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도호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5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89)
사전(1,150)
- 도호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조선시대 지방 행정기구. 대도호부(大都護府)와 도호부의 두 가지가 있다. 본래 중국에서 새로 정복한 이민족을 통치하기 위해 변경에 설치했던 군사적 성격의 행정 기구였다. 고려에서도 처음에는 군사적 요충지에 설치했으나 점차 일반 행정 기구로 변화하였다. 9...
- 도호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조선시대 지방행정구역 도호부의 장관직. [내용] 고려시대에는 4품 이상이었고, 조선시대에는 종3품이었다. →도호부 『고려사(高麗史)』 『경국대전(經國大典)』...
- 대도호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조선시대의 지방행정 관서. [내용] 원래 중국에서 외지를 다스리기 위해 두었던 관서였다. 당나라는 고구려의 옛 땅에 9개의 도독부를 두고, 이를 통할하기 위해 평양에 안동대도호부를 설치한 바 있다. 우리 나라는 1018년(현...
- 대도호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시대의 지방 행정 기구. 고려 전기부터 군사적인 요충지에 설치함.정의고려시대의 지방 행정 기구. 고려 전기부터 군사적인 요충지에 설치함.[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Daedohobu | MR표기Taedohob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오도호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995년 정비된 지방제도의 하나.정의995년 정비된 지방제도의 하나.[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o dohobu | MR표기o tohob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1,217)
- 成川都護府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五十四 平安道 成川都護府 48 使一人兼寧邊道左翼兵馬本沸流王 松讓之故都高麗 太祖十四年辛卯始置剛德鎭顯宗九年戊午稱成州防禦使後改爲知郡事本朝太宗十三年癸巳例改成川郡越十五年乙未例陞爲都護府別號松讓【成宗二年癸未所定】 劎山【在府東府人以爲鎭山】四境東距黃海道 谷山十...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朔州都護府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五十四 平安道 朔州都護府 48 使兼本州中翼兵馬本高麗 寧塞縣顯宗戊午稱朔州防御使後陞爲府本朝太祖三年甲戌以犬牙相入割古龜州及附近十二村合爲知郡事太宗癸巳改爲都護府四境東距雲山三十七里西距義州三十四里南距定州五十三里北距昌城六十五里戶二百二十二口三百九十四軍丁翼軍二百單...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江界都護府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五十四 平安道 江界都護府 48 使兼江界道中翼兵馬高麗恭愍王十年辛丑稱禿魯江萬戶己酉置江界萬戶府鎭邊鎭成鎭安鎭寧四軍上副千戶本朝太宗元年辛巳以立石古哈恠等伊彦合爲一州稱石州三年癸未改爲江界府癸巳例改都護府大川禿魯江【在府南其源流有二一出自熙川境狄餘嶺下一出咸吉道境咊乙軒...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定平都護府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五十五 咸吉道 定平都護府 23 使一人兼咸吉道左翼兵馬團練使【凡各翼二品則稱某翼兵馬節制使三品則某翼兵馬團練使四品則某翼兵馬團練副使五六品則某翼兵馬團練判官】古稱巴只高麗靖宗七年辛巳【宋仁宗慶曆元年】始築城堡爲定州防禦使恭愍王丙申改爲都護府本朝太宗癸巳改定平嫌平安道定州...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北靑都護府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五十五 咸吉道 北靑都護府 23 使一人兼咸吉道右翼兵馬本號參散久爲胡人所據高麗大將尹瓘逐胡人置九城其名未詳恭愍王丙申復雙城舊境置安北千戶防禦所壬子改北靑州萬戶府本朝太祖戊寅改靑州太宗丙申改今名以與淸州牧同音也連德山【在府西府人稱爲鎭山】立石山【在府東山有立石其北麓又有立...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기초학문(1)
- 전통시대 남양도호부의 중심지와 역사적 변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기봉, 게재일 : 200514073 이기봉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2005 전통시대 남양도호부의 중심지와 역사적 변화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유형논문 | 게재일2005
멀티미디어(7)
- 19세기 중반 읍격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읍격 분포도 분포도 전국 군현 1:4,000,000 19세기 중반 부 / 유수부 / 대도호부 / 목 / 도호부 / 군 / 현 없음 대동지지 없음 행정_151_19세기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대동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8세기 중반 읍격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읍격 분포도 분포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부 / 유수부 / 대도호부 / 목 / 도호부 / 군 / 현 없음 여지도서 없음 행정_150_18세기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읍격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읍격 분포도 분포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부 / 유수부 / 대도호부 / 목 / 도호부 / 군 / 현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행정_147_15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7세기 중반 읍격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읍격 분포도 분포도 전국 군현 1:4,000,000 17세기 중반 부 / 대도호부 / 목 / 도호부 / 군 / 현 / 정보 없음 없음 동국여지지 없음 행정_149_17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동국여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6세기 초반 읍격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읍격 분포도 분포도 전국 군현 1:4,000,000 16세기 초반 부 / 유수부 / 대도호부 / 목 / 도호부 / 군 / 현 없음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행정_148_1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14)
