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도총제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
사전(16)
- 도총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군(五軍 : 前‧後‧中‧左‧右軍)에서 전군과 후군의 없애고 삼군으로 편성한 것으로, 조선왕조 개국의 군사적 기반이 되었다. 시중(侍中)이 맡도록 되어 있었으며, 이성계가 초대 도총제사를 지냈다. 그러다가 1393년(태조 2) 삼군도총제부가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
- 도총제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 후기‧조선 초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에 딸린 으뜸 무관 벼슬.정의고려 후기‧조선 초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에 딸린 으뜸 무관 벼슬.[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dochongjesa | MR표기toch’ongje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부총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의 관직. [내용] 1391년(공양왕 3) 전군(前軍)‧후군(後軍)을 폐지하고 중군(中軍)‧좌군(左軍)‧우군(右軍)으로 구성된 삼군도총제부를 설치할 때 두어졌다. 도총제사(都摠制使), 삼군총...
- 삼군도총제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였다. 당시 이성계(李成桂)는 삼군도총제사(三軍都摠制使)로 임명됨으로써 병권 장악을 확고히 할 수 있었다. 조선 건국 후 최고 군령 기관인 삼군도총제부는 1393년(태조 2)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로, 이어서 1401년(태종 1) 사병(私兵) 혁파와 함께 승추...
- 우군(右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좌·우의 5군 제도에서 전·후 2군을 없애고, 중·좌·우의 3군으로 중앙군을 재편하면서 동시에 이를 통솔하는 사령부로서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를 두었다. 그리고 이성계(李成桂)가 삼군도총제사(三軍都摠制使)로 임명되어 병권 장악을 확고히 할 수 있었다. 삼군도총제부...상위어삼군(三軍) | 관련어중군(中軍), 좌군(左軍), 호분순위사(虎賁巡衛司), 호익순위사(虎翼巡衛司), 호용순위사(虎勇巡衛司)
고서·고문서(6)
- 中等敎科東國史略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事가 紊ᄒᆞᆫ지라 이에 三軍都摠制府ᄅᆞᆯ 立ᄒᆞ야 中外軍事ᄅᆞᆯ 統케,ᄒᆞ고 我太祖로,쎠 都摠制使ᄅᆞᆯ 拜ᄒᆞ고 裴克廉은 中軍摠制使오 趙浚은 右軍總制使오 鄭道傳은 左軍摠制使라 王이 深히 太祖ᄭᅴ 依賴ᄒᆞ거ᄂᆞᆯ 太祖ᄭᅴ셔 疾로,쎠 辭職ᄒᆞ시나 文武大權이,이믜 太祖ᄭᅴ...서명中等敎科東國史略 | 자료명高麗滅亡
- 歷史輯略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勿問趙裕王命釋裕至是憲府執論之,乃命鞫裕,裕伏其情,絞殺之遂流德符湧奇等于外,尋又獲宗衍,支解以徇 善山人吉再少淸苦力學,負笈尋師,不憚險遠,豋第爲門下注書,是歲再見國家將亡,辭以母老,棄官歸鄕 辛未三年[明太祖洪武二十四年]自高宗時,三軍復變而爲五軍春正月省五軍爲三軍都揔制府以我高皇帝爲三軍都揔制...서명歷史輯略 | 자료명後廢王昌禑之子在位一年
- 中等敎科東國史略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ᄂᆞᆫ ᄇᆡ 有ᄒᆞ더니 恭讓王에 至ᄒᆞ야 三軍都摠制府ᄅᆞᆯ 立ᄒᆞ고 諸元帥印章을 收ᄒᆞ야 我太祖로,써 三軍都摠制使ᄅᆞᆯ 拜ᄒᆞ야 自此로 兵權이 歸一ᄒᆞ고 六衛의 名이 廢ᄒᆞ야,맛참ᄂᆡ 國家가 亡ᄒᆞ얏ᄂᆞ이다 州,縣軍이 各處에 散在ᄒᆞᆫ 者ᄂᆞᆫ 兩界,六道의 名稱이 有ᄒᆞ야...서명中等敎科東國史略 | 자료명制度
- 普通敎科大東歷史畧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拜ᄒᆞ고 鄭夢周로써 守門下侍中을 拜ᄒᆞ고 池湧奇로써 判三司事를 拜ᄒᆞ다 ○(辛未)三年 春正月에 我 太祖로써 三軍都摠制使를 拜ᄒᆞ고 裵克廉 趙浚 鄭道傳은 中左右軍摠制使를 拜ᄒᆞ다 ○王이 還都ᄒᆞ니 刑曹判書安瑗의 言을 從ᄒᆞᆷ이러라 ○私田을 革罷ᄒᆞ고 給田法을 定ᄒᆞᆯᄉᆡ...서명普通敎科大東歷史畧 | 자료명高麗紀
- 普通敎科東國歷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맛ᄎᆞᆷᄂᆡ 裕ᄅᆞᆯ 絞殺ᄒᆞ고 德符 等을 流ᄒᆞ고 宗衍은 支解ᄒᆞ다 三年[明太祖洪武二十四年○日皇後小松九年○西曆紀元後一千三百九十一年]이라 春正月에 我 太祖로ᄡᅧ 三軍都摠制使ᄅᆞᆯ 拜ᄒᆞ고 裵克廉 趙浚 鄭道傳은 中左右軍摠制使ᄅᆞᆯ 拜ᄒᆞ다○二月이라 王益富라 ᄒᆞᄂᆞᆫ 者...서명普通敎科東國歷史 | 자료명忠惠王
주제어사전(2)
-
도총제사 / 都摠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도총제사를 지냈다. 그러다가 1393년(태조 2) 삼군도총제부가 의흥삼군부로 개편되면서 도총제사도 도총제로 바뀌었다.
-
부총제사 / 副摠制使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삼군도총제부의 관직. 1391년(공양왕 3) 전군·후군을 폐지하고 중군·좌군·우군으로 구성된 삼군도총제부를 설치할 때 두어졌다. 도총제사, 삼군총제사 다음의 관직으로 통헌대부 이상의 관리가 임명되었다.