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도피안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
사전(21)
- 도피안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절을 창건하고 삼층석탑과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을 봉안하였다. 『유점사본말사지(楡岾寺本末寺誌)』에 수록되어 있는 사적기에 의하면, 도선이 철조비로자나불상을 조성하여 철원의 안양사(安養寺)에 봉안하려고 하였으나, 운반 도중에 불상이 없어져서 찾았더니 도피안사 자리에...
- 도피안사삼층석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강원도 철원군 동송면 관우리 도피안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 [내용] 높이 4.1m. 보물 제223호.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형성하고 그 위에 상륜부(相輪部)를 올려놓은 일반적인 형식의 석탑이다....연계항목도피안사삼층석탑(到彼岸寺三層石塔)
- 도피안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강원도 철원군 동송면 관우리 도피안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내용] 높이 91㎝. 국보 제63호. 광배는 없고 대좌와 불신만이 남아 있다. 육계(肉髻)의 표현은 거의 없다시피 하고, 얼굴은 보림사철조비로자나불좌...연계항목도피안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到彼岸寺鐵造毘盧舍那佛坐像)
- 봉화축서사석불좌상부광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보이고 있다. 불분명해진 육계(肉髻)와 나발(螺髮)의 머리카락은 9세기 중엽 이후부터 보이는 수법인데 도피안사철불좌상의 머리 모양과 비슷한 편이다. 얼굴도 도피안사불상의 얼굴처럼 단아하면서도 섬약해져 있다. 수도에 정진하는 고행승(苦行僧)의 일상적인 마른 모습을...이칭별칭축서사석조비로자나불좌상 | 연계항목봉화축서사석불좌상부광배(奉化鷲棲寺石佛坐像附光背)
- 한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년(경문왕 5)에 건립된 도피안사(到彼岸寺)의 철조비로자나불좌상보다 그 연대가 더 오래되고, 우아한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 이 불상과 같은 때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높이 3.56m의 삼층석탑은 전형적인 신라 후대의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칭별칭한대사(寒大寺)
고서·고문서(3)
- 도피안사불배명(到彼岸寺佛背銘)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예술-금석문 | 형식분류고서-금석문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도피안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조상기 [국내외 출토 한국 고대 역사자료의 총집성과 통합 DB 구축 | 동국대학교]133도피안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조상기SCAN_20191228_151733520_033.jpg SCAN_20191228_151733520_034.jpg SCAN_20191228_151733520_035.jpg SCAN_20191228_151733520_036.jpg 도피...연대865 | 서체해서 | 소재지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관우리(도피안사) | 자료문의동국대학교 윤선태 교수
-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조상기 [국내외 출토 한국 고대 역사자료의 총집성과 통합 DB 구축 | 동국대학교]경문왕 6년(865)에 조성한 철원 도피안사 본존불의 조상기의 1806년이라는 佛紀와 비교된다. 도피안사 철조 불상보다도 7년 앞서 만들어진 보림사 철조 불상을 철불 가운데 절대연도가 가장 올라가는 작품이다. 본 조상기는 9세기 철불 조성의 유행 배경과 그 연도를 보여...연대858년 | 서체해서(북위풍) | 소재지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로 224(보림사) | 자료문의동국대학교 윤선태 교수
기타자료(1)
- (향토교실) 도피안사와 고석정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향토교실) 도피안사와 고석정 (향토교실) 도피안사와 고석정 (향토교실) 到彼岸寺와 孤石亭 교육 문헌 평생교육 성인교육범주1평생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귀남 | 사료철명강원교육
주제어사전(1)
-
도피안사 / 到彼岸寺 [종교·철학/불교]
불교 사찰의 하나.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의 본사인 신흥사의 말사이다. 강원도 철원군 동송면 관우리 화개산에 있다. 865년 도선이 창건하였다. 국가의 비보사찰 가운데 하나였다. 1898년 화재로 소실된 후 주지 월운이 중수하였다. 문화재로는 국보 제63호인 도피안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