- 당이 부여융에게 작호를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고장이 요동도독에 제수되었고 조선군왕에 봉해졌다. 안동부에 보내어 고려의 남은 무리를 보살피도록 하였다. 사농경 부여융은 웅진도독에 제수되었고 대방군왕으로 봉해졌다. 백제의 남은 무리를 보살피도록 명하여 보냈다. 이에 안동도호부를 신성으로 옮겨 다스리게 되었다. (...대표표제어당이 부여융에게 작호를 내리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77년(丁丑/신라 문무왕 17/唐 儀鳳 2/日本 天武 6)
- 당이 부여융에게 작호를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공부상서 고장이 요동도독에 제수되었고 조선군왕에 봉해졌다. 안동부에 보내어 고려의 남은 무리를 보살피도록 하였다. 사농경 부여융은 웅진도독에 제수되었고 대방군왕으로 봉해졌다. 백제의 남은 무리를 보살피도록 명하여 보냈다. 이에 안동도호부를 신성으로 옮겨 다스리게 되었다...대표표제어당이 부여융에게 작호를 내리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77년(丁丑/신라 문무왕 17/唐 高宗 儀鳳 2/日本 天武天皇 6)
- 당 태종이 발해 대무예에게 보내는 回書 / 발해 대무예가 당 태종에게 보내는 上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킨 것이다. 한편 唐 太宗의 貞觀 年間에 두었던 地方行政區域인 嶺南道는 이 五嶺의 南에 두었던 것이며, 여기에서는 지금의 廣東·廣西 全域과 安南都護府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唐代의 嶺南은 廣東·廣西 뿐 아니라 越南 北部 地域까지 포괄한 명칭이었다. 으로 流配하였는...대표표제어당 태종이 발해 대무예에게 보내는 回書 / 발해 대무예가 당 태종에게 보내는 上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 文宗이 渤海王 大彛震에 보낸 勅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당대의 長史는 그가 속하는 관청에 따라 관장직책과 품질에 차이가 있었다. 장사는 16衛, 東宮官, 王府官, 外官, 大都督府·大都護府의 上州에 두어졌다. 平章事 平章事 : 당의 「同中書門下平章事」의 약칭으로 재상에 해당한다. 등에게도 각각 물품을 하사하였으니, 구체적...대표표제어文宗이 渤海王 大彛震에 보낸 勅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 창원읍성 - 창원읍성 추정 동문지 주변 문화재 시굴조사 -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2007 창원시/우리문화재연구원 109 곽종철,진성섭,권순강 곽종철,진성섭,권순강,조현경,배상현,조지민 우리문화재연구원 경상남도 창원시 북동 49번지, 49-15번지, 49-25번지 일원 경상남도 창원시 ㎡ 창원도호부의 치소 외곽을...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창원시/우리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남도
연구과제(2)
-
조선시대 전라도의 출판문화 연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김소희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3 | 국내 | 경기
-
고려시대 관동 유람과 문화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창현 | 고려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53)
-
대도호부 / 大都護府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의 지방행정 관서. 원래 중국에서 외지를 다스리기 위해 두었던 관서였다. 당나라는 고구려의 옛 땅에 9개의 도독부를 두고, 이를 통할하기 위해 평양에 안동대도호부를 설치한 바 있다. 우리 나라는 1018년(현종 9) 처음으로 안남(全州)·안서(海州)·안
-
도호부 / 都護府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지방 행정기구. 대도호부와 도호부의 두 가지가 있다. 도호부는 고려의 제도를 이어온 지방관의 명호로, 태종(太宗) 6년에 지방행정체계가 정비되면서 대도호부(大都護府)·목관(牧官)은 정3품으로 도호부(都護府)는 종3품으로 정해져서, 도호부(都護府)는 목
-
대도호부사 / 大都護府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 시대 대도호부의 장관직. 품계는 정3품이다. 외관직으로 안동·강릉·안변(安邊)·영변(寧邊) 등에 파견되었으며, 기존 지역과 신생 지역의 통폐합이나 승강에 따라 치폐를 거듭하기도 하였다. 동반 정3품 외관직명으로 대도호부(大都護府)(안동(安東)·강릉(江陵)
-
부평도호부청사 / 富平都義府廳舍 [예술·체육/건축]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 943번지에 있는 조선시대의 관아 건물.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호. 당초의 인천도호부 건물은 동헌, 객사, 근민당, 내아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고 하나, 이곳에 초등학교를 세우면서 대부분의 건물이 헐렸다. 이 건물은 동헌이라기보다는 내아일
-
강릉대도호부 관아 / 江陵大都護府官衙 [예술·체육/건축]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고려시대 중앙의 관리들이 강릉에서 머물던 여관터.객사터·객관터. 사적. 사적 제388호. 1993년 강릉시 청사 신축예정 용지에 대한 발굴조사로 드러난 강릉 객사터이다. 현재 객사문은 이 터의 남측에 국보 제51호로 지정 보존되어 있고, 서측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