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도화서” 에 대한 검색결과 17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9)

사전(16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에 그림 그리는 일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내용] 에 관한 제도적 규정은 ≪경국대전≫에 보인다. 먼저 이전(吏典)의 경관직(京官職)을 보면, 는 종6품의 아문(衙門)으로서 그 직능은 ‘장도화(掌圖畫)’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에 그림 그리는 일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청.
    정의조선시대에 그림 그리는 일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청.[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Dohwaseo | MR표기Tohwas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예조(禮曹), 속아문(屬衙門) 제조(提調), 별제(別提), 선화(善畵), 선회(善繪), 화사(畵史), 회사(繪史) 도화원(圖畵院) 화원(畫員), 기술직(技術職), 잡직(雜織), 군직(軍職), 겸직(兼職), 체아직(遞...
    상위어예조(禮曹), 속아문(屬衙門) | 하위어제조(提調), 별제(別提), 선화(善畵), 선회(善繪), 화사(畵史), 회사(繪史) | 동의어도화원(圖畵院) | 관련어화원(畫員), 기술직(技術職), 잡직(雜織), 군직(軍職), 겸직(兼職), 체아직(遞兒職), 취재(取才), 검거(檢擧), 무록관(無祿官), 화학생도(畵學生徒)
  • 선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의 종6품 관직. [내용] 잡직계로 화원(畵員) 전문직이었다. 정원은 1인이다. 의 화원직으로서는 최고위직이었다. 조선시대 의 화원은 모두 20인이 배정되어 있었으나, 그들을 위한 관직은 선화‧선회(善繪)...
  • 전자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 소속의 잡직 관원. [내용] 정원은 2인이다. 화원(畵員)의 일종으로 궁중이나 각 관청에서 전서를 쓰는 일에 종사하였다. 특히, 옥보(玉寶)‧금보(金寶)‧옥책(玉冊)‧죽책(竹冊)과 왕족의 명정(銘旌), 각...

단행본(1)

  • (조선시대 궁중회화 3) 왕의 화가들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정혜(한국학중앙연구원 미술사학과 교수), 윤진영(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2.10.31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1) 전환기 한국화단과 왕실의 화가 (2) 의 마지막 화가들 (3) 외교의 문화사절이 되어 (4) 화가에서 기술직 전문인으로 (5) 근대 미술교육의 선구자들

고서·고문서(6)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070 經世遺表 卷二 ITKC_MP_0597A_1070_030_021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經世遺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동방이 발가 온다 아침 날빛 새로워라 조코나 도화로다 [一,] 호시절 어느 때인고 작작한 저 도화 삼천 년 개화하고 삼천 년 결실하야 그 반도 먹고 보면 동방삭 삼천갑자 사기에 유전할 말 오늘날에 증거로다 조코나 도화로다 [一,] 호시절 어느 때인고 작작한 저 ...
    구분잡가 | 편저자신태화
  • 직품략 [伊藤東涯의 三韓紀略 연구 | 고려대학교]
    一人]醫學敎授[二人]直長「」奉事 「」醫學訓導[各一人]參奉[四人] 掌圖畵 提調一人 「」別提[二人] 典獄署 掌獄囚 副提調一人 「」主簿「」奉事「」參奉[各一人] 活人署 掌救活都城病人 提調一人 「」別提[四人]參奉[二人] 瓦署 掌造瓦磚 提調一人 「」別提[三人] 歸...
    대표표제어직품략 | 편명_제목직품략_이전관직
  • 外官之品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簿二 典艦司 僉正一 主簿二 甄瓦署 別提二 燔瓷監 奉事二 織染局 主簿二 奉事二 典設司 別提二 掌苑署 別提二 奉事二 司筵署 主簿一 奉事二 造紙署 別提二 ...
    권차명經世遺表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三班官制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今此條例,萬不可變通者也。 其以一藝仕者,每至式年,選取十二人,付之政曹,令爲東班正職。 內醫院薦十二人,觀象監ㆍ司譯院各薦六人,典醫監ㆍ惠民署各薦三人,寫字官ㆍ各薦三人,通共三十六人也。各其本司,以勤仕著績抱才之人,會議可否,薦于政府,政府ㆍ二曹,合坐試才,各取三分之一,爲十二人,下于政曹...
    권차명經世遺表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10)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에 그림 그리는 일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에 관한 제도적 규정은 ≪경국대전≫에 보인다. 는 종6품 아문으로서 그 직능은 ‘장도화(掌圖畫)’라고만 되어 있다. 여기에는 정직으로서 제조 1인과 종6품인 별제 2인, 잡직으로서 화원 20인

  • 선화 / 善畵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 종6품 관직. 잡직계로 화원(畵員) 전문직이었다. 정원은 1인이다. 의 화원직으로서는 최고위직이었다.

  • 선회 / 善繪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 종7품 관직. 잡직계로서 화원(畵員) 전문직이었다. 정원은 1인이다. 의 화원직 중 선화(善畵)에 이은 차석 관직이었다.

  • 화원 / 畫員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예조 산하 관청인 에서 그림 그리는 일에 종사한 잡직. 화원은 에 소속한 그림 그리는 직업 화가이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에 소속한 화원의 정원은 20인으로 규정하고 있다. 관직으로는 종6품직인 선화로부터 종7품직의 선회, 종8품직의 화사

  • 회사 / 繪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에 소속된 종9품 잡직. 정원은 2인이다. 에는 선화(善畵)·선회(善繪)·화사(畵史) 등 다섯 자리의 체아직이 있다. 회사는 이 중 최하급관직이었다. 화원은 초기에는 20인, 후기에는 30인으로, 이들이 위의 다섯 자리의 관직에 3개월에 한 번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