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도총제사” 에 대한 검색결과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1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군(五軍 : 前‧後‧中‧左‧右軍)에서 전군과 후군의 없애고 삼군으로 편성한 것으로, 조선왕조 개국의 군사적 기반이 되었다. 시중(侍中)이 맡도록 되어 있었으며, 이성계가 초대 를 지냈다. 그러다가 1393년(태조 2) 삼군도총제부가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 후기‧조선 초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에 딸린 으뜸 무관 벼슬.
    정의고려 후기‧조선 초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에 딸린 으뜸 무관 벼슬.[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dochongjesa | MR표기toch’ongje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부총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의 관직. [내용] 1391년(공양왕 3) 전군(前軍)‧후군(後軍)을 폐지하고 중군(中軍)‧좌군(左軍)‧우군(右軍)으로 구성된 삼군도총제부를 설치할 때 두어졌다. (使), 삼군총...
  • 삼군도총제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였다. 당시 이성계(李成桂)는 삼군(三軍使)로 임명됨으로써 병권 장악을 확고히 할 수 있었다. 조선 건국 후 최고 군령 기관인 삼군도총제부는 1393년(태조 2)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로, 이어서 1401년(태종 1) 사병(私兵) 혁파와 함께 승추...
  • 우군(右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좌·우의 5군 제도에서 전·후 2군을 없애고, 중·좌·우의 3군으로 중앙군을 재편하면서 동시에 이를 통솔하는 사령부로서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를 두었다. 그리고 이성계(李成桂)가 삼군(三軍使)로 임명되어 병권 장악을 확고히 할 수 있었다. 삼군도총제부...
    상위어삼군(三軍) | 관련어중군(中軍), 좌군(左軍), 호분순위사(虎賁巡衛司), 호익순위사(虎翼巡衛司), 호용순위사(虎勇巡衛司)

주제어사전(2)

  • / 使 [정치·법제/법제·행정]

    를 지냈다. 그러다가 1393년(태조 2) 삼군도총제부가 의흥삼군부로 개편되면서 도 도총제로 바뀌었다.

  • 부총제사 / 副摠制使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삼군도총제부의 관직. 1391년(공양왕 3) 전군·후군을 폐지하고 중군·좌군·우군으로 구성된 삼군도총제부를 설치할 때 두어졌다. , 삼군총제사 다음의 관직으로 통헌대부 이상의 관리가 임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