도, 독도 탐방기 (기행문) 울릉도, 독도 탐방기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최인영 | 사료철명강원교육
- (교육 뉴스 종합) 초등 교과서 독도 내용 확대 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 뉴스 종합) 초등 교과서 독도 내용 확대 외 (교육 뉴스 종합) 초등 교과서 독도 내용 확대 외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편수국 | 사료철명교육월보
- (신국토 기행35) 큰 배 타고 본 작은 섬 독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신국토 기행35) 큰 배 타고 본 작은 섬 독도 (신국토 기행35) 큰 배 타고 본 작은 섬 독도 (신국토 기행35) 큰 배 타고 본 작은 섬 獨島 교육 문헌 교육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신영훈, 김대벽 | 사료철명교육월보
- (기관순례) 서울특별시립 정독도서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기관순례) 서울특별시립 정독도서관 (기관순례) 서울특별시립 정독도서관 (機關巡禮) 서울特別市立 正讀圖書館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조영주 | 사료철명수도교육
- 문장섭;文壯燮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4875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90면 문장섭;文壯燮 경기도 고양군 독도면 독도리;外東 纛島里 771(三成精米所) 제10회 1932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일본의 한국 해안측량 침탈사, 1872-1910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한철호 | 동국대학교 | 2022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0)
-
독도 / 獨島 [지리/자연지리]
대한민국 정부 소유의 국유지로서 천연기념물 제336호로 지정되어 있는 섬. 경상북도 울릉군에 속한 독도는 대한민국 정부 소유(관리청: 국토교통부)의 국유지로서 천연기념물 336호(1982년 11월 문화재청)로 지정되어 있다. 주소는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1~
-
독도 사철나무 / 獨島四─ [과학/식물]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에 소재한 사철나무. 2012년 10월 5일에 천연기념물 제538호로 지정되었다. 이곳의 사철나무는 독도에서 현존하는 수목 중 가장 오래된 나무로 독도에서 생육할 수 있는 대표적 수종이라는 의미뿐만 아니라, 국토의 동쪽 끝 독도를 100년
-
울릉도 / 鬱陵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울릉군에 속하는 섬. 죽변에서 동쪽으로 140㎞, 포항에서 217㎞, 동해 묵호에서 161㎞ 지점에 있으며, 독도와는 92㎞ 떨어져 있다. 동경 131°52′, 북위 37°30′에 위치하며, 면적 72.9㎢, 인구는 10,220명(2008년 현재)이다. 현재
-
도동약수 / 道洞藥水 [지리/자연지리]
동약수공원으로 조성되어 있다. 공원 내에는 약수터, 향토사료관, 독도박물관, 독도전망대케이블카, 안용복장군충혼비, 청마 유치환의 '울릉도 시비(鬱陵島 詩碑)' 등이 있다. 약수터 입구에 김하우옹송덕비(金夏佑翁頌德碑)·해도사(海道寺) 등이 있으며, 우거진 수목을 찾는 흑
-
육창 / 陸昌 [지리/인문지리]
조도(曹島)ㆍ신위도(神葦島)ㆍ청도(靑島)ㆍ독도(禿島)ㆍ백민도(白民島)ㆍ자은도(慈恩島)ㆍ앵도(櫻島)ㆍ취도(鷲島)ㆍ내파도(乃破島) 등을 귀속시켰다. 1018년(현종 9) 영광군의 속현으로 하였는데, 『여지도서』에 육창향(陸昌鄕)으로 기록되었다. 조선 말기까지 외간면(外間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