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도화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3)
사전(162)
- 도화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에 그림 그리는 일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내용] 도화서에 관한 제도적 규정은 ≪경국대전≫에 보인다. 먼저 이전(吏典)의 경관직(京官職)을 보면, 도화서는 종6품의 아문(衙門)으로서 그 직능은 ‘장도화(掌圖畫)’라...
- 도화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에 그림 그리는 일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청.정의조선시대에 그림 그리는 일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청.[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Dohwaseo | MR표기Tohwas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도화서(圖畵署)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도화서 도화서 圖畵署 예조(禮曹), 속아문(屬衙門) 제조(提調), 별제(別提), 선화(善畵), 선회(善繪), 화사(畵史), 회사(繪史) 도화원(圖畵院) 화원(畫員), 기술직(技術職), 잡직(雜織), 군직(軍職), 겸직(兼職), 체아직(遞...상위어예조(禮曹), 속아문(屬衙門) | 하위어제조(提調), 별제(別提), 선화(善畵), 선회(善繪), 화사(畵史), 회사(繪史) | 동의어도화원(圖畵院) | 관련어화원(畫員), 기술직(技術職), 잡직(雜織), 군직(軍職), 겸직(兼職), 체아직(遞兒職), 취재(取才), 검거(檢擧), 무록관(無祿官), 화학생도(畵學生徒)
- 선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도화서의 종6품 관직. [내용] 잡직계로 화원(畵員) 전문직이었다. 정원은 1인이다. 도화서의 화원직으로서는 최고위직이었다. 조선시대 도화서의 화원은 모두 20인이 배정되어 있었으나, 그들을 위한 관직은 선화‧선회(善繪)...
- 전자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도화서(圖畵署) 소속의 잡직 관원. [내용] 정원은 2인이다. 화원(畵員)의 일종으로 궁중이나 각 관청에서 전서를 쓰는 일에 종사하였다. 특히, 옥보(玉寶)‧금보(金寶)‧옥책(玉冊)‧죽책(竹冊)과 왕족의 명정(銘旌), 각...
단행본(1)
- (조선시대 궁중회화 3) 왕의 화가들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정혜(한국학중앙연구원 미술사학과 교수), 윤진영(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2.10.31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1) 전환기 한국화단과 왕실의 화가 (2) 도화서의 마지막 화가들 (3) 외교의 문화사절이 되어 (4) 화가에서 기술직 전문인으로 (5) 근대 미술교육의 선구자들
고서·고문서(10)
- 圖畫署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70 經世遺表 卷二 ITKC_MP_0597A_1070_030_0210 圖畫署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經世遺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도화타령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동방이 발가 온다 아침 날빛 새로워라 조코나 도화로다 [一,] 호시절 어느 때인고 작작한 저 도화 삼천 년 개화하고 삼천 년 결실하야 그 반도 먹고 보면 동방삭 삼천갑자 사기에 유전할 말 오늘날에 증거로다 조코나 도화로다 [一,] 호시절 어느 때인고 작작한 저 도화서...구분잡가 | 편저자신태화
- 新編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지 繪畫로 揚名한 人은 거의 四五百名의 多數에 達하얏스나, 圖畫署의 畫員을 除한 外는, 專門畫家로 指稱할만한 者는 甚少하고, 그 製作品은 다만 學者 文武官吏 等의 餘技에 不過하니라. 前記 仁齋 安堅과 如한 畫家는, 內地의 畫聖 雪舟 又는 周文 等에 比하야도 遜色이 毫無...서명新編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 | 자료명第四課 朝鮮의 繪畫[二]
- 女子高等朝鮮語讀本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畫像을 揭置하야, 盛히 信仰함을 見하면, 道家의 繪畵도 ᄯᅩ한 不少하얏든 것을 可히 想像하겟나니라. 李朝에 至하야는, 其初期에 姜仁齊. 安堅等의 巨擘이 出한 以後로, 現代ᄭᅡ지 繪畵로 掦名한 人은 거의 四五百名의 多數에 達하얏스나, 圖畫署의 畫員을 除한 外는, 專門畫家...서명女子高等朝鮮語讀本 | 자료명第五課 朝鮮의 繪畵 [二]
- 직품략 [伊藤東涯의 三韓紀略 연구 | 고려대학교]一人]醫學敎授[二人]直長「」奉事 「」醫學訓導[各一人]參奉[四人] 圖畫署 掌圖畵 提調一人 「」別提[二人] 典獄署 掌獄囚 副提調一人 「」主簿「」奉事「」參奉[各一人] 活人署 掌救活都城病人 提調一人 「」別提[四人]參奉[二人] 瓦署 掌造瓦磚 提調一人 「」別提[三人] 歸...대표표제어직품략 | 편명_제목직품략_이전관직
주제어사전(10)
-
도화서 / 圖畫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에 그림 그리는 일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도화서에 관한 제도적 규정은 ≪경국대전≫에 보인다. 도화서는 종6품 아문으로서 그 직능은 ‘장도화(掌圖畫)’라고만 되어 있다. 여기에는 정직으로서 제조 1인과 종6품인 별제 2인, 잡직으로서 화원 20인
-
선화 / 善畵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도화서의 종6품 관직. 잡직계로 화원(畵員) 전문직이었다. 정원은 1인이다. 도화서의 화원직으로서는 최고위직이었다.
-
선회 / 善繪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도화서의 종7품 관직. 잡직계로서 화원(畵員) 전문직이었다. 정원은 1인이다. 도화서의 화원직 중 선화(善畵)에 이은 차석 관직이었다.
-
화원 / 畫員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예조 산하 관청인 도화서에서 그림 그리는 일에 종사한 잡직. 화원은 도화서에 소속한 그림 그리는 직업 화가이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도화서에 소속한 화원의 정원은 20인으로 규정하고 있다. 관직으로는 종6품직인 선화로부터 종7품직의 선회, 종8품직의 화사
-
회사 / 繪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도화서에 소속된 종9품 잡직. 정원은 2인이다. 도화서에는 선화(善畵)·선회(善繪)·화사(畵史) 등 다섯 자리의 체아직이 있다. 회사는 이 중 최하급관직이었다. 화원은 초기에는 20인, 후기에는 30인으로, 이들이 위의 다섯 자리의 관직에 3개월에 한 번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