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도치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5)
- 도치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수사법 중 변화법의 하나. [내용] 문장 또는 단어를 정상적인 순서와는 다르게 배열하는 표현법이다. 도장법(倒裝法), 역도법(逆倒法), 전도법(顚倒法), 환서법(換序法)이라고도 한다. 도치법에는 “보고 싶어요, 그녀가……”, “꽃...이칭별칭도장법(倒裝法)|역도법(逆倒法)|전도법(顚倒法)|환서법(換序法)
- 하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치법과 명령법을 동시에 쓰고 있는데, 1‧2구에서 이와 같은 수사법이 두드러지고 있다. 결국, 작자는 이러한 수사적 효과를 바탕으로 3‧4구에서는 연꽃을 묘사함으로써 계절적 정서를 유감없이 표출하여내는 데 성공하고 있다. 『눌...
- 수사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법에는 과장법(誇張法)‧대조법(對照法)‧반복법(反復法)‧점층법(漸層法)‧열거법(列擧法)‧영탄법(咏嘆法)‧비교법(比較法)‧도치법(倒置法)‧대구법(對句法)‧문답법(問答法)‧반어법(反語法)‧역설법(逆說法)‧돈호법(頓呼法) 등이 있다. 강조법은 내용을 생생하고 두드러지게 하...
- 작문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열거법(운동화에, 국방색 당고바지에, 검정저고리에, ……)‧비교법(강낭콩꽃보다 더 푸른 물결 위에, ……)‧생략법(왔다, 보았다, 이겼다.)‧설의법(네가 그것을 알 수 있겠느냐?)‧인용법 (‘知者不言’이라고 노자께서 말씀하였다.)‧도치법(오라! 조국의 품으로.)...
- 향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주축이 되고, <헌화가>는 도치법과 상징법, <모죽지랑가>는 은유와 돈호법, <서동요>는 상황을 전도시키는 아이러니, <혜성가>는 상징과 완곡법(婉曲法), <보현십원가>는 바다와 물의 이미지를 통한 상징법이 두드러지게 보인다. 이처럼 향가의 수사적 특성은 서정시가로서...
고서·고문서(3)
- 黃西丘西江月調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Link?DCI=ITKC_MP_0597A_1530_020_0030_2015_034_XML 034 斑疹俗呼麻子,蓋因火氣薰蒸。遍身紅點硃砂形,乃是心脾二症,最忌生斑死候,切宜赤似朱紋。大都治法喜淸涼,不可辛甘犯禁。 疹子因何咳嗽?只因肺與心連。肺經被火若煎熬,以致咳嗽氣喘。治要淸金降...권차명麻科會通 一 | 문체詩類|賦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주역대전 : 益卦_효사-상효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마음을 세우는 것이 일정하지 않다’는 것은 도치법으로 ‘보태주는 이가 없으니 혹 치는 것’이 마음을 세우는 것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말이다. 일정하지 않으면 보태주는 것이 없을 뿐만 아니라 치는 것이 이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상전」에서 ‘치우친 말이다’라고...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주역대전 : 姤卦_효사-초효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는 도치법이다. 중부괘(中孚卦)에서 “믿음이 돼지와 물고기에게 미친다”고 한 것은 믿음이 미치기 어려운 것에 이 두 미물 같은 것이 없다는 말이다. 구괘의 돼지와 물고기를 서로 대조해보면, 돼지는 그래도 매어서 머무르게 할 수 있지만, 물고기는 싸서 기를 수 없으니,...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주제어사전(1)
-
도치법 / 倒置法 [언어/언어/문자]
수사법 중 변화법의 하나. 도치법에는 “보고 싶어요, 그녀가……”, “꽃이 지네, 한 잎, 한 잎” 에서처럼 문장 성분을 바꿔 놓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립구나, 헤어지고 나니……” 에서처럼 절 내지는 문장을 바꿔 놓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