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도항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
사전(8)
- 도항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전기 수군을 관장하던 관서. [내용] 918년(태조 1)에 한찬(韓粲) 벼슬에 있던 귀평(歸評)이 도항사령(都航司令)으로 임명된 것으로 보아 태봉(泰封) 때 설치된 기구를 이어받은 것 같다. 그 임무는 대체로 수군을 관...
- 공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2인으로 하고 그 중 1인은 상경인(上京人)으로 하였다. 이속으로 기사(記事) 1인, 기관(記官) 3인, 산사(算士) 2인을 두었다. 속사로는 잡재영작원(雜材營作院)‧도항사(都航司)가 있었다. 『고려사(高麗史)』 ...
- 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진각성(珍閣省)‧내천부(內泉府)‧국천부(國泉府)‧관택사(官宅司)‧도항사(都航司)‧대어부(大馭府) 등의 수석 또는 차석급에 해당되는 관직이기도 하였다. 고려에서 경은 감(監)과 함께 과거가 시행될 때 동지공거(同知貢擧 : 부시험관)가 되는 것이 통례였다.
- 병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초에는 신라와 태봉(泰封)의 구관제를 이어받아 광평성(廣評省)‧병부‧창부(倉部)‧의형대(義刑臺)‧도항사(都航司) 등의 국무분담기관이 여전히 설치되고 있어, 6전체제(六典體制는 : 6조 중심의 국정체제) 아직 성립되지 못하고 있었으므로 6전체제의 시초라고 볼 수 있는...
- 분사제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官宅司)‧도항사(都航司)‧대어부(大馭府)가 새로이 설치되었다. 990년(성종 9) 수서원(修書院)이 설치되고, 1062년(문종 16) 개경의 경기에 준하는 서경기(西京畿) 4도(四道)가 설치되었다. 1102년(숙종 7) 문‧무반의 직제와 5부(五部...
고서·고문서(19)
- 도항사(都航司)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6753 B066753 도항사 都航司 정치행정 題東史篇面 東史綱目圖下 _ _ 改臺⁄爲監⁄上同⁄上同⁄上同⁄觀候署⁄尋復舊⁄又寺○恭愍⁄革之置軍資⁄寺掌軍需⁄改繕工監後⁄稱司又改寺○恭愍互稱⁄將作繕工⁄改司律監又⁄都律司復稱⁄舊名○恭愍⁄稱司宰監改⁄寺⁄罷倂於民部⁄恭愍復置稱⁄寺⁄書雲觀...출처전거題東史篇面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항사(都航司)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6754 B066754 도항사 都航司 정치행정 高麗史 권77 志31 百官2 百官 外職 西京留守官 太祖五年置 廊官[廊者官號方言曹設]侍中一人侍郞二人郞中二人上舍一人史十人衙官[衙亦官名方言豪幕]具壇一人卿二人監一人粲一人理決一人評察一人史一人 兵部令具壇一人卿一人大舍一人史二人 納...출처전거高麗史 권77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항사(都航司)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6755 B066755 도항사 都航司 정치행정 高麗史 권77 志31 百官2 百官 外職 西京留守官 逆之地宜一切革故如東京之制 以故久不處置至是始置此官 明宗八年更定官制 儀曹令丞各一人文武交差 史二人一差上京人 記事一人記官三人筭士二人 禮儀司正設院八關寶迎送幷屬焉 戶曹員吏與儀曹同...출처전거高麗史 권77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항사(都航司)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6756 B066756 도항사 都航司 정치행정 高麗史1卷, 世家1, 太祖1 太祖元年[戊寅] 夏六月 辛酉 詔曰 設官分職任能之道斯存利俗安民選賢之務是急 誠無官曠何有政荒 朕叨膺景命顯馭丕圖顧臨蒞以難安念庸虛之可懼 唯慮知人不明審官多失俾起遺賢之歎深乖得士之宜 寢興載懷職此而已 內外庶...출처전거高麗史1卷, 世家1, 太祖1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항사(都航司)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6757 B066757 도항사 都航司 정치행정 高麗史1卷, 世家1, 太祖1 太祖元年[戊寅] 夏六月 辛酉 ... 爲內奉令韓粲林明弼爲徇軍部令波珍粲林曦爲兵部令蘇判陳原爲倉部令韓粲閻萇爲義刑臺令韓粲歸評爲都航司令韓粲孫逈爲物藏省令蘇判秦勁爲內泉部令波珍粲秦靖爲珍閣省令是皆禀性端方處事...출처전거高麗史1卷, 世家1, 太祖1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
- 민주조선_1950_0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渡航史 林光澈 37 危機に立つ在日朝鮮人の生活 李賛義 48 在日朝鮮人に 新居 格 58 ...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50
- 문교조선_1933_1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74 敎育功勞者淺野太三郞氏と我校の講堂 岩佐重一 76 冬の卒業生指導行事 八尋生男 87 內地派遣農業實習生報...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3
주제어사전(2)
-
도항사 / 都航司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전기 수군을 관장하던 관서. 918년(태조 1)에 한찬 벼슬에 있던 귀평이 도항사령으로 임명된 것으로 보아 태봉 때 설치된 기구를 이어받은 것 같다. 그 임무는 대체로 수군을 관장하는 것이었다고 한다.
-
병관 / 兵官 [정치·법제/법제·행정]
. 그러나 어사6관인 선관·민관·예관·공관이 모두 국초에 설치된 것같이 보이지만, 국초에는 신라와 태봉의 구관제를 이어받아 광평성·병부·창부·의형대·도항사 등의 국무분담기관이 여전히 설치되고 있어, 6전체제가 아직 성립되지 못하고 있었으므로 6전체제의 시초라고 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